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y Reusabilit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스트리밍 XML 상에서 트윅 질의 처리를 위한 패턴 매칭 프루닝과 재사용성 감지 기법 (Pattern-matching Pruning and Reusability Detection for Twig Query Processing on Streaming XML Data)

  • 박상현;류병걸;정다운;이상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64-1267
    • /
    • 2011
  • 스트리밍 XML 데이터로부터 트윅 패턴 추출시 질의와 무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프루닝함으로써 질의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작은 버퍼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질의 매칭 과정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1) 패턴 매칭 프루닝과 (2) 재사용성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기법과 비교하여 제안하는 기법은 스트리밍 데이터의 엘리먼트 이벤트, 버퍼상태 그리고 트윅 패턴을 고려하여 질의 매칭 과정을 최소화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기법이 기존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EER 모델을 이용한 Java Object 모델링과 Object 파서의 구현 (Java Object Modeling Using EER Model and the Implementation of Object Parser)

  • 김경식;김창화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6권1호
    • /
    • pp.1-13
    • /
    • 1999
  • The modeling components in the object-oriented paradigm are based on the object, not the structured function or procedure. That is, in the past, when one wanted to solve problems, he would describe the solution procedure. However, the object-oriented paradigm includes the concepts that solve problem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objects. The object-oriented model is constructed by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 to represent the real world. As in object-oriented model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increase, the control of objects caused by their insertions, deletions, and modifications comes to be very complex and difficult. Because the loss of the referential integrity happens and the object reusability is reduced. For these reasons, the necessity of the control of objects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is required. In order that we design a database necessary to implement Object Browser that has functionalities to visualize Java objects and to perform the query processing in Java object modeling, in this paper we show the processes for EER modeling on Java object and its transformation into relational database schema. In addition we implement Java Object Parser that parses Java object and inserts the parsed results into the implemented database.

  • PDF

설계 패턴 기반 컴포넌트 분류와 E-SARM을 이용한 검색 (Design Pattern Base4 Component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using E-SARM)

  • 김귀정;한정수;송영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5호
    • /
    • pp.1133-114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위하여 도메인 지향(domain orientation) 개념을 도입하여 컴포넌트들을 저장소에 분류,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설계 시 디자인 패턴이 적용된 기존 시스템의 컴포넌트를 대상으로, 해당 도메인 내에 있는 각 컴포넌트와 기준패턴과의 구조적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서 컴포넌트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기능별로 분할하고 그 구조를 다이어그램으로 제공함으로서 컴포넌트의 재사용 및 플랫폼간의 이식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E-SA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질의와 가장 적합한 컴포넌트와 그와 유사한 후보 컴포넌트들이 우선순위(priority order)로 제공됨으로서 컴포넌트 재사용 효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분산 컴포넌트 명세를 통한 e-비즈니스 컴포넌트 구축 (The e-Business Component Construction based on Distributed Component Specification)

  • 김행곤;최하정;한은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6호
    • /
    • pp.705-714
    • /
    • 2001
  • 오늘날의 컴퓨팅 시스템은 인터넷을 사용하여 비즈니스 거래와 분산 업무 처리로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정보 기술은 점차적 으로 재사용성과 독립성 그리고 이식성을 가진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응용 개발이 확산되고 있다. 컴포넌트 개발 형태는 코드의 재사용이나 클래스 라이브러리보다 좀 더 발전된 형태의 부품개발 형태로서,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를 기초로 한다. 그러나, CBD를 이용하여 새로운 컴포넌트를 구축하는 비용의 증가와 함께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는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빠르고 정확한 컴포넌트 정보를 웹 상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 측면에서 정규화 형태의 컴포넌트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접근하고 웹 상에서 빠르고 신속하게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네트워크상에서 비즈니스 도메인을 기반한 가장 소규모 단위의 분산 컴포넌트를 대상으로 인터페이스 명세를 제공한다. 컴포넌트 내부와 외부 관계를 담고 있는 명세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하게 분석되도록 구성하며 이러한 명세는 비즈니스 도메인에서 재사용 가능한 정보 크기인 EJB(EnterpriseJavaBean)로 서블릿 시스템 내에서 세션과 엔티티 형태의 정보로 나누어 저장된다. 비즈니스 컴포넌트를 제공하기 위한 질의를 사용하여 비즈니스 컴포넌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시스템은 차후에 등록, 자동 재배치, 조회, 테스트, 그리고 다운로드하여 컴포넌트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구축을 목표하며 이는 컴포넌트 재사용성을 증대시키며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자가 분산 컴포넌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 PDF

컴포넌트 기반 웹 데이터베이스 응용의 자동 생성기 (Automatic Generator for Component-Based Web Database Applications)

