• 제목/요약/키워드: R-Squared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Determining the Onset Age for Early Intervention of Oral Frailty

  • Hye-Lim Hong;Nam-Hee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24
  • Background: Oral frailty is defined as the functional decline of the oral function due to aging, and it is associated with frailty and chronic disease. Most of the frailty intervention is fo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However, early intervention for preventive disorder is most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ge at which oral frailty surpass the "normal" rang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719 adults (aged 30~89 years) residing in Gangwon province in May 2023. Risk of oral frailty was assessed using criteria from The Korean Academy of Geriatric Dentistry including oral function such as swallowing and mastication, and frailty. Frailty was assessed using the Kihon Checklist. To determine when oral frailty surpass the "normal" statu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chi-squared test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R (ver. 4.3.1). Results: There were 388 (54.0%) individuals who had a "normal" status risk of oral frailty. The risk of oral frailty was higher in the 50~54 age group compared to the 30~34 age group (odds ratio [OR] 0.50, 95% confidence interval [CI] 0.28~0.91), after adjusting for gender, education, income, occupation, and frailty (OR 0.46, 95% CI 0.22~0.94). This means that from 50~54 years old, regardless of gender, education, income, occupation, or frailty condition, there is a distinction from the "normal" status. Conclusion: We found that intervention for oral frailty is needed starting from age 50 years. This is the stage where early indications of oral frailty become apparent. Early intervention for oral frailty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prevalence of diseases and medical expenditure.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in middle-aged adults of oral frailty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travoxel Incoherent Mo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Assessing Parotid Gland Tumors: Correlation and Comparison with Arterial Spin Labeling Imaging

  • Gao Ma;Xiao-Quan Xu;Liu-Ning Zhu;Jia-Suo Jiang;Guo-Yi Su;Hao Hu;Shou-Shan Bu;Fei-Yun W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2호
    • /
    • pp.243-252
    • /
    • 2021
  • Objective: To compare and correlate the findings of intravoxel incoherent motion (IVIM)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and arterial spin labeling (ASL) imaging in characterizing parotid gland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6 patients with parotid gland tumors evaluated by MR imaging. The true diffusion coefficient (D), pseudo-diffusion coefficient (D*), and fraction of perfusion (f) values of IVIM imaging and tumor-to-parotid gland signal intensity ratio (SIR) on ASL imaging were calculate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chi-squared, Mann-Whitney U, and Kruskal-Wallis tests with the post-hoc Dunn-Bonferroni method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ssessm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Malignant parotid gland tumo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D than benign tumors (p = 0.019). Within subgroup analyses, pleomorphic adenomas (PA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 than malignant tumors (MTs) and Warthin's tumors (WTs) (p < 0.001). The D* of W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s (p = 0.031). The f and SIR on ASL imaging of W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Ts and PAs (p < 0.05).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IR on ASL imaging and f (r = 0.446, p = 0.001). In comparison with f, SIR on ASL imaging showed a higher area under curve (0.853 vs. 0.891) in discriminating MTs from WT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720). Conclusion: IVIM and ASL imaging could help differentiate parotid gland tumors. SIR on ASL imaging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 ASL imaging might hold potential to improve the ability to discriminate MTs from WTs.

지리 공간 자료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제주도 남측사면 용천수의 시기별 질산성 질소 농도 예측 (Prediction of Seasonal Nitrate Concentration in Springs on the Southern Slope of Jeju Islan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of Geographic Spatial Data)

