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rternary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사용후핵연료의 우라늄 금속 전환율 측정 및 전환체 내 핵분열생성물의 산화거동 연구 (Study on uranium metalization yield of spent pressurized water reactor fuels and oxidation behavior of fission products in uranium metals)

  • 최계천;이창헌;김원호
    • 분석과학
    • /
    • 제16권6호
    • /
    • pp.431-437
    • /
    • 2003
  • 가압경수로 사용후핵연료 (이산화 우라늄)의 리튬환원공정으로부터 생산된 우라늄 금속 전환체에 대한 금속 전환율을 건식방법인 열중량분석법 (T.G.A)으로 측정하였다. 전환체를 고체와 분말로 분류하여 측정한 결과 우라늄 금속 전환율은 각각 90.7~95.9 및 77.8~71.5 wt% 이었다. 금속 전환체의 건식저장 시 열적 산화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환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Mo, Ru, Rh 및 Pd 합금에 대한 산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합금을 $600{\sim}700^{\circ}C$의 공기분위기에서 산화시킨 결과 0.40~0.55 wt%의 무게증가를 보였으며 $750^{\circ}C$부터는 표면으로부터 산화가 진행되어 상변화가 일어났다. $900^{\circ}C$에서는 Mo의 휘발에 의한 영향으로 0.76~25.22 wt%의 무게 감소를 나타내었다.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Buckminsterfullerene ($C_{60}$) in Acetonitrile Containing Quarternary Ammonium Electrolytes

  • Kim, Il Kwang;Kim, Hyun Jin;Oh, Gi Su;Jeon, Il Chol;Ahn, Byoung Joo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675-682
    • /
    • 1995
  • Thin films of buckminsterfullerene($C_{60}$) formed by solution drop casting on Pt foil electrode surfaces were studied by cyclic voltammetry(CV) in acetonitrile(MeCN)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or alkali-metal salts as supporting electrolyte.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C_{60}$ films are found to be strongly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supporting electrolytes, especially with tetrabutyl ammonium perchlorate (TBAP, $NBu_4ClO_4$), and tetrabutyl ammonium tetrafluoroborate ($TBABF_4$, $NBu_4BF_4$). Reasonably stable films are formed into which electrons can be injected. The interaction of $C_{60}$ film with the quaternary ammonium cation may produce the fulleride salts $(TBA^+)(C{_{60}}^-)$ and $(TBA^+)_2(C{_{60}}^{2-})$. The bulk electroreduction with a controlled potential to generate the soluble $C{_{60}}^{3-}$ anions(dark red-brown color) is followed by electrooxidative deposition to produce a neutral $C_{60}$ film on the surface. The peak currents($I_{pc}$ and $I_{pa}$) of these thin film were dramatically decreased with repetitive potential scanning.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the adsorption-desorption phenomena and ion pairing interaction of reduced species($C{_{60}}^-$, and $C{_{60}}^{2-}$) onto the electrode surface. The peak current changes and peak potential shifts of the thin $C_{60}$ film in cyclic voltammograms formed from solution were observed by varying scan rates.

  • PDF

디글리세롤 N-아실 글루탐산 에스테르류의 합성 및 계면성 (Synthesis and Surface Active Properties of Diglycerol N-Acyl Glutamic Acid Esters)

  • 정환경;정노희;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247-254
    • /
    • 1994
  • 디글리세롤 N-아실 글루탐산 에스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4급 암모늄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글리시돌과 N-아실글루탐산과 에스테르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표면장력법에 의해서 산정한 임계미셀농도는 $0.15{\sim}0.75mol/{\ell}$이었고 수용액에서의 표면장력은 28~35dyne/cm로 저하되었다. 또한 아실기의 탄소수가 12인 L-DGLG가 가장 좋은 기포력과 유화력을 나타냈고, 대두유보다 톨루엔에서 유화력이 높게 관찰되었다. 카본블랙과 산화철에서 아실기 탄소수 16과 18인 L-DGPG와 L-DGSG는 L-DGLG보다 분산성이 우수했으며, 이들은 모두 좋은 생분해성을 나타냈다.

