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26D projec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수자원 확보기술개발사업의 가치평가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Water Resources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 김현경;정다연;허은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0호
    • /
    • pp.783-79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의 21C 프론티어 사업 중 하나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에서 연구 개발 중인 수자원 확보기술을 대상으로 기술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는 개발기술의 가치평가를 통하여 R&D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개발된 기술이 실용화 단계까지 성공적으로 갈 수 있도록 기여함에 있다. 수자원 확보기술의 성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가가 모두 가능한 2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평가틀이 구축되었다.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들의 가중치는 계층분석과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구축된 기술평가틀을 2개의 수자원 확보기술 가치평가에 적용시켜 평가틀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또한 제시하였다.

양산 단계 노후 항공기 성능 개량에서 전기계통 이슈 해결을 위한 애자일 기법 적용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ile method to resolve electric system issues i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aged aircraft in the phase of mass production)

  • 윤인복;안경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560-567
    • /
    • 2022
  • 본 논문은 양산 단계 항공기 성능개량 진행 중 개조 현장에서 식별되는 전기계통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애자일 사업관리 기법 적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애자일 기법은 공식 형상심의 절차 진입 전까지 이슈분석 단계와 현장점검 단계에 적용하였다. 이 때 일일 스크럼과 스프린트 리뷰를 통해 보완 설계를 거쳐 요구사항에 따른 배선 장착 및 검증까지 스프린트 기간을 정하여 사업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정의된 스프린트 기간 내에 일정지연 없이 스프린트 산출물인 항공기 배선장착이 정의된 요구사항을 충족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Investments on Pro-poor Development Projects on Goats: Ensuring Success for Improved Livelihoods

  • Devendra,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1-18
    • /
    • 2013
  • Th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development projects on goats and the prerequisites for ensuring thi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bewildering diversity of goat genetic resources, production systems, multifunctionality, and opportunities for responding to constraints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Key determinants for the success of pro-poor projects are the imperatives of realistic project design, resolution of priorities and positive impacts to increase investments and spur agricultural growth, and appropriate policy. Throughout the developing world, there exist 97% of the total world population of 921 million goats across all agroecological zones (AEZs), including 570 breeds and 64% share of the breeds. They occupy a very important biological and socioeconomic niche in farming systems making significant multifunctional contributions especially to food, nutrition and financial security, stability of farm households, and survival of the poor in the rural areas. Definitions are given of successful and failed projects. The analyses highlighted in successful projects the value of strong participatory efforts with farmers and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effects on goats are inevitable and are mediated through heat stress, type of AEZ, water availability, quantity and quality of the available feed resources and type of production system. Within the prevailing production systems, improved integrated tree crops - ruminant systems are underestimated and are an important pathway to enhance C sequestration. Key development strategies and opportunitie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 and D) are enormous, and include inter alia defining a policy framework, resolution of priority constraints using systems perspectives and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vities, application of yield-enhancing technologies, intensification, scaling up, and impacts. The priority for development concerns the rainfed areas with large concentrations of ruminants in which goats, with a capacity to cope with heat tolerance, can be the entry point for development. Networks and networking are very important for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and can add value to R and D. Well formulated projects with clear priority setting and participatory R and D ensure success and the realisation of food security, improved livelihoods and self-reliance in the future.

Standard based Deposit Guideline for Distribution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in Cancer Patients

  • Seo, Hwa Jeong;Kim, Hye Hyeon;Im, Jeong Soo;Kim, Ju 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545-5550
    • /
    • 2014
  • Background: Human biological materials from cancer patients are linked directly with public health issues in medical science research as foundational resources so securing "human biological material" is truly important in bio-industry. However, because South Korea's national R and D project lacks a proper managing system for establishing a national standard for the outputs of certain processes, high-value added human biological material produced by the national R and D project could be lost or neglected.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aging process, which can be started by establishing operating guidelines to handle the output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The current law and regulations related to submitting research outcome resources was reviewed, and the process of data 'acquisition' and data 'distribu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big data and health 2.0 was examined in order to arrive at a method for switching paradigms to better utilize human biological materials. Results: For the deposit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the original process was modified and a standard process with relative forms was developed. With deposit forms, research information, researchers, and deposit type are submitted. The checklist's 26 items are provided for publishing. This is a checklist of items that should be addressed in deposit reports. Lastly, XML-based deposit procedure form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to collect data in a structured form, to help researchers distribute their data in an electronic way. Conclusions: Through guidelines included with the plan for profit sharing between depositor and user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material effectively and safely, so high-quality human biological material can be supplied and utilized by researchers from universities, industry and institutes. Furthermore, this will improv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leading to development in the national bio-science industry.