  • 정윤영;고동찬;강봉래;고경석;유용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2호
    • /
    • pp.135-152
    • /
    • 2011
  • 제주도 남측사면에서 산악지역부터 해안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용천수에 대해 풍수기와 갈수기의 2회에 걸쳐 측정된 $NO_3$ 농도를 수해지질학적 인자 및 토지 이용 특성 인자를 포함하는 공간 변수들의 다중선형 회귀모형으로 예측하였다. 용천수의 $NO_3$ 농도는 평균 20 mg/L이며, <0.02~86 mg/L의 범위를 보여 인위적 오염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공간 변수는 용천수를 중심으로 원형 버퍼를 설정하여 추출하였으며, 수정결정계수 증가율과 원형 버퍼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반경 400 m를 최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선택된 회귀 모형들은 p-값과 더빈-왓슨 통계치에 근거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설명변수는 수정결정계수, Cp (total squared error), AIC (Akaike's Information Criterion)등을 기준으로 선택하였으며 변수들의 유의성과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여 최적 회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일부 용천수들은 이상치로 확인되었으나 전체 시료의 10%이내였으며, 이들은 원형 버퍼를 사용하는 다중회귀분석의 한계를 지시한다고 할 수 있다. 변수의 유의성 기준으로 선정된 최적 회귀 모형의 결정계수는 이상치 제거 전이 0.74-0.79, 제거 후가 0.86-0.87의 범위로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자연지역 면적 비율이 용천수의 $NO_3$ 농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천수 $NO_3$ 농도에 대한 인위적 토지이용의 영향력은 최적 버퍼 반경에서 두 조사 시기 모두 과수원 > 주거지역 > 밭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도 남측사면 용천수의 수질이 수리지질학적 인자보다는 토지 이용 특성에 크게 좌우됨을 지시하며, 용천수의 오염 취약성이 주변의 지표 오염원, 특히 과수원 분포에 민감함을 보여준다.

복사전달모의를 통한 중적외 파장역의 민감도 분석 및 지표면온도 산출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Sensitivity and Retrieval Possibility of Land Surface Temperature in the Mid-infrared Wavelength through Radiative Transfer Simulation)

  • 최윤영;서명석;차동환;서두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423-144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기 및 지표면 인자들에 대한 중적외 파장역의 복사휘도의 민감도를 복사전달모델인 MODerate resolution atmospheric TRANsmission (MODTRAN)6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야간에 중적외 파장역 만을 이용한 지표면온도 산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야간에 대해 다양한 조건을 반영한 지표면온도 산출식을 개발하고 처방 온도 자료와 현장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지표면온도 산출식의 수준을 평가하였다. 중적외 파장역을 활용한 위성 원격탐사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대기연직구조, 이산화탄소와 오존, 지표면온도의 일 변동, 지표면 방출률 그리고 위성의 관측각에 대해 민감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분리대기창 기법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적외 파장역을 투과율을 근거로 2개의 밴드로 분리한 후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밴드와 관계없이 대기연직구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지표면 방출률, 지표면온도의 일 변동, 위성의 관측각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주요 변인 실험 모두에서 대기의 창에 해당되는 밴드 1은 민감도가 낮은 반면 오존과 수증기 흡수가 포함된 밴드 2에서는 민감도가 높아서 분리대기창 기법을 활용하여 지표면온도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중적외 2개 밴드와 다양한 변인들을 이용하여 개발된 지표면온도 산출식은 복사모의 시 입력된 기준 지표면온도와 상관계수, 편의 그리고 root mean squared error (RMSE)가 각각 0.999, 0.023K과 0.437K의 수준을 보였다. 또한 26개의 현장관측 지표면온도 자료로 검증한 결과 상관계수는 0.993, 편의는 1.875K, RMSE는 2.079K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 및 지표면 조건이 야간의 중적외 두 밴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따라서 향후에는 중적외 파장역 센서를 탑재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하고 그 수준을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

