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y survey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들의 과학창의성과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ience Gifted Program on Scientific Creativity and Recognition of that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신애경;강민석;김범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1호
    • /
    • pp.23-33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영재학급 5학년 20명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8차시에 걸쳐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하였다. 과학창의성 검사지,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설문지, 면담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을 향상시켰다. 학생들에게 사전 사후에 과학창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과학창의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유창성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수업, 학습자료, 영재교사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설문지 분석을 통해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실험과 주제탐구와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고, 프로그램을 제작 및 운영할 때에는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선행되어야 하며, 내용수준 및 과제의 양은 학생들이 소화해낼 수 있는 정도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 PDF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Process in Intuitive Stage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691-708
    • /
    • 2014
  • 학교수학에서 직관적 사고에 의한 문제해결은 종전의 문제해결이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한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측면에 치중해 왔다는 면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이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 정도와 방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10개의 문제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에서는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된 수준을 논리적 수준과 직관적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정답률이 낮게 나타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학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관심과 재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직관적 사고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서는 알고리즘 수준에서 정답을 한 비율이 높았으며, 직관적 사고에 의해 오류 발생 가능한 문제해결에서는 문제 정보에 대한 불완전한 지식이나 고착화된 지식에 의한 즉각적인 판단으로 오류를 보인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예비교사 교육 기간에 걸쳐 예비교사들의 수학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수 방안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 여성 유방암 경험자의 식사섭취실태 (Dietary Intake Status among Korea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 박명숙;황은경;문형곤;노동영;이정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3-175
    • /
    • 2014
  • Objectives: We aimed to evaluate dietary intake among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in a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A total of 127 women who had breast cancer surgery at least 6 months before baseline were included. Dietary intake of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was assessed through self-reported 3 day-dietary records. To compare dietary intake betwee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general female population without cancer, we selected the 1:4 age matched women from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 the KNHANES,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ir dietary intake using the 24-hour dietary recalls. We also examined whether dietary intake varied by age group, cancer stage, or time since surger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We used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to compare their dietary intakes. Results: Intakes of total energy, beta-carotene, folate, vitamin C, plant iron and fruits were lower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with longer time since surgery compared to those with shorter time (p<0.05). Breast cancer patients with higher stage at diagnosis tended to consume less legumes (p=0.01) than those with lower stage. When we compared dietary intake betwee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 general female population without cancer, breast cancer survivors were more likely to consume most of macro- and micro-nutrients in larger quantity (p<0.05) and adhere to healthier diet characterized by higher intakes of legumes, seed and nuts, vegetables and fishes and shells than the general female population who never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p<0.05). Conclusions: Our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akes of nutrients and foods varied by time since surgery and cancer stag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and dietary intakes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differed from that in the general population.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s of specific food items and survival among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노후 줄눈 콘크리트 포장 보수를 위한 얇은 연속 철근 콘크리트 덧씌우기 포장의 거동 평가(2) (Behavior Evaluation of Thin Bonde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Overlay on Aged Jointed Concrete Pavement(2))

  • 류성우;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01-1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노후 콘크리트 포장의 효율적 유지보수를 위하여 국내 최초 적용된 연속철근 콘크리트 개념의 얇은 덧씌우기 공법(CRCO : Thin Bonded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Overlay)의 거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폐도 구간에 CRCO 공법과 JCO 공법(Jointed Concrete Overlay)을 시험시공 하였으며, CRCO 공법에 삽입된 종방향 철근으로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시공 후 균열 조사 결과, CRCO 구간의 기존 줄눈부에서부터 반사 균열이 발생하였으나 그 폭은 매우 좁았다. 철근의 구속역할로 인해 CRCO 공법에서 더 많은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그 간격은 CRCP 보다 더 좁았다. 부착강도 측정 결과, 표면 처리로 Cold Milling 후 이물질을 제거하여 초기에 층간 부착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기존 JCP의 줄눈부에 수평으로 매설한 계측기 데이터분석 결과, 초기 균열 터짐 시 일정 폭 이상으로 벌어지지 못하게 종방향 철근이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대한 수평 변위 발생 억제 효과도 있었다. 하지만 층간 부착 문제가 발생할 경우, 철근의 구속 효과는 저감되었다. 수직 계측기의 데이터를 통해서 철근이 없는 JCO 공법에 비해 CRCO 공법은 종방향 철근 위치에서 층간 부착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장 코어링 작업을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슬래브 내의 수평 거동을 분석한 결과, 초기에 철근의 구속으로 인해 CRCO 공법에서는 인장 변형률이, 구속이 미미한 JCO 공법은 압축력이 발생하였다. FWD 데이터 분석 결과, CRCO 공법의 처짐량이 JCO 보다 더 적게 발생하였으며, 지지력 평가에서는 전반적으로 덧씌우기 후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CRCO 공법이 JCO 공법에 비해 지지력에 대한 덧씌우기 두께 효과가 더 컸다.

