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Trends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3초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메타버스 분야 국가 R&D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National R&D Trends in the Metaverse Field using Topic Modeling)

  • 이정우;이소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8호
    • /
    • pp.9-20
    • /
    • 2022
  •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 산업이 부상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관련된 국가 전략 및 육성 체계가 마련되었다. 정책의 복잡성이 증대됨에 따라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아직까지 메타버스 분야의 국가 R&D 동향을 진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추진된 9,651개 R&D 과제에 대한 NTIS의 국가 R&D 정보를 수집하여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토픽 모델링에 기반하여 주요 주제를 식별하고 시계열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메타버스 분야 R&D 과제의 주요 토픽은 11개로 도출되었으며, 핫 토픽은 서비스·콘텐츠·플랫폼 개발 분야와 응용분야의 의료·수술 분야이었고, 콜드 토픽은 도시·환경·공간정보 분야였다. 정책 방향으로 전략적 R&D 관리와 메타버스 관련 법·제도 연구를 제안하였다.

철강산업의 기술혁신패턴과 발전과제 (The Patterns and Direct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teel Industry)

  • 송성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4-110
    • /
    • 2000
  • This article prospects the patter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teel industry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steel industry.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s can be analysed through technological trends, innovation-inducing mechanism, and innovators' relationships. In the technological trends, direct coupling of manufacturing processes, lasting growth of mini-mill,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integration are prospected. In the innovation-inducing mechanism, while production system will be specialized, the development of new steel materials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cal innovation will be accelerated. In the innovators' relationships, steel industry faces more complex competition and new forms of inter-firm cooperation including M&A, joint venture, and joint R&D. In order to cope with such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s, Korean steel industry need to establish core competence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a great leap in R&D investment,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products, the development of new generation steel technologies, strategic joint R&D, comprehensive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government's active support.

  • PDF

R&D Trends of Brown Algae as Potential Candidates in Biomedical Application

  • Kim, Tae-Hee;Jung, Won-Ky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
    • /
    • 2019
  • Seaweeds contain various bioactive compounds. Especially, brown algae (Phaeophyceae), the second abundant group of seaweeds, contain numerous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substances. In this review, we investigated on the brown algae-related patents and literature. Consequent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trends of patent related to brown algae showed that the large majority was applied as the composition of stem cell culture medium and mostly used as active substances.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many researchers try to investigate and develop applications of brown algae as the sophisticated-level biomedical materials because brown algae are actively developing as simple-level biomedical materials.

UAV 핵심 기술 특허분석을 통한 기술 및 한국의 경쟁력 분석 (Technology and Korea's Competitiveness Analysis through UAV Patent Analysis)

  • 배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868-187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항공 ICT분야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에 대한 효율적인 연구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하여 특허분석을 기반으로 기술의 메가트렌드 및 경쟁력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UAV 핵심 기술의 메가트렌드 분석을 위해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의 공개/등록 특허를 중심으로 특허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기술은 UAV와 ICT기술이 융합이 되는 기술을 중심으로 3개의 소분류로 구분하였으며, 특허검색 결과 총 3,433건이 검색되었다. UAV 핵심 기술별 경쟁력 및 한국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특허 활동력, 특허 피인용률 및 주요 시장 확보율을 분석 지표로 사용하였다. 각 핵심 기술에 대한 R&D 전략 영역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영역별 연구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 선진 기업의 연구 개발동향 및 핵심특허 현황 등을 객관적인 특허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UAV 분야의 연구개발 및 특허 확보 전략 수립에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보건산업부문 기업부설 연구소의 동향 (Trends of healthcare industry research institutes)

