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과제정보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44초

국가R&D 과제 키워드를 활용한 과학기술용어사전 구축 방안 (A Method of Building a Science Technology Glossary using National R&D Project Keyword)

  • 김태현;조우승;유은지;강남규;최광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81-182
    • /
    • 2019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는 국가R&D 과제정보를 중심으로 참여인력, 성과(물), 참여기관 등의 정보를 연계하여 제공하고 있다. 각 과제정보는 한글 및 영문 키워드와 과학기술표준분류를 포함하고 있어, 과제정보를 중심으로 한 국가R&D정보 검색 및 분류에 활용하기 적합하다. 이러한 국가R&D정보를 서비스함에 있어 단순 검색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R&D 정보에 적합한 과학기술용어사전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R&D 과제 키워드를 활용해 국가R&D정보에 적합한 과학기술용어사전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NTIS 범부처 국가R&D과제 신청 프로세스 설계 (A Study on Process Design for Applying the National R&D Projects of Governmental Department)

  • 한희준;김윤정;최희석;김재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7-590
    • /
    • 2014
  • 국가R&D사업 관리를 위해 17개 부처 청은 각각의 과제관리 대표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며, 16개 대표전문기관은 매년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고 예산을 집행하며, 협약된 과제에 대한 성과를 관리하고 있다. 국가R&D 과제를 발주하기 위해 먼저 사업에 대한 공고를 시행하는데 대부분의 부처 및 대표전문기관은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한다. 대표전문기관은 각각의 연구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R&D과제 공고정보를 게제하고 연구자는 해당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과제를 신청한다. 이 때 과제신청을 하고자하는 연구자는 원하는 공고정보를 찾고 과제를 신청하기 위해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을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범부처 국가R&D과제 공고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산재된 연구관리시스템에 개별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도 과제신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기종간의 로그인 방안과 과제신청 프로세스, 신청된 관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논하며, 이는 국가R&D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과제 신청 방법의 효율성을 제공한다.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Linking System for National R&D Information)

  • 권이남;김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95-202
    • /
    • 2008
  • 식별체계를 활용한 참조연계 서비스가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각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국가 R&D정보는 국가 R&D사업의 과제, 참여인력, 연구개발 결과로 산출되는 성과, 연구 장비 등에 관한 정보이다. 전 부처의 모든 국가 R&D정보에 식별체계를 부여하고 과제와 관련된 성과, 과제의 참여 연구원 정보, 과제와 관련된 장비, 성과와 관련된 인력정보 등 정보간 관련 연계정보를 검색없이 바로 링크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참조연계서비스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식별체계 기반의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국가 R&D정보의 동종 및 이종 정보간 정보연계를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Linking System for National R&D Information)

  • 권이남;김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177
    • /
    • 2007
  • 식별체계를 활용한 참조연계 서비스가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각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국가 R&D정보는 국가 R&D사업의 과제, 참여인력, 연구개발결과로 산출되는 성과, 연구 장비 등에 관한 정보이다. 전 부처의 모든 국가 R&D정보에 식별체계를 부여하고 과제와 관련된 성과, 과제의 참여연구원 정보, 과제와 관련된 장비, 성과와 관련된 인력정보 등 정보간 관련 연계정보를 검색없이 바로 링크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참조 연계서비스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식별체계 기반의 국가 R&D정보 참조연계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국가 R&D정보의 동종 및 이종 정보간 정보연계를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PDF

도서관 R&D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R&D Policy Agenda)

  • 이수상;노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9-2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사회/스마트 세대를 위한 스마트 도서관을 지향하기 위해 필요한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책적 과제들을 발굴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R&D 정책과제 탐색을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계량정보 분석 방법과 주제분석 방법,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 분야의 유망과제를 발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한 도서관 R&D 유망과제 예비 리스트는 연구팀의 브레인스토밍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과제화 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종 과제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AHP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를 스스로 주도할 수 있는 지적 기반의 마련을 위한 R&D 과제 개발 및 이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R&D과제정보 요약을 위한 한국어 정보요약 시스템 (Korean Information Summary System for National R&D Projcet Information Summary)

  • 이종원;김태현;신동구;조우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4
    • /
    • 2022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이하 NTIS)에서는 국가R&D과제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과제정보는 '과제명', '과제수행기관', '연구책임자명' 등의 메타정보와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와 같은 과제를 설명하는 텍스트들로 구성되어있다. 과제정보 100만건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목록에서 '연구목표' 나 '연구내용' 등을 모두 확인하여 원하는 과제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R&D 과제정보 내에서 장문의 텍스트로 구성된 부분을 요약하는 과제정보 요약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전처리기를 구축하고 전처리된 텍스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 기술 기반 과제정보 요약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장문으로 구성된 과제정보를 압축 및 요약된 형태로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요약정보만으로도 전반적인 내용을 쉽고 빠르게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특허 정보를 활용한 R&D 과제 유사도 측정 모델 (A Model for Measuring the R&D Project Similarity using Patent Information)

