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valuation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8초

다속성 효용이론에 근거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의 환경가치 추정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Nakdong-river Estuary)

  • 유승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69-80
    • /
    • 2007
  •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Nakdong-river estuary, which is ecologically important but confronted with the threat of development. Especially, in order to elicit the environmental values of its four attributes,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based on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is applied and the CVM survey was rigorously designed to comply with the guidelines for best-practiced CVM studies.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400 and 350 households in Busan and six large cities(Seoul, Incheon, Daegu, Daejeon, Gwangju, and Ulsan), respectively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they would willing to pay for the estuar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2,457 won in Busan and 3,560 won in six large cities),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year, which implies that there exist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aggregate values of the Nakdong-river estuary in Busan and six large cities amount to 2.92 and 22.32 billion won, respectively, per year. In addition, expanding the values to Korea produces 51.34 billion won per year. The quantitative values can be utilized in planning and decision-making about development versus conservation of the estuary.

국방 기술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외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Valuation of Defense Technology -Focusing on Overseas Technology Transfer-)

  • 고화진;전정환;김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47-154
    • /
    • 2021
  • 최근 국내 과학기술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해외 기술이전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전을 위한 협상 등을 수행할 때 기술가치평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민간분야와 달리 국방기술과 같은 공공분야 기술은 공익적인 가치와 같은 비경제적인 가치를 포함하고 있어 공익적 가치를 고려한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공공분야 기술의 가치평가에서는 민간분야에서 적용하는 할인율을 활용하였으나, 합리적인 가치평가를 도출하기 위하여 대상기술에 적합한 할인율도 반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방기술의 해외이전을 중심으로 공공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론에서 대상기술의 특성과 목적에 따른 할인율 적용하기 위한 평가지표와 정량화 함수를 도출하였으며, 정성적으로 도출되는 공익적 가치와 더불어 정량적인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국방기술력지수와 권리성을 반영하고 이에 대한 정량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방법론을 실무에 적용한다면 국방기술의 해외이전 시 합리적으로 도출된 기술가치를 바탕으로 협상력 제고와 공공분야 기술 개발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의사결정트리를 통한 신약개발의 가치평가와 R&D 전략 시사점 (Strategy Implications on R&D of New Medicine through Technology Valuation)

  • 박현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4-1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a biotechnology in the middle of R&D and to examine strategies to manage a variety of risks and uncertainties intrinsic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biotechnologies through economic valuation in consideration of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probability of commercial success of the technology development in qualitative terms, evaluates the quantitative value of the technology on the basis of a determined model, and proposes the implications on R&D strategy. In concrete,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value of the technology by constructing a decision tre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D process of the technology and draw the implications on the future R&D strategies of the technology.

  • PDF

Trust Evaluation Metrics for Selecting the Optimal Service on SOA-based Internet of Things

  • Kim, Yukyong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9-140
    • /
    • 2019
  • In the IoT environment, there is a huge amount of heterogeneous devices with limited capacity. Existing trust evaluation methods are not adequate to accommodate this requirement due to the limited storage space and computational resources. In addition, since IoT devices are mainly human operated devices, the trust evaluation should reflect the social relations among device owners. There is also a need for a mechanism that reflects the tendency of the trustor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able trust evaluation method for SOA-based IoT system to deal with these issues. The proposed model is designed to minimize the confidence bias and to dynamical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by combining direct evaluation and indirect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rust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by providing feedback based on social relationships.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의 정량적 효과 분석: 이용자 만족도 조사 기반 CVM을 중심으로 (A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s on Enhancing Bus Shelter Infrastructure: Focusing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y an User's Satisfaction Survey)

  • 김규혁;김명규;김나연;김희수;송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89-105
    • /
    • 2024
  • 버스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정류장 시설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기 시행된 정류장 개선 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사업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버스정류장 인프라 개선의 정량적 효과를 추정하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류장 개선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에 기반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통해 버스정류장 인프라 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과 편익-비용비를 추정했다. 결론적으로 거점지역에 위치한 정류장의 개선은 비용 대비 높은 편익을 달성할 수 있으며, 비거점지역에 위치한 정류장의 개선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 사업 확장 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Aging State of Field Composite Insulators Based on Trap Characteristics and Volume Resistivity-Temperature Characteristics

  • Liang, Ying;Gao, Li-Juan;Dong, Ping-Ping;Gao, Ti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1355-1362
    • /
    • 2018
  • In order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geing process of the field composite insulators, it is necessary to explore a quantitative-valuation method for the aging state evaluation. An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volume resistivity and temperature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mposite insulators with different lengths of operating lives from two manufacturers wer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p characteristics and volume resistivity-temperatur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Thermal Stimulated Current (TSC), volume resistivity-temperature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rap characteristics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aging state of composite insulators was discus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genera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ve variation ratio of trap charges and the volume resistivity-temperature characteristics. Meanwhil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ould change with the aging time, which would result in the increasing of electron traps. Combined with the TSC and volume resistivity test results, the trap characteristic thresholds which indicated the serious age of the composite insulators had been proposed.