Molecular Survey of Latent Pseudorabies Virus Infection in Nervous Tissues of Slaughtered Pigs by Nested and Real-time PCR

  • Yoon Hyun A;Eo Seong Kug;Aleyas Abi George;Park Seong Ok;Lee John Hwa;Chae Joon Seok;Cho Jeong Gon;Song Hee 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5호
    • /
    • pp.430-436
    • /
    • 2005
  •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and quantity of a latent pseudorabies virus (PrV) infection in the nervous tissues of randomly selected pigs was determined via nested and real-time PCR. The nervous tissues, including the trigeminal ganglion (TG), olfactory bulb (OB), and brain stem (BS), were collected from the heads of 40 randomly selected pigs. The majority of the nervous tissues from the selected pigs evidenced a positively amplified band on nested PCR. In particular, nested PCR targeted to the PrV glycoprotein B (gB) gene yielded positive results in all of the BS samples. Nested PCR for either the gE or gG gene produced positive bands in a less number of nervous tissues ($57.5\%$ and $42.5\%$, respectively). Real-time PCR revealed that the examined tissues harbored large copy numbers of latent PrV DNA, ranging between $10^{0.1}\;and\;10^{7.2}(1-1.58{\times}10^7)$ copies per $1{\mu}g$ of genomic DNA. Real-time PCR targeted to the PrV gE gene exhibited an accumulated fluorescence of reporter dye at levels above threshold, thereby indicating a higher prevalence than was observed on the nested PCR ($100\%$ for BS, $92\%$ for OB, and $85\%$ for T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arge number of farm-grown pigs are latently infected with a field PrV strain with a variety of copy numbers. This result is similar to what was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human herpes virus.

3D프린팅전문운용사 및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국가기술 자격종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Development of 3D Printing Operation Expert and 3D Printing Development Specialist)

  • 강석주;우미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4-38
    • /
    • 2016
  • 본 연구는 3D프린팅 산업에서 3D프린팅 운용과 개발에 사용되어지는 전문기술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3D프린팅전문운용사와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의 국가기술 자격종목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D프린팅 분야의 국내외 실태 조사, 문헌조사를 통하여 3D프린팅 관련 교육훈련기관 및 검정 수요 예상인력을 파악했으며, 유사자격제도를 분석하였고, 직무분석을 통하여 3D프린팅전문운용사와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의 직무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3D프린팅전문운용사의 필기시험은 3D 스캐너, 3D 모델링, 3D프린터 설정, 3D프린터 출력 및 후가공, 3D프린터 교정 및 유지보수 5개 과목과 실기시험의 경우, 3D프린터 작품제작, 3D 모델링, 3D 스캐너, 3D프린터 유지보수 실무 등을 내용으로 검정 방법으로는 작업형이다.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의 필기시험은 3D프린터 회로 및 기구, 3D프린터 장치, 3D프린터 프로그램, 3D프린터 교정 및 유지보수 등 4개 과목과 실기시험의 경우, 3D프린터 조립 및 출력점검, CAD 작업, 3D프린터 프로그램, 3D프린터 유지보수 실무 등을 내용으로 검정방법으로는 작업형이다. 또한, 3D프린팅전문운용사와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자격종목 신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3D프린팅전문운용사와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자격종목의 출제기준 및 채점 방법을 제시했고,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에 대한 모의 검정시험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3D프린팅전문운용사와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며, 자격검정을 실시할 수 있는 출제기준을 제시하였다.

