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case study

검색결과 1,150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교에서 창의적 재량 활동으로 환경교육 선택할 때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Barriers Faced by Teachers inn Choosing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s)

  • 권혜선;윤순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50-63
    • /
    • 2010
  •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aiming at understanding and finding out influential factors and barriers when school teachers choose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ir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To do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wo teachers' choices of the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in two other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Two teachers' choices are affected by several influential factors, divided into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xternal influential factors include culture of school and education, media, chief education officers, parents and school. Internal influential factors are teachers' value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teachers' capacity. These influential factors' forces aren't the same with each other. These influential factors, are influenced by educational, social,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indicated by Taylor et al's (1974) classification criterion. Especially, however, Korea's particular educational environment focusing o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trongly affects teachers' choice. School factors also has a big strong effect on teachers' choice. Among others internal actors are the most serious influential factor affecting on teachers' choice.

  • PDF

한국 고령남성의 베트남 이주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emigration to Vietnam for Korean older males)

  • 김현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59-87
    • /
    • 2013
  • 본 연구는 베트남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고령남성의 이주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기술적 성격의 질적사례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베트남 이주로 인해 개별 사례가 무엇을 경험하는가?, ② 베트남 이주가 사례에게 어떤 의미인가? ③ 고령남성의 베트남 이주의 상황적 맥락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가? 이를 탐색하기 위해 7명의 연구참여자에게 11개월에 걸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다각도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주요 내용을 파악하였고, 이야기 재구성을 통해 분절된 의미들을 맥락을 고려하여 재기술하였다. 개별사례를 관통하는 주제들로는 '이주동기와 배경', '문화적응', '사회적 관계망', '일의 의미', '가족', '영성과 삶의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재미한인교포의 이혼 후 재혼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시카고지역의 재혼자를 대상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marriage after Divorce -Focusing on Korean Immigrants with Adolescents at Home in Chicago Area-)

  • 김효순;엄명용;박미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5-28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 내 한인 재혼교포부부들의 이혼과 재혼과정 및 재혼생활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 7인, 남성 2인, 총 9명의 재혼한 교포들을 소개받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재혼한 한인교포부부들의 재혼생활과정에서 도출된 주제들을 모두 17개의 하위범주와 이혼사유, 재혼: 새로운 삶의 선택, 재혼생활의 갈등상황, 대처자원, 재혼생활의 안정화 단계 등 5개의 핵심범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들을 바탕으로 재미한인 교포 재혼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 PDF

경호.경비 연구방법론에서 질적 연구의 활용 (The Applications of Qualitative Inquiry in Security Research Methodology)

  • 김은정
    • 시큐리티연구
    • /
    • 제34호
    • /
    • pp.33-55
    • /
    • 2013
  • 경호 경비 분야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 질적 연구의 동향과 다양한 기법들로 구분되는 유형들을 적용하였다. 기존 경호 경비 관련 연구현황을 살펴보면, 양적 연구에 비해 질적 연구에 대한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더욱이 질적 연구로 수행된 연구들도 의도대로 심층성을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가 많았고, 통계를 제외한 모든 연구를 질적 연구라고 취급할 정도로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경호 경비 연구방법론에서 질적 연구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 문화기술지적 연구(Ethnographic Research), 사례조사 연구(Case Study Research)라는 다섯 가지 질적 연구의 유형을 제시한 Creswell(1998, 2007, 2013)의 이론을 접목하였다. 이를 통한 경호 경비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활용은 첫째, 경호 경비 현장의 목소리를 이론화한다는 점에서 산학이 공조된 현실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둘째, 경호 경비 업계의 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을 유발하고 셋째, 경호 경비와 관련된 제반 현상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파악하는 계기가 되며 넷째, 경호 경비 분야의 실천적인 지식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용성을 찾게 된다. 급변하는 경호 경비 분야에서 학계는 연구방법론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하고, 특히 심층적인 질적 연구의 활용을 통해 현장과의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입양가족의 뿌리찾기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Searching Roots of Adoptive Families)