  • 홍상진;강탁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50
    • /
    • 2002
  • Health industry, a knowledge based high value-added industry, is being considered as a strategic area for the 21C and many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every endeavors for the promotion of health industry alo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new materials, and mechatronics. Korean health industry, however, has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al supports as well as bound by strict regulation so far, and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echnology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In 21C, technology is the main factor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at is why the role of R&D institutes are so important in the high level of competition to cope with the technology protection policies of advanced countries. In this article, with Directory of Korean R&D Institutes published by Korea Industry Technology Association, I reviewed the trends of R&D institute of health industry.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ortion of health industry R&D institute is 3.6% of total R&D institute but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s over than 5% This means health industry are knowledge based and R&D intensified industry, meanwhile the variations of same industry R&D institutes of health industry is huge in R&D investments and other activities. Regional distributions of health industry institutes show some kind of different patterns in each industry areas. Medical devices and Medical informatics's preference of metropolitan region are distinguished with other industry areas. Many of the institutes are located in same site of it's company rather than operating separate building for R&D specific uses. It is better for transforming ideas to products and close cooperation of research body with product lines, but it is a handicap for network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research institutions too. It takes 18.4yrs for bearing R&D institute on the average. For a long times 'copy products' or 'me too products' policies were easy way to maintain business entities. But recently, it is recognized that research activities are essential component of sustaining it's own business firms. This means technology itself is leading power of corporation itself in the high level of competition.

  • PDF

Q-mark 모델의 R&D 품질 영향 분석 (R&D Quality Impact Analysis of Q-mark Model)

  • 박정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1호
    • /
    • pp.154-161
    • /
    • 2015
  • 본고에서는 Q-mark 모델의 R&D(Research & Development) 품질 영향 분석을 기술한다. 이를 위해 Q-mark 모델 특징과 종류 그리고 절차를 간략히 기술하고, R&D 품질에 대한 Q-mark 인증 모델 영향에 대해 연구현장 설문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결과 완성도 측면, 대외 신뢰도 개선을 통한 과제 수주 측면, 기술 이전과 사업화 측면, 그리고 과제관리 효율화 측면 등에서 분석하여 제시한다. 또 앞으로 Q-mark 모델이 보다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R&D 품질관리를 위한 인증 모델로 개선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증 측면, 프로세스 범주 측면, 제공 템플릿 측면, 그리고 품질 지원 서비스 및 전문성 측면에서 기술한다.

  • PDF

특허정보의 NLP 분석을 통한 R&D 계획수립 방안 연구: 디스플레이 기술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R&D Planning Through NLP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Focusing on Display Technology)

  • 김정희;김영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817-826
    • /
    • 2022
  • Patent information describes the history of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relevant field, so it can be usefully used to identify trend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hange and to establish R&D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dentify the needs and problems of technology development at the planning stage of the R&D process and to analyze core technologies through patent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technology. As a big data source, collected patent documents registered in Google Patents for foldable technology,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display industry, and then extracted keywords using NLP analyzer. By classifying the extracted keywords into needs and problems for technology development, developed technology and materials, identified the needs of the market and customers and analyzed the technologies being researched and develope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erformed patent analysis, this methodology is different in that i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analyze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from big data called patents even if you do not hav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text min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igitalization of the R&D process based on data analysis.

기술과 주체 간 상호 관계 중심적 R&D 전략 수립 지원 서비스 (R&D Strategic Planning Support Service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y and Actor)

  • 이진희;이미경;김진형;이승우;조민희;정한민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16
    • /
    • 2012
  • R&D 전략 수립은 연구 개발의 성공을 결정할 수 있는 첫 단계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렇지만, 현재까지의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자동화된 방식은 계량/비계량 분석 기법을 이용한 단편적 서비스들을 체계화된 설계 없이 모아 제공하고, 전문가들이 직접 서비스들을 조합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R&D 전략 수립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서비스 요소인 기술과 주체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세분화하고 설계한다. 그 결과로 트렌드와 예측 (Trends and Predictions), 기술 수준 (Technology Levels), 연관 관계 경로 (Relationship Paths), 로드맵 (Roadmaps), 경쟁자와 협력자 (Competitors and Collaborators) 서비스들이 도출되었으며, 1.540만 건의 논문과 특허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구현하였다. 향후 전략적 인텔리전스의 최상위 단계인 Optimization 단계를 지원하기 위해 또 다른 서비스 요소를 도입하고 기존 요소들과의 병합을 시도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