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D 기술동향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Prior Art Search on Patent Output from National R&D Program (선행기술조사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특허성과를 중심으로)

  • Im, Bu-Ru;Park, Kyoo-Ho;Lee, Ke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9 no.1
    • /
    • pp.177-201
    • /
    • 2011
  • This study is trying to estimate the effect of survey of prior art on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 with the purpose to enhanc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of patent information and R&D activities.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one of the survey of prior art which gives the information about existing technology and patent trend to the project tea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5. In this paper, effects which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has on the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are estimat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input factors, characteristics of an agent and supplier of money. The result is that Patent and Technology Trend Research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grant and applic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 This result can give an hint that the utilization of patent information make the R&D process efficient and effective.

  • PDF

Electric Vehicle Technology Trends Forecast Research Using the Paper and Patent Data (논문 및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기술 동향 예측 연구)

  • Gu, Ja-Wook;Lee, Jong-Ho;Chung, Myoung-Sug;Lee, Joo-yeo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165-172
    • /
    • 2017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search / technology trends of electric vehicles from 2001 to 2014, through keyword analysis using paper data published in SCIE or SSCI Journal on electric vehicles, time series analysis using patent data by IPC, and network analysis using nodeXL. also we predicted promising technologies of electric vehicles using one of the prediction methods, weighted moving average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battery technology among the electric vehicle component technologies appeared as a promising technology.

스마트 물류 R&D 동향과 PA의 추진전략

  • Jeon, Tae-Ryang;Yeon, Jeong-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75-277
    • /
    • 2019
  • 최근 항만물류부문 4차 산업혁명과 IoT 기술 확산으로 스마트 물류와 자동화 항만에 대한 정부의 R&D 동향과 PA가 참여하는 기술개발 R&D 사업에 대한 추진전략을 제시함.

  • PDF

Trends of 3D R&D Policy in Japan (일본의 3D 연구개발 정책동향)

  • Kim, P.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2
    • /
    • pp.149-157
    • /
    • 2012
  • 최근까지 정체 국면에 있던 3D 산업이 2012년부터는 런던 올림픽과 여수 EXPO 등 글로벌 이벤트 발생으로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BBC 등 글로벌 미디어들도 3D 방송을 본격화할 예정이어서 3D 콘텐츠 시장이 국내외적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3D 산업이 초기 시장이기 때문에 향후 3D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의 목적은 정부 주도로 연구개발을 수행하면서 3D 연구개발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일본의 3D 연구개발 정책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발굴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UNS(Universal Communications, New Generation Networks, Security and Safety for the Ubiquitous Network Society) 전략 프로그램 II'를 중심으로 일본의 3D 기술개발 관련 주요 전략을 살펴 보았으며, 3D 기술개발을 위한 R&D 조직인 NICT(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및 URCF(Ultra-Realistic Communications Forum)의 역할을 소개하는 한편, 일본의 3차원 영상기술에 의한 초현장감 커뮤니케이션 기술개발의 현황과 전망을 고찰하였다.

  • PDF

Trends in Technology Roadmap and Explora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Leading R&D Planning (선도적 R&D 기획을 위한 기술로드맵 및 미래 유망기술 탐색 동향)

  • Y.H. Choi;K.D. Kim;H.S. Chu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9 no.2
    • /
    • pp.93-102
    • /
    • 2024
  • As the scal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creases, countries and companies are consistently establishing R&D directions to meet strategic goals and market demands as well as roadmaps to increase efficiency through concentration and selection. However, establishing an effective roadmap and discovering promising technologies ar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numerous technological possibilities and uncertainties.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promising technologies to secure fut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s recognized worldwide, and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establishing processes to identify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and support related R&D. Methods for discovering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can be classified into future social needs analysis, forecasting, surveys, use of expert opinions, and data analysis. We describe the type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roadmaps and investigate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organizations using weak signal search through quantitative data analysis.

해양바이오 분야 R&D 지원의 동향분석과 함의 : 정부 R&D 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 Jang, Duckhee;Doh, Soo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75-139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 R&D의 지원동향 분석을 기초로 향후 이 분야 정부연구개발 사업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NTIS DB를 통해 식별한 3,030건의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과제명을 기초로 한 주제어 간 연결 관계를 SNA(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해양바이오 분야에 지원된 정부지원 연구개발 사업은 사업수와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분야 특성상 이 분야에 대한 R&D 지원은 해수부가 주도적이지만, 대체로 범부처적 성격을 갖는다. 셋째, SNA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업이 해양생명자원이 가진 특이기작으로부터 유용신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국내 디지털 콘텐츠·미디어 분야 주요 정책 현황 및 R&D 동향

  • Yun, Jun-Sang;O, Se-Yu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1
    • /
    • pp.13-20
    • /
    • 2022
  • 콘텐츠·미디어 기술은 기존의 평면 중심의 서비스에서 가상 증강현실, 홀로그램, 라이트필드 등의 입체·공간 서비스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는 시각과 청각 중심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촉각, 후각 등 오감의 영역으로도 확장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 19 장기화로 비대면이 필요해진 산업과 일상생활에 3차원 공간을 활용한 메타버스의 구현으로 국민 누구나 용이하게 새로운 콘텐츠·미디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본 고에서는 우리 정부의 콘텐츠·미디어 분야 주요 정책 현황과 R&D 투자동향에 대해 짚어보고, 2022년도 콘텐츠·미디어분야 R&D 과제기획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술사업화 정책 동향 및 촉진 전략

  • Park, Ho-Yeong;Park, 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1
    • /
    • pp.16-24
    • /
    • 2016
  • 기술사업화는 R&D의 결과물인 기술에 내재된 잠재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R&D기획부터 기술개발, 기술이전, 상용화에 이르는 기술성장의 전 과정을 포괄하며, 각 과정은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참여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먼저 기술사업화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이어 본론에서 R&D성과의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과 관련한 정책 동향과 현황, 기술사업화 과정 및 유형, 그리고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 되는 주요 경로인 기술이전과 기술창업 등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공공R&D 성과의 사업화와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 이슈를 소개하고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한다.

New Technology Trends: Changes of Food Technologies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한국식품연구원신기술동향: 식품기술의 변화를 부르는 기술)

  • Park, Jungmi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6 no.4
    • /
    • pp.286-293
    • /
    • 2013
  •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타분야 기술로 빠르게 파급된다. 최근 등장하는 기술 역시 농식품 분야로 전파되어 새로운 식품기술(Food Technology)의 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식품에 적용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나 일부 연구자들은 발빠르게 움직여 관련 결과가 제시되기도 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호에서는 3D printing, Big data, 영상기술 등 타분야의 신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