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planning proces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기술혁신체제 하에서의 국가연구개발 평가 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 연구개발 예산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overnment's R&D Budgeting Evaluation System in Korea)

  • 박병무;이기종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19-839
    • /
    • 2009
  • R&D 규모의 확대는 평가의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가 전제이다. R&D 예산 및 사업에 관한 시스템 평가는 예산의 조정 배분과 사업의 성과에 대한 평가로 구분된다. 이 논문은 예산의 조정 배분과 관련한 예산평가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하는 것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예산평가 시스템의 핵심 관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후행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에 대한 조사 분석과 평가의 관점을 예산평가에 보다 긴밀하게 연계시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이를 위해서 전반적인 종합조정의 시스템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예산은 정책 기획 집행으로 연결되는 과정이다. 사업을 매개체로 하여 정책에 부합하는 기획내용에 따라 예산을 활용하여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따라서 연구개발사업의 구조 체계와 예산항목(코드) 구조와의 연계 강화가 중요하다. 이것은 의사결정 시스템 차원에서 정책과 예산의 연계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예산의 조정 배분, 정책과 사업의 성과평가, 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관련 시스템 상의 연계 강화와 운영일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기능이 정책기획 중심이 되어야 하며 정책부터 평가까지의 전과정상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운영지원 체계로 개편되어야 한다. 조정 배분과 성과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평가 시스템이 되려면 이들의 집행일정과 조사 분석의 내용과 시기가 보다 효용성이 높아져야 한다.

  • PDF

연구 분야 및 지원기관에 따른 연구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Costs of Funding as a Function of Research Area and Financial Institutions)

  • 천영돈;김동근;이윤빈;황지호;김용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3-180
    • /
    • 2013
  • Purpos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research grants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vestments in national research projects. Methods: We collected 15,454 pieces of data on research projects that finished between 2008 and 2010. Data preprocessing and visualization were done to der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 identified factors that affected funding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d estimated increasing or decreasing tendencies based on those factors. Results: We identifi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in awarding research grants. Strategies were suggested for the reasonable estimation of R&D budgets for investment purposes. Conclusion: This study will assist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governments in estimating funds required for R&D projects.

불확실한 상황하에서의 다복적 R & D 투자계획수립에 관한 연구-최적화 기법과 계층화 분석과정의 통합접 접근방안을 중심으로- (Multiobjective R&D Investment Planning under Uncertainty)

  • 이영찬;민재형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9-60
    • /
    • 1995
  • In this paper, an integration of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SDP), integer goal programming (IGP)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proposed to handle multiobjective-multicriteria sequential decision making problems under uncertainty inherent in R & D investment planning. SDP has its capability to handle problems which are sequential and stochastic. In the SDP model, the probabilities of the funding levels in any time period are generated using a subjective model which employs functional relationships among interrelated parameters, scenarios of future budget availability and subjective inputs elicited from a group of decision makers. The SDP model primarily yields an optimal investment planning polic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actual funding received may be less than anticipated one and thus the projects being selected under the anticipated budget would be interrupted. IGP is used to handle the multiobjective issues such as tradoff between economic benefit and technology accumulation level. Other managerial concern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project portifolio within each stage of the SDP model. including project selection, project scheduling and annual budget allocation are also determined by the IGP. AHP is proposed for generating scenario-based transformation probabilities under budgetary uncertainty and for quantifying the environmental risk to be considered.

  • PDF

소방·방재 R&D 성과분석 연구 (Performance Analysis for Fire Suppression and Disaster Management R&D Projects)

  • Yoon, Jonghyun;Kim, Geunyoung;Lim, Hyeounjo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208-218
    • /
    • 2014
  • 재난 안전사고에 따른 피해액 증가 및 재난 안전 관련 산업의 성장은 소방방재 R&D 사업에 대한 과학적 성과평가의 필요성을 높여 주고 있다. 2004~2011년 동안의 소방방재 R&D 성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과유형에 있어서 학술적 성과와 공공적 성과가 다수를 이룬다. 그리고 연구수행주체와 연구개발단계별로 성과유형의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수행주체별 성과물의 특성과 연구개발단계별 성과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연구과제 선정평가 시 적절한 연구수행 주체와 과학기술분야의 선정과 수행 주체별 성과목표 설정의 적절성을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성과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와 같은 소방 방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로세스모델링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R&D지원정책의 논리모형 (A Study on the Logical Model of R&D Support Policy for Social Enterprise)

  • 경종수;이보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6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R&D활동 체계화와 지원정책의 논리모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회적기업의 R&D수요조사 및 심층면접(FGI)을 토대로 R&D활동을 체계화하여 R&D정책의 논리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의 R&D활동은 일반기업과 비교해 초기단계이거나 체계성이 매우 미흡하다. 프로세스모델링 방법은 사회적기업의 R&D활동 세부요소를 표준화하는 방법으로 R&D지원정책의 논리성 확보에 활용될 수 있다. 연구결과 사회적기업들은 사회가치 증진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R&D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R&D경험 및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R&D전문기관(R&D기획전문기관,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과 협력을 통한 R&D역량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사회적기업 R&D활동의 성과지표는 심층면접(FGI)을 통하여 투입-과정-성과지표 단위로 도출하였고, R&D지원정책의 논리모형은 심층면접자료와 기존연구를 참고하여 사업정의, 주요고객, 비전체계, 사업전략, R&D활동요소, 성공요인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고령친화 기능성 게임산업과 문화콘텐츠 기술(CT) R&D 발전랑안의 모색 (A Study on Senior friendly function Game Industry and Culture Contents Technology(CT) R&D development process.)

