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31초

건설공사의 정량적 위험도 산정 방법론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nstruction Site)

  • 김현수;이현수;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63-466
    • /
    • 2008
  • 건설 분야는 건설업의 특징으로 인해 타 산업에 비해 많은 위험요소를 포함한다. 2007년 기준 산업재해로 인한 1년간 손실은 근로손실일수로는 약 7000만일, 경제적 직접손실액(산재보상금 지급액)은 약 3조원이다. 여기에 간접손실을 포함한 경제적 손실 추정액은 16조원에 달한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안전관리는 일괄적인 안전지표 및 규칙과 규제 형태의 경험적 안전지식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재해지표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기존의 재해지표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한 뒤, 위험도 산정에 필요한 변수들을 설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정량적 위험도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여 현 상황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 PDF

A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of network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detection risk based on the meta feature system of network security data

  • Lin, Weiwei;Yang, Chaofan;Zhang, Zeqing;Xue, Xingsi;Haga, Reik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2호
    • /
    • pp.4531-4544
    • /
    • 2021
  • Because the traditional network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risk assessment method does not set the weight, it is easy for security personnel to fail to evaluate the value of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risk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value of network centrality, resulting in poor evaluation effect. Therefore, based on the network security data element feature system, this study designed a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of network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detection risk under single transmission state. In the case of single transmission state,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network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is carried out by using the analysis model. On this basis, the weight is set, and the intrinsic attribute value of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is quantified by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valuate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the efficacy coefficient method is used to transform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associated risk, and the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risk value is obtained, so as to realize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network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detection under single transmission state. The calculated values of network centrality of the traditional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are tested respectively, and the evaluation of the two methods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network centrality value in the complex information security vulnerability space network, and the output evaluation result has a high signal-to-noise ratio, and the evaluation effect is obviously bett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고정식 수소충전소에서의 Dispenser Module 내 구역별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Stationary Hydrogen Refueling Station by Section in Dispenser Module)

  • 임상진;김민기;김수;이윤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5
    • /
    • 2023
  • 신재생에너지로서 수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화석 연료와 달리 수소는 연료 공급을 위한 전용 충전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인프라 확보를 위해서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위험성평가와 정량적 위험성 평가로 구분하여 수소충전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Hazard and Operability Analysis(HAZOP) 기법을 사용하여 Dispenser Module을 두 개의 Node로 평가하였으며, Criticality Estimation Matrix에 따라 Filter의 막힘으로 인한 사고와 고압 사고의 위험도가 High Level로 평가되었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는 Hydrogen Korea Risk Assessment Module(Hy-KoRAM)을 사용하여 화재의 형상과 피해영향범위를 나타냈고, 개인적 위험도와 사회적 위험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개인적 위험도는 수소충전소로부터 약 100m 떨어진 공공시설 부근까지 추가적인 안전조치가 고려되는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ALARP) 구간의 위험도를 보였고, 사회적 위험도 역시 약 10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사고빈도가 1E-04/year로 도출되며 ALARP 구간 내에 나타났다. 정성적·정량적 위험성 평가 결과, 공정 단계의 추가적인 안전 조치와 수소충전소 부근의 제한구역 설정을 통하여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생물학적 위해성 평가 (Microbial Risk Assessment)

  • 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1-108
    • /
    • 2001
  • 환경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발생에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는 일은 잠재적 보건 위해성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종종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일들은 과거에는 주로 정성적이고, 주관적인 방법으로 이루어 졌지만, 최근에는 정량적 위해성 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QRA는 병원성 미생물로부터의 감염이나 발병, 또는 치사율 등의 위해성을 정량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접근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보는 정책 결정권자가 위해성의 확대와 비용부담, 그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결정하는데 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다. 본 문에서는 위해성 분석의 과제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과정에서 미생물 위해성 평가가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 PDF

INFLUENCE FACTOR-BASED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CONSTRUCITON

  • Hyunsoo Kim;Hyunsoo Lee;Moonseo Park;Kwang-pyo L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31-1236
    • /
    • 2009
  • Many work-related risk factors can cause construction site hazards. Therefore, safety management begins with measuring the magnitude of risk involved in a projec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risk assessment of major trades at a particular construction site. To assess risk, this methodology integrates hazard severity and frequency, and their magnitude is calculated based on actual work-site hazards. This methodology also considers the influence factors that affect the frequency of work-related hazards. To select the appropriate influence factors, a two step approach is deployed. First, the predominant factors a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a selective process filters out the influence factors that are difficult to analyze quantitatively, and these extracted factors are weighted using expert surveys. Finally, the factors are combined and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is proposed.

