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3초

스피루리나 첨가 식빵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의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Bread during Storage)

  • 이지연;강선희;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118
    • /
    • 2011
  • 본 연구는 저장기간 중 스피루리나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스피루리나를 0.4, 0.8, 1.2% 첨가한 식빵을 만들어 0,1,3,5,7일간 저장실험을 하였다.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와 첨가구 모두 무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수분함량은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피코시아닌 색소는 스피루리나 0.4%, 0.8%, 1.2% 첨가구는 각각 저장7일, 5일, 1일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냈고, 저장1일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도는 저장일이 변화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적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는 모든 첨가구가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조직감의 경도는 모든 첨가구가 저장 7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탄력성은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스피루리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C_{50}$ 값이 낮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는 색은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고, 전반적인 향에 대한 기호도는 저장 3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맛에 대한 기호도는 0.8% 첨가구가 저장일별마다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났다. 조직감은 대조구와 1.2% 첨가구가 저장 3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고, 0.4% 첨가구와 0.8% 첨가구는 저장 7일째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저장일이 증가 할수록 대조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고, 저장7일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구매 의향은 저장일이 증가할수록,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 황은선;이예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20-12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즙을 첨가한 양갱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제품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즙 첨가 양갱의 수분함량은 29.5~31.2%로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갱의 pH는 6.0~5.2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산도는 0.2~0.5%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당도는 아로니아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5.3{\sim}5.6^{\circ}Brix$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과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양갱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와 황색도(b)는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에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아로니아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경도가 1.6배~2.6배까지 증가하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대조군 및 각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모든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radical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나 아로니아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능검사에서 맛, 색, 질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AJ 100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아로니아는 새로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소재이며 아로니아즙을 첨가하여 기능성 양갱을 제조할 때 첨가하는 아로니아즙의 양은 AJ 100이 가장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 김경희;황혜림;윤미향;조지은;김미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26-934
    • /
    • 2009
  • 버찌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0, 5, 10, 15%)를 $25^{\circ}C$에 저장하면서 10일간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반죽의 pH는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파운드케이크의 굽기 손실률은 1$11.47{\sim}12.67%$로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높이와 비용적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는 crumb의 적색도를 제외하고, 버찌분말 첨가에 따라 crust와 crumb 모두 명도, 적색도,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은 버찌분말 첨가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버찌분말 첨가에 의해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부착성 및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도는 무첨가구에 비해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노화도가 높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은 10% 및 15% 버찌분말 첨가구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선호도를 제외하고 10% 및 15% 첨가구에서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장 동안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 첨가량은 10%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50세 이상 한국인의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Plant Proteins in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outh Korean Individuals Aged 50 Years or Olde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 전숙현;이정우;신우경;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7,956명(남성 3,434명, 여성 4,522명)이 연구에 포함하였다. 건강관련 삷의 질은 신체 기능, 자기 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쾌감, 불안/우울 문제로 구성된 삶의 질 5차원 지표(EQ5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성 단백질 일일 섭취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은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식물성 단백질, 콩과 견과류 종자(LNS) 및 발효 콩(FERMB) 단백질의 섭취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건강관련 삷의 질과 건강관련 삷의 질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었다(p < 0.01). EQ5D의 지표 중 신체 기능과 일상 활동이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LNS 단백질이나 FERMB 단백질 섭취에 비해 총 식물성 단백질 섭취가 건강관련 삷의 질과 더 큰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관련 삷의 질 사이에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이는 식물성 단백질의 적절한 섭취가 한국 성인의 건강관련 삷의 질 유지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용자 로그 분석에 기반한 노인 돌봄 솔루션 구축 전략: 효돌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Elderly Care Solution Based on Usage Log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Hyodol Product)

  • 이준식;유인진;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117-140
    • /
    • 2019
  •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취약계층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노인세대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노인 돌봄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 돌봄의 수단으로 첨단화된 ICT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토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되는 노인 행태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노인 돌봄 관련 정책 수립, 노인 돌봄 서비스 컨셉 기획 및 개발과 같은 분야에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지표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노인 돌봄 스마트 토이와 관련된 연구 중 스마트 토이를 통해 기록된 사용자 행동 로그에 주목하여 이를 의사결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스마트 토이 사용자 행동 로그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 돌봄 솔루션의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링 기반 행태 분석과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 도출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노인 생활관리 요인으로부터 노인집단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2개의 중요한 차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한 차원에 근거하여 전체 노인 사용자를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 차이를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스마트 토이 사용 행태에 따른 삶의 질 변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스마트 토이와의 상호작용, 스마트 토이의 콘텐츠 사용, 스마트 토이가 관찰한 노인의 가정 내 활동 정도가 노인의 우울감 개선과 생활패턴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이를 중재하는 경로로써 스마트 토이에 대한 사용자의 성능평가와 만족감의 역할을 밝혀내었다.