  • 권지성;안재진;변미희;최운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2호
    • /
    • pp.209-23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입양가족들의 뿌리찾기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뿌리찾기를 시도한 입양가족들과 접촉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 다섯 가족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제들은 '입양됨의 인식', '호기심 폭발', '불안한 기다림', '진실을 만나는 순간', '그래, 내가 진짜 엄마야', '그리고 아무 말도 없었다' 등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입양가족들의 뿌리찾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 PDF

환경교육과 학생의 전공에 대한 동기 변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Motivations toward Their Studi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Department)

  • 최돈형;조성화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3호
    • /
    • pp.41-47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sons of changes in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adopt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six(6) pre-service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department. Researchers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m on the levels of motivation toward their studio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levels of motivation toward their studies were shown differently by each of the pre-service teachers. Some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their levels of motivation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had changed since the college entrance. The reasons for the changes include 'suita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personal propensity,' 'college courses they took', and 'personal experiences.' Some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the levels of motivation for their majors did not changed since he or she was pursuing other goals rather than being an environmental educator.

  • PDF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가족친화경영 우수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Work-Family Balance at F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김선미;구혜령;강복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23-48
    • /
    • 202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s on f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have put family-friendly management into successful practice. Through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five human resources managers and ten employees, we describe each firm's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including working hour reductions, breaks, work flexibility, and parental leave to build an overall picture. We also discuss the four key factors of the CEO's role; democratic communication between all staff, the usefulness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as a starting point; and governmental support for promoting work-life balance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inally, we suggest three political implications of governmental support, namely CEO education, changing the criteria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to redefine working hours and work flexibility, and incentives specifically for 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s.

섭식장애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Polyvagal 이론을 중심으로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raplay Application of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 Focusing on Polyvagal Theory)

  • 김세영;유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01-612
    • /
    • 2018
  • 본 연구는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치료를 위해 치료놀이기법을 적용한 사례를 폴리베이글 이론(Polyvagal Theory)을 중심으로 분석한 임상적 단일 사례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섭식장애아동이 치료놀이를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섭식장애아동의 변화에 대한 치료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수의 사례를 치밀하게 탐구하여 사례를 깊이 드러내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내담아동은 치료놀이상담에서 안전감을 확보하며 견딜 수 있는 각성의 범위를 확대하여 사회개입시스템을 개발하며 점차 적응성이 높아지고 섭식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상담효과의 신경과학적 입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질적 효율성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농림축산 분야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Qualitative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jects: Focused on Agricultural Research Area)

  • 김경수;조남욱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5-125
    • /
    • 2018
  • In order to examine the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this paper presents analysis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y of R&D projects. As Korea's R&D invest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has attracted attention. In this paper, a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ethod is used to construct models for quantitative efficiency and qualitative efficiency analysis. Based on a cases of agricultural R&D projects of Korea, the efficiency of national R&D projects were analyzed and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ies are compar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y was found. Also, characteristics of Decision Making Units(DMUs) which can influenc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iciency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stage of a R&D project has significant impact on R&D efficienc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nhance R&D efficienc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nature of outputs should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R&D efficiency.

여성결혼이민자가 체험한 교육문화와 문화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ducational Culture Experien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Acculturation)

  • 김승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153-17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culture experienced by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ir own country, as well as their internalizing process of the educational culture in Korea,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solve the problem of acculturation based on their own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and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he problem of acculturation superficially. Participants were 17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eight countries who resided in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They were selected by the sampling strategy of maximum vari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rchiv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arried immigrant women had no experience of attending private institutions and had good memories of their school life. Based on these kinds of experiences, they criticized Korean mothers who urged their children to attend private institutions. They respected their children's opinions and allowed their children to select private institutions. Despite married immigrant women apparently suffering from acculturation, they educ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ir own philosophy and method of education. That is, they solve the problem of acculturation actively and independently. Consequently, in order to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solve the problem of acculturation,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difference in the cultures and frame a system that develops the activity and subjectivity of married immigrant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