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etin-3-O-glucosid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3초

Flavonoids from Leaves and Exocarps of the Grape Kyoho

  • Park, Hye-Jeong;Cha, Hyeon-Cheo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4호
    • /
    • pp.327-330
    • /
    • 2003
  • We analyzed and compared profiles of flavonols extracted from leaves and exocarps of the grape Kyoho by TLC, HPLC and UV spectrophotometry. In the exocarps, quercetin 3-O-glucoside was the main compound while isorhamnetin 3-O-glycoside (I) was present in minor amounts. In leaves, on the other hand, quercetin 3-O-glucoside and quercetin 3-O-glucoside-7-O-glucronide were the major compounds while isorhamnetin 3-O-glycoside (II) and kaempferol 3, 7-O-diglycoside were present in minor amounts.

대장균에서 isorhamnetin 3-O-glucoside의 생합성 최적화 (Optimization of bioactive isorhamnetin 3-O-glucoside production in Escherichia coli)

  • 김봉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61-366
    • /
    • 2019
  • Isorhamnetin 3-O-glucoside는 플라보놀 그룹에 속하는 물질로서 염증이나 궤양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장해, 신장병증, 망막증과 같은 당뇨합병증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Isorhamnetin 3-O-glucoside는 Tetraena aegyptia, Salsola oppositifolia, Salicornia herbacea, Sambucus ebulus와 같은 몇몇 식물에서 발견된다. 생물전환은 저렴한 화합물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생물전환을 통해 quercetin으부터 isorhamnetin 3-O-glucoside를 생합성 하기 위해 두 개의 유전자(PGT E82L과, ROMT-9)를 각각의 대장균에 도입하였다. 대장균의 공조배양시스템을 이용하여 isorhamnetin 3-O-glucoside 생산 배양법의 최적화를 위해 생물전환배지, 배양온도, 세포의 혼합비율, 재조합 단백질 유도시간, 기질 공급 농도 등을 테스트하였다. 최적화된 생물전환 조건하에서 생물전환을 실시하였으며, 배양의 12시간 후 181.2 mg/L의 isorhamnetin 3-O-glucoside가 생합성 되었다. 이는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된 isorhamnetin 3-O-glucosie (39.6 mg/L)의 생합성보다 4.7배 높았다.

Simultaneous analysis of anthocyanins and flavonols in various flower colors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oyal azalea)

  • Oh, Soo-Min;Chun, Jin-Hyuk;Lee, Min-Ki;Kim, Jung-Bong;Kim, Sun-Ju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104-113
    • /
    • 2017
  • Anthocyanins contained in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oyal azalea) are expressed in a variety of colors and affect flower colors. R. schlippenbachii flowers of seven colors (white, red group: pink, deep pink, red, purple group: light purple, purple, deep purple) were collected from the garden around KT&G building in th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Seven types of anthocyanins [cyanidin 3-O-diglucoside, cyanidin 3-O-arabinoside-5-O-glucoside, cyanidin 3-O-galactoside, peonidin 3-O-arabinoside-5-O-glucoside, cyanidin 3-O-glucoside, cyanidin 3-O-(6"-O-malonyl) arabinoside, cyanidin 3-O-(6"-O-coumaroyl) glucoside] turned out to be from the cyanidin and peonidin series in R. schlippenbachii flowers. Also, seven types of flavonols [azaleatin 3-O-glucoside, azaleatin 3-O-arabinoside, azaleatin 3-O-rhamnoside, quercetin 3-O-galacatoside, quercetin 3-O-glucoside, quercetin 3-O-arabinoside, quercetin 3-O-rhamnoside] were identified in R. schlippenbachii flowers. Total anthocyanin amounts decreased in R. schlippenbachii flowers in the following order: 'deep pink' (8.07) > 'red' (6.37) > 'pink' (5.35) > 'deep purple' (0.78) > 'purple' (0.43) > 'light purple' ($0.22mg{\cdot}g^{-1}$ dry weight, DW) > 'white' (not detected). Total flavonol amount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ink' (97.78) > 'deep pink' (63.79) > 'deep purple' (61.98) > 'white' (57.58) > 'light purple' (47.06) > 'purple' (46.76) > 'red' ($7.60mg{\cdot}g^{-1}$ dry weight, DW). This study provid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for the variation of anthocyanin and flavonol compounds in R. schlippenbachii flowers. Furthermore, this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and flavonol compounds in other Rhododendron flowers.