국가 감염병 공동R&D전략 수립을 위한 분류체계 및 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 해외 코로나바이러스 R&D과제의 분류모델을 중심으로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 Service for Establishing a National Collaborative R&D Strategy in Infectious Diseases: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Model for Overseas Coronavirus R&D Projects)

  • 이도연;이재성;전승표;김근환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3호
    • /
    • pp.127-147
    • /
    • 2020
  • 세계는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수 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연구개발(Research & Development)을 통해 국가 감염병 위기를 극복하려는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기 위한 투자방향을 수립하였다. 기존 기술분류나 과학기술 표준분류에 따른 통계를 활용하면 특정 R&D 분야의 특이점 및 변화를 발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해왔다. 최근 우리나라 감염병 연구개발 과제를 대상으로 수요자의 목적에 맞게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연구비 비교 분석을 통해 투자가 요구되는 연구 분야를 제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현재 국가 보건 안보와 신성장 산업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방안으로 요구되고 있는 전염병 연구분야의 국가간 협력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국가 공동 연구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분류체계와 분류모델기반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우선 감염병관련 NTIS 과제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성분석을 통해 7개의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스코퍼스(Scopus) 데이터와 양방향 RNN모델을 사용하여, 분류체계 모델을 학습시켰다. 최종적인 모델의 분류 성능은 90%이상의 높은 정확도와 강건성을 확보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주요 국가의 코로나바이러스 연구개발 과제를 대상으로 전염병 분류체계를 적용하였다. 주요 국가의 감염병(코로나바이러스) 연구개발 과제를 분류체계별로 분석한 결과,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창궐이 확산되는 속도에 비해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원인의 배경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별 비교분석을 통해 미국과 일본은 상대적으로 모든 영역에 골고루 연구개발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럽은 상대적으로 특정 연구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는 집중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주요 국가의 코로나 바이러스 주요 연구조직에 대한 정보를 분류체계별로 제공하여 국제 공동R&D 전략의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세 가지 정책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데이터기반 과학기술정책 관점에서 수요자 관심분야에 대한 국가 R&D사업의 정보를 글로벌 기준으로 문서를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감염병관련 국가 R&D사업 영역에 대한 정보분석 서비스 기획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 감염병 R&D 분류체계 수립을 통해 분류 체계의 궁극적 목표인 산업, 기업,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실험실(實驗室)에서의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 측정방법(測定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aboratory Test of Lime Requirement)

