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S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43초

QoSS의 연구 동향과 적용 (Research Trend of QoSS and Its Application)

  • 함우석;김종승;이송원;박재혁;최수길;김광조;김숙연;남택용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52-355
    • /
    • 2002
  • QoSS(Quality of Security Service)는 보안을 단순한 성능 장애 요소의 관점에서 벗어나 QoS(Quality of Service)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서 사용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QoSS는 보안 서비스들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수준으로 제공 가능하다는 가변 보안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자원의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QoSS의 전반적인 구성 요소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의 구축 시 QoSS의 적응 절차와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제안한다.

  • PDF

IEEE 802.16 SS에서의 효과적인 Uplink Scheduling을 위한 알고리즘 제안 및 성능 분석 (Propose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p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the SS in the IEEE 802.16 systems)

  • 백주영;김우재;서영주;박정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388-390
    • /
    • 2005
  • IEEE 802.16은 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시스템의 표준으로 현재 많은 연구와 함께 상용 제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인 분야이다. IEEE 802.16에서는 QoS를 제공하기 위하여 BS (Base Station)와 SS(Subscriber Station)간의 QoS 협상 과정을 정의하고 있으며, BS 및 SS에서의 효율적인 QoS 보장을 위해 4가지의 서비스 클래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클래스는 UGS, rtPS, nrtPS, 그리고 BE 이다. 하지만 표준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클래스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태한 언급이 없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packet scheduling에 관한 않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BS에서의 효율적인 scheduling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SS에서의 scheduling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BS에서 SS에게 대역폭을 할당할 때 GPSS (Grants per subscriber station) mode로 대역폭을 할당한다면 SS에서는 할당 받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scheduling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S에서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scheduling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SS의 상황에 맞추어서 주어진 대역폭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능 명가를 통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역폭을 사용함을 알 수 있다.

  • PDF

IEEE 802.16 SS에서의 Uplink Scheduler 구조 제안 (Uplink Scheduler Architecture of the SS in the IEEE 802.16)

  • 이선돈;김우재;서영주;박윤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391-393
    • /
    • 2005
  • IEEE 802.16은 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시스템의 표준으로 현재 많은 연구와 함께 상용 제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인 분야이다. IEEE 802.16에서는 QoS를 제공하기 위하여 BS (Base Station)와 SS(Subscriber Station)간의 QoS 협상 과정을 정의하고 있으며, BS 및 SS에서의 효율적인 QoS 보장을 위해 4가지의 서비스 클래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클래스는 UGS, rtPS, nrtPS, 그리고 BE 이다. 하지만 표준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클래스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인 packet scheduling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BS에서의 효율적인 Scheduling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SS에서의 Scheduling에 대한 연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BS에서 SS에게 대역폭을 할당할 때 GPSS (Grants per subscriber station) mode로 대역폭을 할당한다면 SS에서는 할당 받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scheduling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S에서의 scheduling architecture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scheduling architecture는 기존의 scheduling algorithm과는 달리 각 서비스 클래스에 대해서 효과적인 scheduling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QoS Guaranteed Secure Network Service Realization using Global User Management Framework (GUMF);Service Security Model for Privacy

  • Choi, Byeong-Cheol;Kim, Kwang-Sik;Seo, Dong-I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586-1589
    • /
    • 2005
  • GUMF (Global User Management Framework)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next generation network such as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it is QoS guaranteed security framework for user that can solve present Internet's security vulnerability. GUMF offers anonymity for user of service and use the user's real-name or ID for management of service and it is technology that can realize secure QoS. GUMF needs management framework, UMS (User Management System), VNC (Virtual Network Controller) etc. UMS consists of root UMS in country dimension and Local UMS in each site dimension. VNC is network security equipment including VPN, QoS and security functions etc., and it achieves the QoSS (Quality of Security Service) and CLS(Communication Level Switching) functions. GUMF can offer safety in bandwidth consumption attacks such as worm propagation and DoS/DDoS, IP spoofing attack, and current most attack such as abusing of private information because it can offer the different QoS guaranteed network according to user's grades. User's grades are divided by 4 levels from Level 0 to Level 3, and user's security service level is decided according to level of the private information. Level 3 users that offer bio-information can receive secure network service that privacy is guaranteed. Therefore, GUMF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can offer profit model to ISP and NSP, and can be utilized by strategy for secure u-Korea realization.

  • PDF

Reduced Glutathione 이 X-선전신조사(線全身照射)를 입은 마우스 십이지장(十二指腸)의 NP-SH, NP-SS 및 산소소비량(酸素消費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duced Glutathione on Non-Protein Sulfhydryl, Non-Protein Disulfide and Oxygen Consumption Rate of Mouse Duodenum Following Whole Body X-Irradiation)