머신러닝 기법의 산림 총일차생산성 예측 모델 비교 (Predicting Forest Gross Primary Productio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이보라;장근창;김은숙;강민석;천정화;임종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41
    • /
    • 2019
  • 산림생태계에서 총일차생산성(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은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의 생산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계절, 건강성, 탄소 순환 등을 대표하는 지표이다. 총일차생산성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에디공분산 타워 자료나 위성영상관측자료를 이용하기도 하고 물리지형적 한계나 기후변화 등을 고려하기 위해 기작기반모델링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총일차생산성을 포함한 산림 탄소 순환의 기작기반 모델링은 식물의 생물, 생리, 화학적 기작들의 반응과 지형, 기후 및 시간 등과 같은 환경 조건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비선형적이고 유연성이 떨어져 반응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을 모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생산성 추정 모델을 에디공분산 자료와 인공위성영상 정보를 사용하여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들로 구축해 보고 그 사용 및 확장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설명변수들로는 에디공분산자료와 인공위성자료에서 나온 대기기상인자들을 사용하였고 검증자료로 에디공분산 타워에서 관측된 총일차생산성을 사용하였다. 산림생산성 추정 모델은 1) 에디공분산 관측 기온($T_{air}$), 태양복사($R_d$), 상대습도(RH), 강수(PPT), 증발산(ET) 자료, 2) MODIS 관측 기온(T), 일사량($R_{sd}$), VPD 자료(개량식생지수 제외), 3) MODIS 관측 기온(T), 일사량($R_{sd}$), VPD, 개량식생지수(EVI) 자료를 사용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축하여 2006 - 2013년 자료로 훈련시키고 2014, 2015년 자료로 검증하였다.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support vector machine (SVM), random forest (R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를 사용하였고 단순 비교를 위해 고전적 방법인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LM)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에디공분산 입력자료로 훈련시킨 모델의 예측력은 피어슨 상관계수 0.89 - 0.92 (MSE = 1.24 - 1.62), MODIS 입력자료로 훈련시킨 모델의 예측력은 개량식생지수 제외된 모델은 0.82 - 0.86 (MSE = 1.99 - 2.45), 개량식생지수가 포함된 모델은 0.92 - 0.93(MSE = 1.00 - 1.24)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총일차생산성 추정 모델 구축에 있어 MODIS인공위성 영상 정보 기반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높은 활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세이지분말 첨가 된장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upplemented with Sage Powder as Assess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미림;정지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3-249
    • /
    • 2010
  • 본 연구는 세이지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과 우리 전통된장을 접목하여 허브를 첨가한 된장을 개발하고자 된장의 염도와 세이지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조건을 얻고자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은 1.20~2.70, 냄새는 1.60~3.20, 맛은 1.40~3.50, 조직감은 1.60~3.50, 전반적인 기호도는 1.60~3.05의 값을 나타내어 실험구의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차회귀식에 의하여 형성된 반응표면 분석 결과 색, 냄새, 맛,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의 $R^{2}$가 0.11~0.41로 낮은 편이었으며, 5% 이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것은 색은 염도 21.50%, 세이지분말 첨가량 3.10%일 때 2.91, 냄새는 염도 22.52%, 세이지분말 첨가량 3.68%일 때 3.21로, 맛은 염도 8.62%, 세이지분말 첨가량 4.46%일 때 2.87으로, 조직감은 염도 8.00%, 세이지분말 첨가량 6.06%일 때 2.88로, 전반적인 선호도는 염도 20.40%, 세이지분말 첨가량 2.66%를 첨가하였을 때 2.74로 나타났다. 한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허브이지만, 세이지를 첨가한 된장이 일반된장 보다는 높은 점수로 평가되어 기능성 된장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적외선 분광학을 이용한 토양 내의 질산태 질소 정량분석 (Direct Determination of Soil Nitrate Using Diffuse Reflectance Fourier Transform Spectroscopy (DRIFTS))

  • 최은영;김경웅;홍석영;김주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7-272
    • /
    • 2008
  • 현장에서의 토양 측정을 위해서는 전처리 과정이 짧을수록 유리하므로 최대한 처리를 하지 않은 토양 시료에 대해 질산태 질소의 측정과 그에 맞는 정량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조 토양을 분광분석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산란, 분산되는 빛의 양이 많고 노이즈도 증가하므로 Diffuse reflectance 모드 (Diffuse reflectance infrared Fourier transform spectroscopy: DRIFTS)로 측정하였다. 토양 자체가 나타내는 분광 피크에 의해 질산염의 피크가 가려지는 간섭효과를 보완하기 위해 DRIFTS 스펙트럼에 1차 도함수를 적용하였으며, $1500-1200cm^{-1}$ 영역에서 질산염에 의한 신호의 향상이 확인되었고, 이를 이용해 다변량 회귀분석 모델 (PLSR)을 적용하여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1차 도함수를 이용한 분석모델에서도 각기 다른 종류의 토양을 적용하였을 때 결과치의 신뢰도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대표적인 토양으로 사질 (sand), 미사질 (sandy loam), 토탄질 (peat), 점토질 (clay) 토양에 대해 각각의 스펙트럼을 특성화하여 해당되는 정량모델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토양에 대한 정량분석의 신뢰도가 향상되었다 ($R^2$>0.95, RPD>6.0). 스펙트럼의 신호처리와 토양 특성별 정량모델의 적용을 통해 현장 시료에 가까운 상태의 토양 질산염을 보다 빠르고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에 보다 다양한 조건의 토양에 대해 분광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라이브러리가 구축된다면 이러한 기술의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각장애인의 구강보건행태가 DMFT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of the visually impaired on DMFT index)