  • PDF

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위해성분석 기법의 도입 (Application of the Risk-Based Analysis to EIA)

  • 정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3호
    • /
    • pp.1-8
    • /
    • 1995
  • In generally speaking,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s to give the environment its due pla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clearly ealuating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 of a proposed activity before action is taken. The introduction of conventional EIA is to be seen as an end product of a very long evolutionary process, starting with rudimentary but evolving pollution control measures for air, water, noise, land and chemicals, each governed by separate, and separately administered pieces of legislation. In EIA process, the measures of status, scoping, proposed mitigation and communication have not been very quantitative in their significancy. Of course, the determinations have uncertainity in the implications for significant impacts. To improve the determination of significant impacts, some more comprehensive methodologies of EIA has been proposed with the concepts of risk analysis in the proposed projects. The concepts of risk analysis has been introduced to the expression of human health impairment du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since the early 1980's. The risk analysis being meant b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impact has a process quantitatively considering uncertainities and importances of ecological systems and human health as well. The process of risk analysis shows assessment, doseresponse in toxicity, exposure assessment and risk characterization. With the risk assessment, it could be suggested for the proper measurements against their anticipated risk in the EIA. This paper deals the priciples developing process and application of the risk-based analysis in EIA.

  • PDF

FTA를 이용한 화학공장의 위험성 평가 및 응용 (Risk Assessment and Application in Chemical Plants Using Fault Tree Analysis)

  • 김윤화;김기수;윤성렬;엄성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86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험성 평가 방법중에서 사고의 발생 경위를 연역적으로 추론해 나가는 이상 트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사상을 일으킬 수 있는 시스템 요소들의 파악으로부터 화학공장의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산정하였다. Gate-by-gate 방법과 최소 컷 ? 방법을 이용하여 공장내 존재하는 잠재위험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정량적인 위험성 평가 단계에서는 시스템 요소의 고장률 또는 신뢰율 자료로부터 정상사상의 사고 발생 확률 및 빈도를 계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상 트리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시스템/공정의 사고 발생확률을 논리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었으며, 중요도 분석을 이용하여 정상 사상이 발생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손실 경로를 확인하여 보았다.

  • PDF

유해해양생물 위해성평가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harmful marine species: the legal problems and solutions)

  • 이창수;모영동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91-704
    • /
    • 2020
  • 해양수산부는 사람의 건강과 재산을 위협하는 유해해양생물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17종의 유해해양생물을 지정했다.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있어 2015년 11월 고시를 제정하고, 2019년 '해양생태계 교란종 및 유해해양생물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하, 훈령)'을 개정하였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평가제도의 도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행 유해해양생물 지정 및 관리체계를 검토하여 현행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제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해해양생물의 위해성 위험 평가 제도'를 '위험'과 '평가'의 두 가지 정의로 검토하였다. 현 위해성평가 절차에 대한 본고의 검토 결과는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의 보완이다. 비록 정성적 평가기준이 가미되어 있지만, 현 위해성평가 절차는 정량적 위해성평가에 충실한 제도로 정성적 위해성평가 요소가 보완되었을 때 정량적 위해성 평가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선 운항 사고의 양적 위기평가기법 개발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the Maritime Transportation Accident of Merchant Ship)

  • 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상선의 운항 사고에 관한 양적 위기평가에 관한 실험적인 접근방법들을 기술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해사기구의 공식 안전성 평가(FSA)를 기반으로 운항 사고에 크게 기여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양적 위기평가기법에 기반을 둔 운항 사고의 확률적인 위기수준을 평가한 후, 선박 안전을 저해할 수 있는 운항 사고 위기를 예측하는 것이다. 확률지수(PI)와 심각성지수(SI) 구성된 위기지수(RI)에 대한 운항 사고의 확률적인 위기수준은 베이지안 이론을 적용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항사고 위기 모델을 이용해서 예측했다. 그리고 355건의 핵심 손상 사고기록으로 구성된 시나리오 그룹을 이용하여 제안한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예측한 PI의 정답률 $r_{Acc}$은 82.8%로 나타났고, $S_p{\gg}1.0$$S_p{\ll}1.0$에 포함되는 PI 변수들의 민감도 초과비율은 10% 이내로 나타났으며, 예측한 SI의 평균 오차 $\bar{d_{SI}}$는 0.0195로 나타났고, 예측한 RI의 정답률은 91.8%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한 모델과 방법이 실제 해상운송 현장에 적용 가능함을 나타낸다.

Risk Assessment for Noncarcinogenic Chemical Effects

  • Kodell Ralph L.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1994년도 교수 연수회(환경)
    • /
    • pp.412-415
    • /
    • 1994
  • The fundamental assumption that thresholds exist for noncarcinogenic toxic effects of chemicals is reviewed; this assumption forms the basis for the no-observed-effect level/ safety-factor (NOEL/SF) approach to risk assessment for such effects.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NOEL/SF approach are traced, and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The recently proposed use of dose-response modeling to estimate a benchmark dose as a replacement for the NOEL is explain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ose-response modeling of non carcinogenic effects to include the estimation of assumed thresholds is discussed. A new method for conversion of quantitative toxic responses to a probability scale for risk assessment via dose-response modeling is outl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