  • 김종배;변정원;선동주;김태균;김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013-1021
    • /
    • 2014
  • 정부의 입장에서 R&D 과제간의 유사도를 분석하는 것은 불필요한 예산의 낭비를 없애고, R&D 투자의 효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 동안,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두 문서간의 유사도를 분석하거나, 문장 단위로 유사도를 분석함으로써, R&D 과제의 중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아직까지 그 정확도는 매우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 수행된 R&D 관련 특허를 조사, 수집하는 정부 R&D 특허기술동향조사사업의 특허분석 DB를 활용하여 R&D 과제간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집합 이론 및 확률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사도 측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모델의 검증을 위해 156개 과제, 160,218개의 유효특허를 기반으로 유효특허기반 과제 유사도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기술가치평가를 적용한 R&D 평가관리체계의 효율성 제고 : ICT분야 기술의 경제적 가치와 매출발생 효과 비교분석

  • 성택응;이헌휘;김효은;박현우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9-696
    • /
    • 2017
  •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ICT 기계, ICT 금융, ICT 의료, ICT 나노 등과 같이 기술분야별 영역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학제간 연구(Interdisplinary Research)가 일상화됨에 따라 국가 R&D 과제도 융합기술의 형태로 진화, 발전하고 있다. 부처별 R&D 과제의 결과물에 대한 성과평가는 현 시점에서 정성 평가지표에 대한 전문가의견법 결과를 참조하고 있으며, 일부 과제에 있어서 특허의 상태적 우위도(등급화) 결과를 반영하는데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3~5년전 기술가치평가가 수행된 정부 R&D 과제에 대해, 가치평가 결과를 매출발생 시점 이후의 매출액 증감분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특히 ICT 분야 R&D 과제로부터 산출된 기술적 성과(특허 10건 선정)에 대해, 해당 기술을 사업화한 주체(기업)의 매출액 실적을 비교하여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 공공 R&D 과제의 평가관리 체계에 포함할 수 있는 실질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술가치평가 모형 및 참조정보 활용방안은 R&D 평가년도의 성과물에 대한 경제적 가치 수준 파악을 할 수 있는 평가툴이 되는 동시에, 차년도 국가 R&D 과제에 지원한 우수 기술 보유 기관의 미래 수익성을 파악하여 과제선정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정보지원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연구개발(R&D)과제 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방안 (A Study on a Method to Us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rocess of R&D Project Planning)

  • 김용;한희정;이균형;이윤석;안승권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4호
    • /
    • pp.69-96
    • /
    • 2012
  • 특허와 같은 지적재산권, 과학데이터와 같은 1차 정보 등의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R&D 과제기획에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은 R&D 과제에 투여되는 예산 및 기회비용의 절감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기획과정에서 산업기술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획의 정의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 연구과제 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정보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기획과정에서 이러한 산업기술정보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성공한 국내외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기획을 위해 활용되는 산업기술정보 분석기법을 분석하고, 연구기획을 위해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R&D 과제의 유사도 및 중복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ystem for Measuring the Similarity and Redundancy of R&D Project)

  • 최국현;강용석;김종희;신용태;김종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9-331
    • /
    • 2014
  • R&D 과제간의 유사성과 중복성을 분석하는 것은 정부 예산의 효율적 투자를 위해 중요하다. 정부 R&D 과제의 기획 시, 예산의 중복 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 관리 전담기관, 관련 부처 및 정부차원에서 연구 과제의 중복성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사도 분석은 신규 과제 제안서와 기존의 R&D 과제 제안서를 키워드 중심으로 비교, 검색하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어, 과제명의 일부 수정, 기술상의 단순 대치 등의 경우, 유사도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R&D 과제 문서의 경우에, 이 문서들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으로써 특허 정보를 활용하고자 한다. 특허 정보는 정부 R&D 특허동향조사사업(http://ipas.rndip.re.kr)을 통해 공표된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과제가 입력되었을 때, 특허 정보를 이용하여 R&D 과제간의 유사성 및 중복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집합 이론 및 확률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사도 측정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한 측정 모델을 실제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중복문서를 식별하고 이들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