  • 김연정;박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57-65
    • /
    • 2009
  •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upply status on Contents Technology R&D(research and development) and friendly function Game Industry targeting to elderly consumers. The game contents includ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are categorized the sixth category of CT R&D's fundamental planning. The function game targeting to elderly focused on emotional and physical recovering to barrier, user friendliness, simplicity and certainty of game performance. The purpose of game participation are health, well-being, psychological wellness and communication. The functional game consisted of various version procedure by socio-demographic, the accessibility to game media and device.

  • PDF

태양광산업 분야의 중소기업형 R&D 과제 기획 연구 (R&D Project Planning of Photovoltaic Industry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서민호;권영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81-89
    • /
    • 2010
  • The photovoltaic industry is one of the main research areas for regenerable energy usage and green growth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R&D programs of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KE(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re concentrating on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and applicable technology which can be carried out by a so-called "Big company" consortium. So it is essential to discover and support R&D project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in the photovoltaic industry. R&D projects should be funded effectivel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MEs. It is a complicated process as to decide what R&D projects or key element technologies should be selected and how to support them. In this paper, the supply chain analysis is adopted as a critical tool for selecting the research areas and topics for the SMEs, which can be done by analyzing the number of the SMEs, the level of imports and the localization possibility for each supply chain element. We define the strategic products for the SMEs to deduct core technologies for each strategic product. R&D projects definition sheets are proposed for each core technology. All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are authorized by a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for academia, industries and the research field.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framework is described throughout the photovoltaic industry.

차세대 해양생명공학사업 추진 전략수립 연구 (A study on Strategic Planning of Marine Bio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 강길모;장덕희;최용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4-101
    • /
    • 2014
  •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an adaptive and collective National Marine Biotechnology Plan for the next decade(2014~2023) which is able to reflect current and future changing environment. This effective strategy targets to foster marine-derived active bio-materials, marine bioenergy production technology and many promising technologies in order to promot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as a next-generation growth engine. Marine biotechnology industry based on R&D activities since 1980 has been growing as an emerging industry. This new field enables to secure exclusive patent rights and to find new potential bio-active materials from the ocean that requires long-term aggressive R&D investments. The current policy direction is to raise appropriate level of R&D investment because the current Korea's national marine biotechnology R&D fund ratio is less than 2% of the total national biotechnology R&D budget. The result shows three major strategies. First, it recommended a research implementation system and supporting policy that includes establishment of open innovation framework for the 'Industry-Academia-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s', strategic research planning and enhanced policy making process. Second, it derived state-of-the-art or new technology in many areas. Third, it formulated more detailed execution plans for successful R&D support and set up performance indicator system in related R&D program.

국방 기술의 민수화 우선순위 평가 방법론 : 특허 분석 및 계층분석과정 (AHP) 기반 (A Priority Evaluation Methodology for Spin-off of Defense Technology : Patent Analysis and AHP Approach)

  • 박윤미;설현주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5-27
    • /
    • 2010
  • 민군 겸용기술은 민간부문은 물론 군사부문에도 이용되는 기술로 이러한 기술은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안보 역량을 동시에 충족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저비용 고효율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민군 겸용기술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 기획 방법 및 이와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은 제기되어 왔으나 실제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민군 겸용기술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 기획에 있어 기술의 겸용성과 이전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절차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허와 특허 인용 그리고 특허와 산업 연관관계를 바탕으로 한 기술 개발 우선 순위 도출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계층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방 기술분야 중 항공기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국방 분야 기술 수요 도출시 민수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민군 겸용기술을 발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증거기반 연구개발 정책 지원을 위한 정보 분석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정책과정의 합리성 제고에 관한 실무적 고찰 (Information Analysis Framework for Supporting Evidence-based Research and Development Policy: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Rationality in the Policy Process)

  • 이도연;김근환
    • 정보화정책
    • /
    • 제28권1호
    • /
    • pp.77-93
    • /
    • 2021
  • 본 연구는 정책과정에서 다양한 증거가 활용되어 정책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규범적 주장보다 실무적으로 증거의 바탕이 되는 정보가 정책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들 간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분석 프레임워크와 분석된 정보를 통해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운영 절차를 제시하였다. 특히 국가경쟁력 제고 및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학기술 관련 지식의 창출을 촉진하는 연구개발(R&D) 정책과정 중 정책형성단계에서 수행되는 전략기획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가 현안인 고령화를 사례로 국가R&D 전략기획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들 간 대립적이고 갈등적인 상황을 운영절차를 통해 정책과정의 합리성을 확보하고,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소통을 유도하여 갈등을 협상 진화적으로 전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R&D전략기획을 수립하는데 발생하는 갈등 관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정보 분석 프레임워크와 이를 활용한 운영절차를 이해관계자들과 사전에 합의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증거기반 정책의 본질을 환기시키고 있으며, 합리적 행위를 강화함으로써 증거기반 연구개발 정책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