  • PDF

국내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중 금의 분포특징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old in the Volcanic Rocks, Korea)

  • 윤정한;오근창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257-267
    • /
    • 1996
  • One hundred of thirty volcanic rocks col1ected from the Jeju island, Jeongog, Guryongpo and other areas were analyzed for major elements and trace elements with Au by inductively coupled argon plasma and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m spectrometry. The Au content is the highest values (0.2~43.4 ppb, average; 10.34 ppb) from the Jeju island volcanic rocks and the lowest (0.5~11.0 ppb, average; 1.23 ppb) from the Guryongpo volcanic area. The content of Au tends to be higher in the Quarternary volcanic rocks than Tertiary or Cretaceous volcanic rocks. The Au content of the calc alkali volcanic rocks tends to increase from mafic to felsic volcanic rocks, but that of the alkalic volcanic rocks tends to increase from felsic to mafic volcanic rocks. The Au content of the volcanic rocks collected from the Jeju island shows the highest values in the feldspar olivine basalts. Elements or oxides which have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with Au are Ag, Mo, Rb, V, Y, $K_2O$, MgO and $SiO_2$, but other elements analyzed are not shown correlations with Au. It has a tendency to show that samples from the Jeju with 5 ppb gold and more are plotted in the non-Dupal area and those with less than 5 ppb gold in the Dupal area, while those from the Jeongog with 5 ppb gold and more are plotted in the Dupal area and those with less than 5 ppb gold in the non-Dupal area, in the Ba/Nb-La/Nb, Zr/Nb-Ba/Nb diagrams. It shows that samples from the Jeju and Guryongpo with high gold content are plotted in the within-plate, while those with low gold content are plotted in the arc-related area, and those from the Jeongog are scattered in the $TiO_2-Al_2O_3$, $Zr/A1_2O_3-TiO_2/Al_2O_3$ diagrams.

  • PDF

급랭응고한 Al-Fe 합금계 리본을 고온에 노출시킴에 따른 미세석출물의 성장거동 (Coarsening Behavior of Fine Precipitates in Rapidly Quenched Al-Fe Based Alloy Ribbons by In-situ Heat Treatment)

  • 백남익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2-261
    • /
    • 199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al changes in alloy ribbons of Al-Fe-Mo-Si quarternary system at $450{\sim}500^{\circ}C$, and to study the coarsening mechanism of fine precipitates. Using the hot stage in TEM, in situ microstructural changes in Al-4Fe-0.5Mo-1.5Si alloy ribbon and Al-8Fe-2Mo-1.5Si alloy ribbon have been examined successively up to 60 hours at $450^{\circ}C$ and $500^{\circ}C$. Cell structure in zone B of Al-4Fe-0.5Mo-1.5Si alloy ribbon was observed to collapse even in 10 minutes by in-situ heating at $450^{\circ}C$ and the size of precipitates in zone B increased twice in 60 hours. The precipitates in zone A of Al-4Fe-0.5Mo-1.5Si alloy ribbon showed slower coarsening rate than those in zone B by in-situ heating at $450^{\circ}C$. The precipitates in zone A of Al-8Fe-2Mo-1.5Si alloy ribbon increased 50% by in-situ heating at $500^{\circ}C$ in 50 hours compared to the initial precipitates while any microstructual change in zone B was not observed by in-situ heating at $500^{\circ}C$ up to 50 hours. Only the precipitates in zone A of Al-4Fe-0.5Mo-1.5Si alloy ribbon satisfied $r^3{\propto}t$ relationship of coarsening mechanism.

  • PDF

아크릴계 4원 공중합체와 염화비닐-비닐프로피오네이트 공중합체와의 블렌드의 점착물성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operties of Blends of Acrylic Quarternary Copolymer with Vinyl Chloride-Vinyl Propionate Copolymers)

  • 오대희;서관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4호
    • /
    • pp.360-365
    • /
    • 1999
  •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n-부틸아크릴레이트(BA), 에틸아크릴레이트(EA) 및 비닐아세테이트(VAc)의 네 가지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아크릴4원공중합체(PEBEV)와 염화비닐-비닐프로피오네이트 공중합체 (PVCVP)를 용액 블렌드하고 이들의 점착물성을 조사하여 PEBEV/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VCVAc) 블렌드계와 비교하였다. 블렌드계의 상용성은 PEBEV/PVCVP계가 PEBEV/PVCVAc계 보다 우수하였다. 블렌드계의 점착성은 두계 모두 비슷하였으나, 유지력의 경우 PEBEV/PVCVAc계는 PVCVAc 함량이 15%를 넘어서면서 감소하는데 반해 PEBEV/PVCVP계는 PVCVP 함량이 증가할수록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박리 유형을 살펴보면, PEBEV/PVCVP 블렌드계중 PVCVP의 함량이 5%인 블렌드가 부분응집파괴 형태를 보이는 것을 제외하면, 모든 블렌드계가 계면파괴의 형태를 보였다.