  • 이종화;이승희;윤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1-342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helping oral health prevention of the blind and related management plan, which is defined as the influence factors between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and general featur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he blind in Korea (estimates 229,678 persons) using data of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s: The blind over the age of 30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who have conducted health survey and dental inspections in KNHANES VI-2. Estimates of the subjects were 229,67 persons. For analyzing data, general linear models: GLM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feature and oral health behavior and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SPSS 21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which is possible to conduct complex sampling design,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was 8.58 points.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squared of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depending on general features of the blind was 0.839 points, which shows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disability rating, kinds of health insurance, marital status and recipient of basic living had an effect on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R2 of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depending on oral health form of the blind was 0.728 points, which shows oral examination, dental treatment, smoking and toothbrushing after lunch had an effect on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Conclus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e oral health actual condition of the blind in Kore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introduce the personal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o maintain oral health of the blind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uses braille and voice device which enables to access and utilize to improve oral health behavior that the government could use it as a reference to establish the policy plan.

서울 대기 중 PM2.5 내 OC와 EC로부터 SOC 추정방법의 비교 평가 (Validation for SOC Estimation from OC and EC concentration in PM2.5 measured at Seoul)

  • 유하영;김기애;김용표;정창훈;신혜정;문광주;박승명;이지이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30
    • /
    • 2020
  • The organic carbon in the ambient particulate matter (PM) is divided into primary organic carbon (POC) and secondary organic carbon (SOC) by their formation way. To regulate PM effectively, the estimation of the amount of POC and SOC separately is one of important consideration. Since SOC cannot be measured directly, previous studies have evaluated determination of SOC by the EC tracer method. The EC tracer method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SOC value from calculating the POC by determining (OC/EC)pri which is the ratio of the measured values of OC and EC from the primary combustion source.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ways were applied to OC and EC concentrations in PM2.5 measured at Seoul for determining (OC/EC)pri: 1) the minimum value of OC/EC ratio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2) regression analysis of OC vs. EC to select the lower 5-20% OC/EC ratio; 3) determining the OC/EC ratio which has lowest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R2) between EC and SOC which is reported as minimum R squared method (MRS). Each (OC/EC)pri ratio of three ways are 0.35, 1.22, and 1.77, respectively from the 1 hourly data. We compared the (OC/EC)pri ratio from 1hourly data with 24 hourly data and revealed that (OC/EC)pri estimated from 24 hourly data had twice larger than 1hourly data due to the low time resolution of sampling. We finally confirmed that the most appropriate value of (OC/EC)pri is that calculated by a regression analysis of 1 hourly data and estimated SOC amounts at PM2.5 of the Seoul atmosphere.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객특성별 골목상권 매출액 영향 연구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ustomer Characteristics on Sales of Alley Market Area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강현모;이상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11-620
    • /
    • 2018
  •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와 함께 주요 사업대상이 되고 있는 골목상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골목상권 재생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어떤 고객이 얼마나 많이 매출을 발생시키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특성이 골목상권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OLS 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골목상권 매출액과 독립변수인 고객특성, 입지특성, 구조특성의 관계가 상권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적 이질성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대안으로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적합도를 $R^2$과 AICc를 통해 비교한 결과, 지리가중회귀분석이 OLS 회귀분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OLS 회귀분석을 통해 여성고객 비율과 40-50대 고객비율, 골목상권 내 종사자수, 사업체 창업률, 건축물 밀도, 골목상권 면적이 정의 영향을 주는 반면 20-30대 고객비율, 지하철역과의 거리, 버스정류장과의 거리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가중회귀분석의 국지적 회귀계수 값들을 골목상권별로 비교한 결과, 여성고객 비율은 서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과 도심권, 동북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20-30대 고객비율과 40-50대 고객 비율은 동남권과 동북권 골목상권 매출액에 큰 영향을 주며 서남권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한정된 분석만 수행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골목상권별로 매출액 영향 요인을 식별함으로써 상권 활성화방안 수립과 도시재생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