Validation of an HPLC/UV-based method for Salicornia herbacea-derived isorhamnetin-3-O-glucoside and quercetin-3-O-glucoside quantification

  • Park, Jun Yeon;Paje, Leo Adrianne;Kang, Ki Sung;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85-290
    • /
    • 2021
  • Salicornia herbacea is a type of salt marsh plant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several diseases. Isorhamnetin-3-O-glucoside (I3G) and quercetin-3-O-glucoside (Q3G) are major flavonoids in S. herbacea that are known to exert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Therefore, our study sought to validate and optimize an HPLC/UV-based analytical method for I3G and Q3G yield quantification, as well as to determine its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fication,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Upon testing a concentration range of 31.5-1.9 ㎍/mL the results exhibited good linearity (r2 ≥0.9996 and r2 ≥0.9999 for I3G and Q3G, respectively), and the procedure was deemed precis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3.19 and ≤3.85%, respectively), and accurate (102.6-105.0 and 92.9-95.2%,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our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for rapid I3G and Q3G evaluation in S. herbacea.

떡버들 잎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from Salix hallaisanensis Leaves)

  • 오미현;함인혜;정성희;황완균
    • 생약학회지
    • /
    • 제36권4호통권143호
    • /
    • pp.282-290
    • /
    • 2005
  • The MeOH extract of the the leaves of Salix hallaisanensis (Salicaceae) was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CHCl_3$, 20% MeOH, 40% MeOH and 60% MeOH solution. From the fractions obtained, 9 compounds were isolated, $diosmetin-7-O-{\beta}-d-glucoside$ (I), $diosmetin-7-O-{\beta}-D-gluc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 (II), $diosmetin-7-O-{\beta}-d-xyl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 (III), $quercetin-3-O-{\beta}-d-galactoside$ (hyperoside) (IV), $quercetin-3-O-{\alpha}-l-rhamn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rutin)$ (V), luteolin (VI), $luteolin-7-O-{\beta}-d-glucoside$ (VII), $kaempferol-3-O-{\alpha}-l-rhamnosyl-(1{\rightarrow}6)-{\beta}-D-glucoside$ (VIII), and (+)-catechin (IX).

국내 재배 상추로부터 UPLC-DAD-QToF/MS를 이용한 페놀화합물 성분 비교 연구 (Study on Phenolic Compounds in Lettuce Samples Cultivated from Korea Using UPLC-DAD-QToF/MS)

  • 김헌웅;이선혜;;이민기;이수지;박진주;최용민;이상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7-729
    • /
    • 2019
  • The chemical informs about 70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were constructed from various lettuce samples based on literature sources and analytical data. A total of 30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quercetin 3-O-glucuronide, quercetin 3-O-(6''-O- malonyl) glucoside, cyanidin 3-O-(6''-O-malonyl)glucoside, chlorogenic acid and chicoric acid as maj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6 lettuce samples from Korea using UPLC-DAD-QToF/MS on the basis of constructed library. Among these, quercetin 3,7-di-O-glucoside(m/z 627 [M+H]+), quercetin 3-O-(2''-O-malonyl)glucoside(morkotin C, m/z 551 [M+H]+), quercetin 3-O-(6''- O-malonyl)glucoside methyl ester(m/z 565 [M+H]+), 5-O-cis-p-coumaroylquinic acid(m/z 339 [M+H]+) and 5-O-caffeoylquinic acid methyl ester(m/z 369 [M+H]+) were newly confirmed from the lettuce samples. In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4 red lettuce samples(2,947.7~7,535.6 mg/100 g, dry weight) showed higher than green lettuce(2,687.3 mg) and head lettuce(320.1 mg).