일개 대학병원 신경외과중환자실에서 Clostridium difficile 관련 설사 감소를 위한 CQI활동 (CQI Activities for the Reduction of Clostridium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in NCU of a University Hospital)

  • 박은숙;장경희;윤영옥;이정신;김태곤;여한승;김선호;신정원;이경원;김준명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21
    • /
    • 2001
  • Background : The Clostridium difficile is the most important identifiabl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us diarrhea and colitis, which lengthens hospital stay. Recently incidence of C. difficile has been increasing in an university hospital, and an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C. difficile associated diarrhea (CDAD) was in prompt need. Methods : Subjects were the patients in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NCU) where C. difficile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various departments, we used the CQI method, because management of CDAD requires a wholistic approach including control of antibiotics, barrier precaution and environmental cleaning and disinfection. Duration of the CQI activities was 9 months from April to December 1999. Results : The identified problems were misuse and overuse of antibiotics, lack of consciousness of medical personnels and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from the contaminated environment and tube feeding. Education for proper use of antibiotics and management of C. difficile infection, use of precaution stickers, supplement of handwashing equipments, emphasis on environmental disinfection, and the change of the process of tube feeding were done. The CDAD rate in NCU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CQI program (8.6 case per 1,000 patient days from January to April 1999 vs 4.8 from May to December 1999). The distribution of neurosurgical wards including NCU among the total number of isolated C. difficile from the clinical specimens dropped from 49.4% in January to April to 33,7% in May to December. The average hospital stay of the neurosurgical department changed from 19.6 days to 15.2 days. Also, the effect of the CQI activities for C. difficile may have affected the incidence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 Duration and dosage of certain antibiotics used in the NS department were decreased. The distribution of neurosurgical department in the number of VRE isolated patients declined from 18.4% to 11.1%. Conclusion : Infection control of resistant organisms such as C. difficile is likely to be successful when management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 collaborative efforts of decreasing the patients' risk factors such as antibiotics management and decreas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come simultaneously. For this work, related departments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cess under a common target through discussions for identifying problems and bringing up solutions. In this respect, making use of a CQI team is an efficient method of infection control for gathering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related departments.

  • PDF

공간 분석 기법을 적용한 부산 노인 주거지의 보행환경 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Walking Environment in the Residential Area for the Elderly in Busan Using Spatial Analysis)

  • 이휘호;김지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51-265
    • /
    • 2023
  • 본 연구는 고령사회로 접어든 부산시의 노인 보행환경을 위한 주요 지표를 도출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주요 지표를 선정하고, 부산의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3곳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노인 비율이 가장 높은 대상지 3곳은 경사 주거지로, 대상지에서 거주하는 노인들은 경사로 인한 이동의 제약으로 매우 좁은 범위에서 활동하고 있다. 둘째, 대상지의 보차분리 및 보행자 안전 상황이 열악하여 보행 중 불법 주차 차량과 운행 중인 차량에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대상지의 가파른 경사가 있는 가로들이 노인에게 수직 이동을 강제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노인들은 외부활동에 어려움을 표출하고 있다. 넷째, 대상지는 외부활동 중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사 주거지의 열악한 보행환경은 노인의 필수적 활동 및 사회적 활동을 제한하며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의 건강 유지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노인의 이동과 외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을 개선하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in Win-Win Cooperation Quality Circle Innovation Activities)

  • 안효범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43-48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 간 상생협력활동을 통한 동반성장이라는 목표 아래,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선도모델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국가품질상의 범주 내에서 실시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에 참여한 총 18개 기업들의 주요 발표문집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2017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부문의 심사기준을 분석하고 각 활동단계별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최적화된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동요령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성화 및 참여유도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업 간 상생협력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통하여 상생협력이 새로운 기업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상생협력 기업 간 생산성 및 품질향상 등 기업경쟁력 제고를 바탕으로 기업 간 동반성장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음나무 잎의 항산화 활성 및 돈피 튀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Extract and Its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Pork Skin)

  • 김현정;김미진;오송이;황보미향;장상준;김혁일;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5-190
    • /
    • 2012
  • 음나무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5.9{\pm}6.1mg/g$, $59.0{\pm}6.7mg/g$으로 나타났으며, FRAP 값은 $0.3{\pm}0.0mmol\;Fe^2/g$이고, 그리고 DPPH에 대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음나무 잎을 첨가하여 돈피 튀김을 제조한 다음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조구에 비해 음나무 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돈피 튀김의 경도 및 TBARS값이 감소되었고, 콜라겐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시료 첨가구에서 유의적인 높은 값을 보였다.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김경희;이상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50-756
    • /
    • 2009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분말을 0, 3, 5, 7 및 1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물성은 버찌분말의 첨가에 따라 경도(hardness)는 증가하였고 검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은 감소하였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껍질(crust)과 빵속(crumb)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버찌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버찌분말첨가 머핀에서 색, 향, 맛, 부드러움, 촉촉함,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머핀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 첨가량은 5%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