  • 박천서;이종기;이영춘;이재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7-123
    • /
    • 1968
  • 실험실내(實驗室內)에서의 가장 간편(簡便)하고 우리나라 조건(條件)에 맞는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 결정법(決定法)을 선정(選定)하기 위(爲)하여 26종토양(種土壤) 표토시료(表土試料)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에 3종(種)의 완충곡선법(緩衝曲線法)에 의(依)한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을 조사(調査)하여 표준(標準)이 될 만한 완형선곡법(緩衡線曲法)을 정(定)하고 이 방법(方法)에 의(依)한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을 조사(調査)하여 표준(標準)이 될 만한 완충곡선법(緩衝曲線法)을 정(定)하고 이 방법(方法)에 의(依)한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을 Shoemaker 법(法), Woodruff 법(法) 및 O.R.D. 법(法)과 비교논평(比較論評)한 결과(結果)는 대략(大略)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X)와 완충곡선법(緩衝曲線法)I에 의(依)한 $Ca(OH)_2$ 소요량간(所要量間)에는 y=9.69-0.106X의 회귀관계(回歸關係) 및 1%수준(水準)에서 유의(有意)한 부(負)의 상관계수(相關係數)(r=-0.84)를 얻었다. 2.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수소(水素)이온(X)과 완충곡선법(緩衝曲線法)에 의(依)한 $Ca(OH)_2$ 소요량(所要量)(y)간(間)에는 y=2.05-0.86X ($r=0.86^{**}$)의 관계(關係)가 있으며 치환성수소(置換性水素) 및 치환성(置換性) Aluminum 합계량(合計量)(X)과 $Ca(OH)_2$ 소요량(所要量)(y)간(間)에는 y=1.19+0.71X($r=0.944^{**}$)의 관계(關係)를 얻었으며 이로써 토양중(土壤中)의 치환성수소함량(置換性水素含量)만의 경우보다 치환성수소(置換性水素)와 Aluminum을 합(合)한 양(量)과 $Ca(OH)_2$ 소요량간(所要量間)의 관계(關係)가 더 밀접(密接)함을 보였다. 3. 완충곡선(緩衝曲線)을 작성(作成)할 때 N-KCl, $CaCl_2$ 등(等) 중성염(中性鹽)을 미리 가(加)하고 $Ca(OH)_2$를 가(加)하였을 때와 통상(通常)의 방법(方法)으로 작성(作成) 하였을 때의 중화(中和)에 소요(所要)된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과 공시토양중(供試土壤中)의 치환성수소(置換性水素)와 Aluminum 합계량(合計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통상(通常)의 방법(方法)으로 완충곡선(緩衝曲線)을 작성(作成)하여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을 결정(決定)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방법(方法)이라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4. 가장 합리적(合理的)인 완충곡선법(緩衝曲線法) I에 의(依)한 석회소요량(石灰所要量)(X)과 Woodruff 법(法), Shoemaker 법(法) 및 O.R.D.법(法)에 의(依)한 석회소요량간(石灰所要量間)에는 각각(各各) y=1.95+0.84X ($r=0.91^{**}$), y=166+0.76X($r=0.92^{**}$) 및 y=2.79+0.82X($r=0.89^{**}$)의 관계(關係)가 있으며 본(本) 실험(實驗)의 공시토양조건하(供試土壤條件下)에서는 Shoemaker법(法)이 실험실내석회소요량(實驗室內石灰所要量) 측정방법(測定方法)으로 합리적(合理的)이고 현지포장(現地圃場)에서 간역(簡易) 검정법(檢定法)으로 사용중(使用中)인 O.R.D.법(法)도 실험실내방법(實驗室內方法)과 별(別)로 손색(損色)이 없는 방법(方法)이라고 생각(生覺)되기 때문에 이 두 방법(方法)을 우리나라에서는 통일(統一)해서 사용(使用)할 것을 제안(提案)한다.

  • PDF

델파이-AHP 기법을 사용한 국가한의약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제4차 한의약육성발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National Korean Medicine Policy Priorities using Delphi-AHP : Focusing on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 이은희;김동수;박수경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
    • /
    • 202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iorities for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using Delphi and AHP techniques. Methods : This study uses Delphi-AHP method to first, select the target priority policy based on the policy content of the 4th Comprehensive Plan. In addition, two surveys on the priorities were conducted to reach consensus between experts. The main results of the first survey were also provided to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second survey to help form expert consensus. Finally, the final policy priority was chosen based on the second survey result. Results : Survey results showed that of the 39 policies in the 4th Comprehensive Plan,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Korean medicines," was the most important goal. This was followed by "support for Korean medicine R&D from clinical research to industrialization," "provide foundation for a pilot project that provides customized medical services" and "strengthen the public medicine function of Korean medicine by expanding the its infrastructure in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capacity building of Korean medicine in primary care, improvement of the health insurance system, and research centered on industrializatio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goals, while the need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was much less important. These key points can serve as a reference when formulating the 5th Comprehensive Plan for Korean Medicine Development in the future.

약물의 염전성 부정맥 유발 예측 지표로서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값들의 검증 (Verification of Cardiac Electrophysiological Features as a Predictive Indicator of Drug-Induced Torsades de pointes)

  • 유예담;정다운;;임기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9-26
    • /
    • 2022
  • The 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c Assay(CiPA) project was launched for solving the hERG assay problem of being classified as high-risk groups even though they are low-risk drugs due to their high sensitivity. CiPA presented a protocol to predict drug toxicity using physiological data calculated based on the in-silico model. in this study, features calculated through the in-silico model are analyzed for correlation of changing action potential in the near future, and features are verified through predictive performance according to drug datasets. Using the O'Hara Rudy model modified by Dutta et al.,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13 features(dVm/dtmax, APpeak, APresting, APD90, APD50, APDtri, Capeak, Caresting, CaD90, CaD50, CaDtri, qNet, qInward) calculated at 100 pacing, and between dVm/dtmax_repol calculated at 1,000 pacing,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each of the 12 training drugs, 16 verification drugs, and 28 drugs. Indicators showing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in the training drug dataset were qNet 0.93, AP resting 0.83, APDtri 0.78, Ca resting 0.76, dVm/dtmax 0.63, and APD90 0.61. The indicators showing high determinants in the validated drug dataset were APDtri 0.94, APD90 0.92, APD50 0.85, CaD50 0.84, qNet 0.76, and CaD90 0.64. Indicators with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for all 28 drugs are qNet 0.78, APD90 0.74, and qInward 0.59. The indicators vary in predictiv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drug dataset, and qNet showed the same high performance of 0.7 or more on the training drug dataset, the verified drug dataset, and the entire drug dataset.