  • 음두헌;고민정;강이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71-380
    • /
    • 2004
  •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 응용의 핵심은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응용이다. 현재는 데이터베이스 응용에 필요한 모든 폼과 질의 처리코드를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작성하므로 웹 응용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 응용의 생산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터 새롭게 생성해야 하는 응용과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응용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폼들과 이 폼들을 통해 이뤄질 질의를 처리하는 EJB 및 JSP 컴포넌트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인 WebSiteGen2를 소개한다. WebSiteGen2는 컴포넌트 기술을 기반으로 3-계층(3-tier) 구조를 가지는 응용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웹 응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확장성, 재사용성 및 이식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WebSiteGen2가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폼들은 질의의 대상인 개체 뿐 아니라 이와 직$.$간접으로 연관된 모든 개체들에 대한 정보를 한 폼에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WebSiteGen2의 기능 및 구현원리를 설명하고, 상용화된 타 웹 응용 생성기들과의 기능을 비교하여 WebSiteGen2의 장점을 설명한다.

구글어스와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웹기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eb-based Geovisualization System using Google Earth and Spatial DBMS)

  • 임우혁;이양원;서용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41-149
    • /
    • 2010
  • 최근 웹 GIS에 있어 큰 흐름 중의 하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SS)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다. 지리정보를 웹에서 처리하는데 있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등장은 기존 상용소프트웨어의 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구현모듈의 재사용과 시스템 확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공간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PostGIS와 동적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구글어스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의 효율적인 사각화를 위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의 지도 시각화는 구글어스 플러그인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데이터를 KML(Keyhole Markup Language)로 자동 생성하여 구글어스 상에 다양한 지리적 형태로 시각화 할 수 있는 자바 모듈(KML Generator)을 구현하였다.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LAI(leaf area index), 임상도 및 정곡생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웹기반의 지리정보 표출 시스템이 다양한 지리공간데이터의 시각화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조적 정보 검색을 위한 XQL 질의 처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XQL Query Processing System for Structural information retrieval)

  • 김상영;김철원;김광현;박종훈;정현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92-896
    • /
    • 2003
  • XML은 단순히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기 위한 것을 넘어서 여러 다양한 시스템간, 어플리케이션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포맷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의 생성, 재사용, 처리 및 지속성, 이식성 등 XML 문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QL과 문서 구조 처리기와 질의 언어 처리기에 대해 설명하고 XML 문서의 내용을 트리구조로 만들어 구조정보를 파싱하는 동안 XQL을 이용해 질의에 맞는 XML 문서 트리 구조정보를 찾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웹 상에 분산된 XML 문서를 병합하여 파싱한 후 문서의 구조 정보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고 질의 언어로 제안되어진 XQL을 이용한 효율적인 XML 문서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HACM을 사용한 객체지향 재사용 부품의 분류와 검색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of Object - Oriented Reuse Components with HACM)

  • 배제민;김상근;이경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7호
    • /
    • pp.1733-1748
    • /
    • 1997
  • 재사용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해서는 다양한 응용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분류스킴과 검색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재사용 단계의 접근성의 핵심을 이루는 분류스킴을 클러스터를 이용한 계층적인 구조를 통해 정의하였다. 또한 검색시스템의 기능과 정확도를 결정하는 라이브러리 구조에 클러스터링 정보를 첨가하여 부품의 표현방법과 클래스들간의 유사관계를 기술,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개발자에게 소프트웨어 부품의 인덱싱 및 스테밍 등을 통한 분류 및 검색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재사용부품에 대한 탐색가능성을 높이고 재사용의 효과를 증진시키려한다. 그 결과로 재사용 라이브러리의 구축과정을 자동화하였고 기존의 문제점인 확장성과 관련된 모두를 고려한 분류스킴을 통하여 재사용라이브러리와 검색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관련연구를 클러스터 계층도를 통해 시각화함으로써 탐색가능성에 대한 효과를 높였다. 또한 검색결과는 재사용시스템 CARS 2.1에 통합되었다.

  • PDF

항만 BIM 표준 기반 항만 유지관리 정보의 링크드데이터 구축 및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Linked Data of Port Maintenance Information for Port Facilities Based on Port BIM Standards)

  • 신재영;문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501-510
    • /
    • 2023
  • 최근 스마트건설 확대 기조에 따라 건설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 사업정보와 유지관리 정보는 웹에 분산되어 있고, IFC를 통한 기존의 BIM 정보 교환 및 연계 방식은 BIM 데이터와 웹 자원과의 연결이 불가하다. 본 연구는 항만 유지관리 분야에서 BIM 데이터와 이종데이터의 통합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이하 LD) 기술을 활용하여 BIM 기반 항만 시설물의 데이터 통합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에 BIM 기반 항만 유지관리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BIM 시범사업인 부산 신항 2-1단계 3부두 시설의 BIM 및 사업·유지관리 정보를 대상으로 LD를 구축하였다. 또한, 발행된 LD를 활용하여 시설물 검색 및 통계, SPARQL Endpoint 기능 등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LD 기반 정보 통합체계는 기존 정보체계를 개방된 체계로 전환하고, BIM과 유지관리 데이터를 표준 형식의 웹 리소스로 구축하여 정보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