  • PDF

PC-88A, Alamine 336 및 Aliquat 336에 의한 수용액중$Cr^{6+}$의 추출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Cr^{6+}$ from Aqueous Solutions with PC-88A, Alamine 336 and Aliquat 336)

  • 김성규;이화영;오종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6호
    • /
    • pp.18-23
    • /
    • 2002
  • 수용액으로부터 6가 크롬을 분리ㆍ회수하기 위한 용매추출시 추출제의 종류 및 평형 pH에 따른 추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크롬의 추출율은 추출제인 Alamine 336이나 Aliquat 336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4차 아민인 Aliquat 336이 6가 크롬의 추출에 있어 Alamine 336이나 PC-88A보다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추출시 3상 방지제로 첨가되는 octanol, decanol 및 dodecanol등의 다가알콜은 서로 비슷한 추출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다가알콜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는 추출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다. 한편, 6가 크롬 수용액에 대한 용매추출시, Aliquat 336의 농도는 1%, 다가알콜인 decanol 농도는 5%로 하여 pH 7 이하에서 추출하면 6가 크롬을 100%추출할 수 있으며, 탈거시에는 탈거액으로 1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면 유기상중의 크롬을 전부 회수할 수 있다.

전류모드 CMOS 4치 논리회로를 이용한 64×64-비트 변형된 Booth 곱셈기 설계 (Design of a 64×64-Bit Modified Booth Multiplier Using Current-Mode CMOS Quarternary Logic Circuits)

  • 김정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4호
    • /
    • pp.203-20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CMOS 다치 논리회로를 이용하여 $64{\times}64$ 비트 Modified Booth 곱셈기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곱셈기는 Radix-4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류모드 CMOS 4치 논리회로로 구현하였다. 이 곱셈기는 트랜지스터 수를 기존의 전압모드 2진 논리 곱셈기에 비해 64.4% 감소하였으며, 내부 구조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확장성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설계한 회로는 2.5V의 공급전압과 단위전류 $5{\mu}A$를 사용하여, $0.25{\mu}m$ CMOS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HSPICE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2진 논리 곱셈기는 $7.5{\times}9.4mm^2$의 점유면적에 9.8ns의 최대 전달지연시간과 45.2mW의 평균 전력소모 특성을 갖는 반면, 설계한 곱셈기는 $5.2{\times}7.8mm^2$의 점유면적에 11.9ns의 최대 전달지연시간과 49.7mW의 평균 전력소모 특성으로 점유면적이 42.5% 감소하였다.

창오징어 2단 효소분해엑스분의 정미특성 및 기능성 (Tast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Two Stage Enzyme Hydrolysate from Low-Utilized Longfinned Squid)

  • 오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82-786
    • /
    • 2001
  • 본 연구는 수산가공용 풍미소재 검색 및 인스탄트식품용 조미소재의 개발, 연안에서 생산되는 저활용 수산자원의 유효이용이라는 관점에서 소형 창오징어를 원료로 열수추출엑스분, 자가소화엑스분 및 2단 효소분해엑스분의 조제하여 이들의 정미특성과 기능성을 분석.비교하였다. 소형 창오징어 열수추출 및 자가소화엑스분, 2단 효소분해엑스분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2,792.5 mg%, 8,393.8 mg% 및 9,186.1 mg%이었고, 2단 효소분해엑스분에는 Asn, Gln, val, Ile 및 Lys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ATP관련물질 중 AMP 함량은 34.6~51.6 mg% 함유되어 있었고, 추출에 따른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무기이온 성분으로서 Na, Cl 및 PO$_4$의 함량이 많았고, 열수추출에 비해 효소분해엑스분 쪽의 함량이 훨씬 많았다. ACE 저해능의 경우, 열수추출엑스분이 10.1%, 자가소화엑스분은 80.2%, 1차효소분해엑스분은 87.5%, 2차 효소분해엑스분은 92.1%로, 효소분해엑스분들이 월등히 높은 ACE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 PDF

Tank Model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경계피난 기준우량 산정법 개발 및 검토 (Development and Verifying of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on Warning and Evacuation for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Mountainous Area by Using Tank Model)

  • 이창우;윤호중;우충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72-278
    • /
    • 2009
  • 산지토사재해 발생시기 예측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산지토사재해 기준우량 산정방법에 대해 수문모형인 Tank 모델의 적용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과 저류관수법에 의한 결과의 비교 검토로 향후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산사태 발생시기 기록이 있는 36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저류관수법과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재해발생시기와 최대저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퇴적암 4기의 경우 Tank 모델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시기는 1.6시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저류관수법에서는 3.2시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대저류량의 편차가 Tank 모델의 경우 7%에 불과하나, 저류관수법의 경우 63%의 큰 편차를 보였다. 산사태 발생강우를 대상으로 최대저류량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위험기준우량으로 설정하여 대상지역의 5년간(1993~1997) 실제 강우량을 적용한 결과, Tank 모델에 의한 피난대기시간이 저류관수법보다 약 2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산지토사재해 위험기준우량 산정이 저류관수법보다 정도 및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향후 충분히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