자몽종자추출물과 자일리톨이 배합된 껌의 치은염 예방 및 항균효과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 진미성;유윤정;최봉규;이희영;김미정;노회진;박종섭;조규성;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485-497
    • /
    • 2003
  • Grapefruit seed extract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microbial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gingivitis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40 healthy subjects with gingivitis or early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and xylitol whil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chewed gum containing only xylitol. All subjects received scaling and tooth brushing instruction. 1 week after scaling was set as baseline. Gingival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cored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Bleeding index, probing pocket depth and clinical attachment level were scored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Streptococcus mutans in unstimulated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were counted at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Gingival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850${\pm}$0.298, 0.575${\pm}$0.345, 0.533${\pm}$0.332, 0.459${\pm}$0.311, 0.408${\pm}$0.224 and 0.758${\pm}$0.379, 0.592${\pm}$0.276, 0.563${\pm}$0.281, 0.454${\pm}$0.194, 0.413${\pm}$0.199 (mean${\pm}$SD), respectively. Plaque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1 week.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0.497${\pm}$0.500, 0.375${\pm}$0.484, 0.332${\pm}$0.471, 0,286${\pm}$0.452, 0.210${\pm}$0.407 and 0.411${\pm}$0.492, 0.375${\pm}$0.484, 0.354${\pm}$0.479, 0.313${\pm}$0.463, 0.193${\pm}$0.395, respectively. Bleeding indic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0.377${\pm}$0.177, 0.298${\pm}$0.152, 0.192${\pm}$0.108 and 0.383${\pm}$0.124, 0.318${\pm}$0.153, 0.225${\pm}$0.126, respectively. Probing pocket dept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6${\pm}$1.00, 2.40${\pm}$0.65, 2.23${\pm}$0.64 and 2.45${\pm}$0.682.37${\pm}$0.57, 2.19${\pm}$0.57, respectively. Clinical attachment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baseline, 2 week and 4 week were 2.58${\pm}$1.01, 2.43${\pm}$0.67, 2.26${\pm}$0.65 and 2.49${\pm}$0.70, 2.40${\pm}$0.59, 2.22${\pm}$0.62, respectively. The % of reduction of total bacteria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46 ${\pm}$ 53%, 53 ${\pm}$ 5% and 69 ${\pm}$ 33%. The % of reduction of Streptococcus mutans count in saliva of experimental group at 2 week, 3 week and 4 week were 52${\pm}$69%, 88${\pm}$30% and 89${\pm}$17%.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regular use of grapefruit seed extract /xylitol chewing gum may be effective to control and prevent gingivitis and may have caries-preventive effect.

신진연구자의 연구 성과 및 연구 네트워크 규모에서 포닥 경험의 역할: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를 대상으로 (The Role of Postdoctoral Experience in Research Performance and the Size of Research Network of Young Researchers: An Empirical Study on S&T Doctoral Degree Holders)

  • 고윤미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26
    • /
    • 2016
  • 연구자의 성장경로에 있어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시점은 변곡점이 형성되는 전환기로 경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수의 지도를 받는 학생의 입장에서 벗어나 독립된 연구자로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신진연구자 시기는 개인 연구역량의 축적과 더불어 독립적인 연구자로서 대외적인 명성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안정적인 연구자로서 자리 잡기 전까지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이 기간 동안 포닥 연구원의 경험이 지식이전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진연구자를 중심으로 논문 성과와 공저자 관계로 나타나는 지식이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박사취득 후 대학의 전임교원으로 임용되기 전까지 경험이 연구자의 논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2008년도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을 수행한 대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가과학기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연구자 정보를 활용하여 학력 및 경험사항, 연구 성과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STATA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포닥 기간의 경험 중 기관의 다양성이 논문 성과와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닥 경험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포닥 경험 기간이 길고 국외 포닥 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포닥 경험 기간 중 경험한 기관이 많고 국외 포닥 경험이 있는 경우 논문 성과와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닥 기간의 경험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의 변수로 고려할 수 있고 포닥 연구원 지원제도와 관련된 정부 정책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