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raplay Application of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 Focusing on Polyvagal Theory

섭식장애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Polyvagal 이론을 중심으로

  • 김세영 (숙명여대대학원 아동복지학과 아동심리치료 전공) ;
  • 유미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8.03.05
  • Accepted : 2018.03.27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is study is a clinical single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Theraplay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based on Polyvagal Theor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change through Theraplay.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analyze what the therapeutic factors are for changes in children with eating disorder. To do this, I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at explores a small number of cases closely and reveals the case deeply. As a result, the client has a sense of security in Theraplay session, expands the window of tolerance and develops a social engagement system. Through these, client become increasingly adaptable and overcome eating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neuroscience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effect.

본 연구는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치료를 위해 치료놀이기법을 적용한 사례를 폴리베이글 이론(Polyvagal Theory)을 중심으로 분석한 임상적 단일 사례연구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섭식장애아동이 치료놀이를 통해 어떻게 변화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고 둘째, 섭식장애아동의 변화에 대한 치료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수의 사례를 치밀하게 탐구하여 사례를 깊이 드러내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내담아동은 치료놀이상담에서 안전감을 확보하며 견딜 수 있는 각성의 범위를 확대하여 사회개입시스템을 개발하며 점차 적응성이 높아지고 섭식장애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상담효과의 신경과학적 입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D. Fosha, D. Siegel, and M. Solomon, 감정의 치유력, [The Healing Power of Emotion], (노경선, 김건종 공역), 서울:눈출판사, 2012.
  2. A. Schor, Affect dysregulation and disorders of the self, New York: Norton, 2003.
  3. J. Rustin, 몸, 뇌, 마음, [Infant Research and Neuroscience at Work in Psychotherapy], (노경선, 최슬기 공역), 서울:눈출판사, 2016.
  4. S. Hart, Brain, attachment personality: An introduction to neuroaffective development, London:Karnac Books, 2008.
  5. 정미라, 권정윤, 강수경, "영아기 부모를 위한 뇌 기반 양육코칭 프로그램 모형 개발," 幼兒敎育硏究, Vol.36, No.2, pp.561-583, 2016.
  6. D. Hughes and J. Baylin, 두뇌에 기초한 양육:신경과학으로 풀어가는 건강한 양육, [Brain-Based Parenting: The Neuroscience of Caregiving for Healthy attachment], (김세영,신현정,윤미원,홍라나 공역), 학지사, 2017.
  7. 김성호,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동한, "염지관 명상의 몸느낌 관찰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경과학적 접근으로-," 명상심리상담, 제7호, pp.267-308, 2012.
  9. 박형빈, "뇌신경과학과 Adler 단기치료(ABT) 기반의 상담 심리치료 프로그램," 초등도덕교육, 제4호, pp.179-214, 2015.
  10. 최승원, "뇌과학적 관점에서의 상담의 실제,"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학술대회, 제1호, pp.1-8, 2010.
  11. 이인영, 집단미술치료가 섭식장애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이용기, 안성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아동의 작업기억과제수행시 fMRI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54-8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54
  13. R. Pally, "Emotional processing: The mind-body connection," International J. of Psychoanalysis, 79, 1998a.
  14. J. Panksepp, Affective neuroscience: The founda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5. S. Lindaman, How Polyvagal Theory Helps Us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Theraplay, 7th International Theraplay Conference 자료집, 2016.
  16. 김은영, "감각처리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증거들," 신경재활치료과학, 제1권, 제1호, pp.5-16, 2012(1).
  17. S. Porgers, "The polyvagal theory: Phychogenetic substrates of a social nervous system," International J. of Psychophysiology, Vol.42, pp.123-146, 2001(a). https://doi.org/10.1016/S0167-8760(01)00162-3
  18. S. Porgers, "Making the World Safe for our Children: Down-regulating Defence and Up-regulating Social Engagement 'Optimise' the Human Experience, Children Australia, 2015.
  19. S. Porgers, The Polyvagal Theory:The transformative power of feeling safe, 7th International Theraplay Conference자료집, 2016.
  20. http://nrepp.samhsa.gov
  21. APA,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대표역자 권준수), 학지사, 2015.
  22. 왕희정, 정선아, "일개대학 여자신입생의 우울, 섭식장애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83-69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683
  23. 강현진, 장문영, 김경미,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9권, 제2호, pp.41-49, 2011.
  24. 공성숙, 폭식행동집단의 식이행위와 심리적 변인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5. 안동현, "청소년기의 섭식장애," 대한의사협회 학술저널, 제39권, 제12호, pp.1506-1514, 1996.
  26. 이상선, 여대생의 식사 행동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27. 이상선, 오경자, "여대생의 식사행동과 심리적 요인들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pp.247-258, 1994.
  28. 한진화, 신경성 폭식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김미진, 신경성 폭식증 여성의'몸 이미지'미술치료 활동 경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0. 김선현, 조영주, "임상미술치료가 섭식장애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임상미술 치료학연구, 제9권, 제2호, pp.27-38, 2014.
  31. 김남선, 이규은, "여대생의 섭식장애와 신체증상, 기분상태간의 상관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4권, 제3호, pp.388-401, 1998.
  32. 김민지, 김현택, "섭식 절제, 섭식 장애 위험 수준에 따른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주의편향과 뇌 활동 분석,"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2017(2).
  33. F. Lapides, Neuroscience: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msterdam: Academic Press/Elsevier, 2010.
  34. 오숙현, 여대생의 섭식장애 행동과 부모와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35. P. Booth and A. Jernberg, 치료놀이, [Theraplay(3rd)], (윤미원, 신현정, 전은희, 김윤경 공역), 학지사, 2011.
  36.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1997.
  37. 조용환, 사회복지연구의 질적접근: 기초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질적 연구방법론 워크숍 자료집, 2012.
  38. K. Yin, 사례연구방법, [Case study and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신경식, 서아양 공역), 서울: 한경사, 2003.
  39. P. Ogden, C. Pain, K. Minton, and J. Fisher, "Including the body in mainstream psychotherapy for traumatized individuals,"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40. D. Siegel, The developing mind: Toward a neurobiology of interpersonal experience, New York: guilford Press, 1999.
  41. S. Geller and S. Porges, "Therapeutic Presenc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sMediating Feeling Safe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J.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2014.
  42. 서정민, 음악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템퍼 텐트럼 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43. A. Kestly, "Presence and play: Why mindfulness matters," International J. of Play Therapy, 제1호, pp.14-2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