훼손 수목 이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Stakeholder Perception on the Transplanting Damaged Trees)

  • 문윤정;박홍준;차재규;나진주;이선미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6호
    • /
    • pp.361-379
    • /
    • 2021
  •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으로 훼손되는 수목의 약 10%를 이식 또는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식 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20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협의기관, 검토기관, 사업자·대행자 그룹별 각각 36명, 44명, 83명(총 163명)이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개발사업으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므로 개발 부담금이 증가하더라도 훼손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문제점은 고사율이었다. 고사 시 대체 방안으로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수종과 수량을 식재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고사율을 줄이기 위해 이식 수목은 크기가 작은 것을 이식하고, 이식 수종은 식재종과 조경 수종을 포함하여 확대시키고, 이식 수목량은 자생 수목량 대비 이식 비율을 산정하자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훼손 수목의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이용한 임가의 소득불평등 분석 (Analysis of Forest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using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s)

  • 김의경;김보경;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92-40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임가의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임가경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가의 소득불평등도 분석은 임가 전체와 5개의 소득분위 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임가의 소득불평등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소득은 임업소득과 임업 외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분위별로는 최상위 소득계층의 소득불평등은 임업소득의 영향력이 다른 소득원에 비해 크게 나타난 반면, 그 외의 분위에 속하는 임가에서는 임업 외 소득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가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최상위 계층을 제외한 다른 계층에서의 임업소득에 대한 비중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최하위 소득계층의 임업소득이 부채상태인 점을 감안할 때,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시에 임가의 소득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가소득이 증대될수록 임업소득의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사고 응급정보에 대한 주민제공 체계 개선 방안 (Improvement on the System of Information to the Public for Chemical Accident Emergency Response)

  • 박혜송;송치선;신창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71-579
    • /
    • 2019
  • 화학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15년부터 위해관리계획서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 제도에 따라 사고대비물질을 일정 수량 이상 취급하는 사업장은 사고의 피해 영향범위에 있는 주민에게 각 물질에 대한 응급정보를 매년 제공해야 한다. 취급물질, 영향범위, 대피요령 등을 담은 응급정보는 화학사고 발생 시 즉시 작동될 수 있도록 사전에 미리 주민에게 제공되어야 효과가 있다. 현재 주민고지의 방법은 주민고지 시스템 사이트에 등록하거나, 우편으로 고지서를 발송, 주민 공청회에서 설명, 직접 정보를 전달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도 인정된다. 현재 운영방식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국외 유사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고, 연간 주민고시 시스템 이용자 수, 일부 주민의 설문조사를 통해 정보 제공의 체감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현 방식은 정보 공급자 위주의 편의적 운영으로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주민이 응급정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거나, 주민이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 하는지 확인하기 어려워 실제 사고 현장에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제공 방법과 사후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주민의 입장에서 화학사고 응급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사전에 정보가 원활하게 전달되어 사고 발생 시 응급정보가 효과적으로 활용됨으로서 화학사고로 인한 주민의 피해를 최소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작업환경측정시료의 분석수탁기관과 자율정도관리 참여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of the Institutes for Analyzing Requested Samples(IARS) among Working Environment Measuring Institutes(WMI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 김성호;권지운;조현민;박해동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118
    • /
    • 2021
  • Objectives: The necessity of samples for analysis requested by working environment monitoring institutes (WMIs) has grown recently. The collection of samples of a few chemical substances requested by WMIs is allowed under the curr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Korea, leading to an expansion of samples for analysis requested by institutes (SR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mber of institutes for analyzing requested samples (IARS), SRIs, and their participation in a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Method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all WMIs.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quantity of analysis equipment, sorting of chemicals from SRIs, and the number of SRIs. This was compared in term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Results: All WMIs in Korea responded to the survey, establishing a 100% response rate. There were 52 (29%) IARS among the 179 WMIs in Korea. The total number of samples of acid for ion chromatograph (IC) analysis requested by WMIs was 21,165, which is the most. Even the number of IARS for crystalline silicon oxide was less than other top-five IARS. The total amount of samples was 13,863, which was the second most. The calculated participation score for I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WMIs (p<0.001).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by type of substance, such as crystalline silicon oxide and formaldehyde among IARS, the number of SRIs from those I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AR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ficiency test (p<0.05). Conclusions: IARS had a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and the number of SRIs at IARS participating in the proficiency test was higher among IARS. With the revision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in Korea, the number of IARS participating in the non-mandatory proficiency test might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