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업화 정책 동향 및 촉진 전략

  • 박호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박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기술사업화는 R&D의 결과물인 기술에 내재된 잠재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R&D기획부터 기술개발, 기술이전, 상용화에 이르는 기술성장의 전 과정을 포괄하며, 각 과정은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참여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먼저 기술사업화의 개념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이어 본론에서 R&D성과의 기술이전 사업화 촉진과 관련한 정책 동향과 현황, 기술사업화 과정 및 유형, 그리고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이 사업화 되는 주요 경로인 기술이전과 기술창업 등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공공R&D 성과의 사업화와 관련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중소기업 지원 이슈를 소개하고 기술사업화 활성화 및 성공을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정(2014), 정부 R&D 성과의 기술사업화 실패 사례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미래창조과학부(2015), 2014년도 기술무역통계보고서.
  3. 박웅, 김은정, 박호영(2016), ICT분야 중소기업의 산.연 공동연구 의사결정 영향요인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8권 2호, 25-44.
  4. 박웅, 박호영(2014), 기술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에 관한 연구: 공공 연구개발성과 사업화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4호, 786-819.
  5. 배영임, 김군수, 권상집, 신혜리(2015), 경기도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연구원
  6. 산업통상자원부(2015), 보도자료: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사업화 성적표 나와.
  7. 손수정, 양은순(2012), 대학 R&D 기반 기술창업 활성화 방안 및 정책 개선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윤종민 (2013), 대학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 운영제도의 성과와 과제, 기술혁신학회지, 제16권 제4호, 1055-1089.
  9. 이승민, 헬스케어 산업의 창업 동향과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 169.
  10. 중소기업중앙회(2016), 2016년 중소기업 위상지표
  11. 중소기업청(2015), 기술창업 가이드.
  1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4년 기술이전.사업화 조사분석자료집
  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5), 기술마케팅 Action 매뉴얼
  14. 현창희, 김서균, 박호영, 이익찬, 강은아(2015), 훤히 보이는 ICT R&D 기술사업화, (주)콘텐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