Antioxidative Constituents of Hedyotis diffusa Willd.

  • Permana, Dharma;Lajis, Nordin Hj.;Abas, Faridah;Othman, A. Ghafar;Ahmad, Rohaya;Kitajima, Mariko;Takayama, Hiromitsu;Aimi, Nori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7-9
    • /
    • 2003
  • The antioxidative constituents isolated from Hedyotis diffusa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3-O-${\beta}$-rutinoside (1) and quercetin 3-O-${\beta}$-glucoside (2). We also isolated asperuloside (3) from this plant. Identification was done based on spectroscopic analysis. Quercetin 3-O-${\beta}$-rutinoside was the stronger antioxidant than quercetin 3-O-${\beta}$-glycoside while asperuloside was inactive.

Flavonoids analysis in leaves and fruits of Korean mulberry cultivar, Baekokwang having white fruits

  • Lee, Sora;Kim, Soo Hyun;Koo, Bonwoo;Kim, Hyun-Bok;Jo, You-Young;Kweon, HaeYong;Ju, Wan-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1권2호
    • /
    • pp.45-50
    • /
    • 2020
  • Morus alba has white and/or purple fruits with a very sweet taste and low acidity. Most Korean mulberry trees have purple fruits. However, Baekokwang is a unique mulberry genetic resource in Korea with white fruits. In this study, flavonoids contents of Baekokwang mulberry leaf and fruit were analyz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 technique. UPLC-DAD-QTOF/MS chromatogram showed that 15 flavonoids and 9 flavonoi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mulberry leaf and fruit.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Baekokwang leaves and fruits were 812.7 mg and 35.0 mg, respectively. Baekokwang leaves had 4 major flavonoids including quercetin 3-O-(6"-O-malonyl) glucoside, 235.3 ppm, kaempferol 3-O-(6"-O-malonyl) glucoside, 132.3 ppm, kaempferol 3-O-rutinoside (nicotiflorin), 108.1 ppm, and quercetin 3-O-rutinoside (rutin), 103.8 ppm. Baekokwang fruits had 3 major flavonoids including quercetin 3-O-(6"-O-malonyl) glucoside, 13.0 ppm, quercetin 3-O-rutinoside (rutin), 7.8 ppm, and kaempferol 3-O-rutinoside (nicotiflorin), 5.7 ppm. From the above results, mulberry leaves have rich flavonoids compared to its fruits.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 박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설악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과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Flavonoid Profiles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Seorak, Korea: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박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92-11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설악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중부지방인 설악산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남부지방인 지리산에서와는 차이가 난다. 설악산의 경우, 해발 100 m 이상 거의 전 고도에서 신갈나무가 나타나나 졸참나무는 해발 500 m 이상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500 m 이하에서 신갈나무와 혼생한다. 지리산의 경우, 졸참나무의 수직 분포 범위는 해발 0-1,200 m로 설악산에 비해 훨씬 넓으며, 신갈나무는 높은 해발고도에서는 순림을 이루지만 해발 1,000 m 이하에서는 고도가 낮아질수록 빈도가 낮아지고 해발 300 m 이하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신갈나무는 높은 고도에서, 졸참나무는 낮은 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설악산 지역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32개체와 지리산 고지대 및 저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각 1개체 등 총 34개체를 대상으로 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들로부터 총 24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모두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이 중 5개는 acylated flavonoid compound이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나타나고,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는 특징을 가진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고 또한 이들 compound가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간에는 이러한 정량 정성적인 플라보노이드 조성 차이와 함께 소량으로 분포하는 몇몇 compound들에 있어서 정성적인 차이도 나타나 두 종은 플라보노이드 조성에 있어 뚜렷이 구분된다. 한편, 두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 개체들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대체로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