  • 이중길;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5권2호
    • /
    • pp.55-62
    • /
    • 1971
  •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whole body X-irradiation on the levels of non-protein sulfhydryl (NP-SH), non-protein disulfide (NP-SS) and oxygen consumption rate $(QO_2)$ of the mouse duodenum, and to clarify the possible radioprotective ac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a whole body X-irradiation of 1,000r was given to albino mouse either singularly or immediately after injecting GSH intraperitoneally to mouse 1 mg per gm of body weight. NP-SH was measured by Ellman's method, NP-SS was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reduction method described by Dohan and Woodward, and $(QO_2)$ by the Warburg's standard manometric metho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1, 6, 12 and 24 hours post-irradiation, and the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ontrol. The results thu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ng with the intrinsic NP-SH level of $3.31{\pm}0.27{\mu}\;mol/gm$ wet weight in the duodenum of the normal mouse, either whale body X-irradiation or injection of GSH alone produced no significant change in NP-SH from the normal. However, when GSH was injected prior to X-irradiation, markedly elevated NP-SH level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4.70{\pm}0.10$ at 6 experimental hours. 2) The normal value of NP-SS in the mouse duodenum was $1.57{\pm}0.17{\mu}\;mol/gm$ wet weight, while in the group where injection of GSH and X-irradiation were combined, NP-SS increased to $2.36{\pm}0.33$ at 12 hours and $2.15{\pm}0.53$ at 24 hours, showing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3) The normal value of $(QO_2)$ was $4.16{\pm}0.73{\mu}l\;O_2/hr./gm$ D.W., and no noticeable change was observed comparing with the GSH injection group. However, in the group where X·irradiation alone was given, $(QO_2)$ of the duodenu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highest value of $6.35{\pm}1.07$ at 6 experimental hours. When GSH was injected before X-irradiation was given, the levels of $(QO_2)$ were in the middle of the GSH injection group and X-irradiation group. 4)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SH may be effective as a radioprotector in terms of NP-SH, NP-SS and $(QO_2)$ of the mouse duodenum.

  • PDF

Design of Statistical-QoS VPN in IP Networks

  • Lee, Hoon;Uh, Yoo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5C호
    • /
    • pp.465-473
    • /
    • 2002
  •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 a theoretic framework to design the Virtual Private Network (VPN) via which the Quality of Services (QoSs) are guaranteed over IP networks. The required QoS is a very strict packet loss probability or a probability that packet delay does not exceed a certain target value in a statistical manner. QoSs are guaranteed by providing a statistical bandwidth similar to equivalent bandwidth, which is computed so that the provided bandwidth is sufficient to guarantee those requirements. Two typical network architectures are considered in constructing VPN, the customer pipe scheme and the Hose scheme, and we propose a method to compute the amount of the required bandwidth for the two schemes. Finally, we investigate the implication of the scheme via numerical experiments.

Sequence Skipping 방법을 이용한 MPLS 라우터의 VC 통합기능 스케쥴러의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s of VC Merging-capable Scheduler for MPLS Routers by Sequence Skipping Method)

  • 백승찬;박도용;김영범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1-120
    • /
    • 2001
  • VC 통합은 동일한 VC 레이블을 가진 VC들에서 각 VC의 해당 셀들을 구분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러한 확인절차(identification process)를 돕는 다양한 접근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지만, 대부분이 추가적인 버퍼링을 필요로 하거나 프로토콜상의 오버헤드나 전송 지연을 가져옴으로써 QoS 규정을 만족시키기에 어려웠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동시에 VC-통합을 지원하는 스케줄러(VCMS)가 제안되었으나 모든 VC들이 통합되거나 유입 트래픽이 매우 작은 경우 snoop하기 위한 비통합 셀들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비어 있는 슬롯들을 채우기 위해 특별한 제어 셀들을 사용하게 되나 제어 셀의 개수가 많아지면 셀 유실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부가적인 패킷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어있는 큐를 갖는 VC의 시퀀스들은 건너뛰고 단지 이를 표시하기 위한 SS 셀만을 채워 넣는 Sequence Skipping(SS)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SS가 셀 유실률과 평균 패킷 전송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VC 통합에 적합한 방안임을 보인다.

  • PDF

MHCOC를 사용한 다중 부호 대역 확산 시스템과 적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ode Spread Spectrum System and its adaptation using MHCOC)

  • 공형윤;남두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901-90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전승을 위해 제안된 HCOC(High Capacity Orthogonal Code) 대역확산(Spread Spectrum) 시스템의 높은 PAPR(Peak power to Average Power Ratio)을 줄여주는 새로운 MHCOC (Mapped HCOC) 대역확산 기술을 제안하고, 같은 비트 수를 전송할 수 있는 기존의 MQAM 대역확산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전송 채널의 상황에 따라 알맞은 데이터 서비스를 하는 QoS (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안한 시스템의 적응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 및 분석하고,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지연과 공정성을 고려한 패킷 스케쥴링 알고리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Packet Scheduling Algorithm Based on Delay and Fairness)

  • 임석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13-520
    • /
    • 2005
  • 60km 정도까지 중속으로 이동하는 단말들에게 1-3 Mbps의 고속의 전송속도를 제공하는 휴대 인터넷 시스템이 곧 상용화될 예정이다. 휴대 인터넷 시스템은 서로 다른 QoS를 요구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므로, QoS를 고려한 효율적인 스케줄링 기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인터넷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의 대기 패킷 버스트들이 겪는 평균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패킷 스케줄링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결과 제안한 방식이 수율과 데이터 손실률 측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속 이동 통신을 위한 적응 가능한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 방식 (An Adjustable Round Robin Scheduling Algorithm for the High Data Rat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배정민;송영금;김동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4권1호
    • /
    • pp.27-32
    • /
    • 2007
  •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패킷 기반의 데이타 통신으로 기존의 음성 위주의 통신보다 더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유한한 자원을 가지고 최대한의 서비스를 최대한의 성능으로 지원하는 스케줄러가 시스템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케줄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시스템의 전송속도를 최대화하면서 각 사용자의 QoS(Qualities of Service)를 보장하는 스케줄러를 제안하였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전송량의 최대화를 추구하면서 형평성을 유지하는 스케줄링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수식적 접근에 의하여 분석하였고, 모의실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