기술이전을 위한 기술수요자 중심의 가치평가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technology valuation method for buyers in technology transfer)

  • 윤두섭;박인채;윤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55-167
    • /
    • 2016
  • 기술 가치평가는 개발된 기술에 대한 사업화 과정에서 사업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러나 기술 자체의 평가에만 초점을 두는 전통적인 평가 방법은 구매자의 입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평가된 기술의 가치는 실제 시장에서 체감하는 정도와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가치평가의 주요 거래자라 할 수 있는 수요자 입장을 반영한 기술가치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방법은 첫째 기술의 본질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기술성 요인, 수요자의 환경 역량 등을 평가하는 기술수요자 요인, 시장가치를 나타내는 시장성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의 연관관계를 분석한다. 둘째, 요인 간 연계 구조를 토대로 수익접근법에 의해 기술의 기대이익을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기대이익은 현가화하여 최종적인 기술 가치를 나타낸다. 제안된 방법론을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음성서비스 및 조명제어 방법' 기술에 적용하여 가치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배포한 기술가치평가 가이드에 따른 기술가치평가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기술가치평가 방법은 보다 정량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법에 기반하였으며, 기술거래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반영한 기술이전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의 이론적, 실제적 검토 (Rethink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of Economic Valuation of Library Services)

  • 심원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31-247
    • /
    • 2010
  •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 연구가 최근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시점에서 이러한 연구의 제반 이슈를 이론적, 실제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있다. 특히 구체적인 측정과 관련하여 최근의 국내 사례를 통해 각각의 측정 방법의 선택이 연구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적시함으로써 향후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한 연구설계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 서비스의 선택, 조건부가치측정법의 적용, 시간 대비 화폐가치 측정, 이상점의 처리, 대안의 적용, 그리고 추정의 사용과 관련된 측정의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특히 대표적인 최종 지표인 투자회수율, 비용편익비율 수치가 측정 방법의 선택에 따라 매우 가변적임을 역설하였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이용의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량적인 데이터 이외에 정성적인(qualitative) 데이터를 일부 수집할 필요가 있다. 도서관 서비스의 경제성 평가의 결과는 그 자체가 도서관의 가치라고 할 수 없으며 도서관 서비스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여러 지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 평가기법의 제한점을 인식하는 동시에 결과를 통해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수단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생태계 서비스 기능평가를 위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산림지역 경계설정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Forest Boundary in Landcover Classification Map(Level-II)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s)

  • 전성우;김재욱;김유훈;정휘철;이우균;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27-133
    • /
    • 2015
  • Interests in ecosystem services have increased and a number of attempts to perform a quantitative valuation on them have been undertaken. To classify the ecosystem types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are generally used. However, some forest types on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have a number of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orest types on the landcover map by using a variety of field survey data and to suggest an improved method for forest type classifications. Forest types are compared by overlaying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map with the 4th forest type map, and then they are verified by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field survey data. Misclassifications of forest types are found on the forest on the forest type map and farm and other grassland on the landcover map. Some errors of forest types occur at Daegu,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of accuracy in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show that deciduous forest is 76.1%; coniferous forest is 54.0%; and mixed forest is 22.2%. In order to increas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forest types a number of remote sensing images during various time periods should be used and the survey period of NFI and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and National Ecosystem Survey should be consistent. Also, examining areas with wide forest patch should be prioritized during the field survey in order to decrease any errors.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Valuation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Using TMDL)

  • 이창희;박경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0-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과거에 비해 수질이 개선되고, 어류 등 수생생물의 종과 수가 늘었더라도, 그 요인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와 수질개선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된다. 그 중 생태계 조절서비스 가치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수질오염총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산정된 물리적 수질조절량에 처리단가를 곱함으로써 경제적 가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BOD, T-P 항목에 대해서 생태계 수질가치를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