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oS-provision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QoS제공을 위한 비동기 모델에 기반의 웹 서비스 (The Web Service based on Asynchronous Model for QoS Provisioning)

  • 정의헌;최영일;이병선;김화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388-390
    • /
    • 2004
  • 통신환경이 개방형 네트워크로 새로운 통신네트워크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third-party업체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광대역통합망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third-party에게 Open API를 통하여 하부 전달망 특성을 개방한다. Parlay API는 대표적인 Open API이며 Parlay API와 웹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한 단계 더 추상화한 Parlay X API가 있다. Parlay X API는 웹 서비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QoS제공을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essaging Sever를 추가하여 QoS를 제공하기위한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 PDF

대규모 이기종 IP 망의 통합품질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n Integrated QoS Management System for Large-Scale Heterogeneous IP Networks : Design and Prototype Implementation)

  • 최태상;정형석;최희숙;김창훈;정태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1S호
    • /
    • pp.3633-3650
    • /
    • 2000
  • 인터넷은 더 이상 특정그룹만을 위한 네트워크가 아닌 일상적인 ?에서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통신수단이 되었다. 사람들은 이메일을 사용해서 사적인 메시지를 교환하고 학생들은 웹을 통해서 교육적인 도움을 받으며, 사이버 쇼핑몰을 통해 다양한 상품을 구입하기도 한다. 또한 여러 기업들은 인터넷 상에서의 업무를 실시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 같은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성장은 트래픽의 양, 트래픽의 특성, 다양한 서비스 성능의 필수 요건 등의 관점에서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법에 큰 관심을 올렸다. 망 자원의 Over provisioning 방식은 단순한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너무 비싸고 비효율적인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 당면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신기술이 최근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특정 한가지의 해결책은 불충분하므로 다양한 해결방안을 신중하게 고려한 통합 솔루션이 요구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써 policy 기반 인터넷 QoS provisioning,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성능관리 시스템을 통합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본 해결책은 신속하고 자동화된 품질 서비스 provisioning 기능, 실제 망의 성능 정보들에 기반한 보다 현실적인 서비스와 망 자원의 정책 제어 기능 및 이기종의 다양한 IP 망의 중앙 집중식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능을 제공한다.

  • PDF

체감품질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의 관리 (Service Quality Management Based on Quality of Experience)

  • 신민수;김도훈
    • 경영과학
    • /
    • 제33권3호
    • /
    • pp.19-30
    • /
    • 2016
  •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to assess network design under the regime of QoE (Quality of Experience). Our approach is expected to reveal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QoE measures and applying this notion to network design, particularly in the mobile environment. Furthermore, our model shows the ample potential that both users and network providers are able to attain a win-win case by shifting the focus on network design and service operations from QoS (Quality of Service) to QoE. Since the former considers only relevant technological specifications, it may fail in capturing critical factors surrounding users, such as a context where the corresponding user is working on.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study [13], the bit-rate, a widely employed QoS measure, shows inferior performance in provisioning network resources to the MOS (Mean Opinion Score), a representative QoE measure. Our framework develops the idea and construct a prototype to systematically assess network design and operations in terms of QoE. The proposed prototype aims at achieving a higher level of efficiency without severely deteriorating users' satisfaction level. We also provide some simulation results which support our idea. That is, reducing the chance of over-provisioning on the basis of the QoE paradigm results in a great flexibility. It may give price cut for users or postponement of network investment for providers or both. Our simulation results also seem robust irrespective of the forms of the QoS-QoE relationship.

QoS Provisioning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A Review on MAC Aspects

  • Thapa, Anup;Shin, Seok-J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5호
    • /
    • pp.1267-1285
    • /
    • 2012
  •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BANs) deal with variety of healthcare services with divers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However, QoS handling is a challenging problem in such networks. In general, QoS related problems can be addressed from different layers in the networking protocol suite. Design of an efficient QoS aware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can address this problem in MAC layer. This paper analyzes the QoS requirements of WBAN, identifies the requisites of QoS handling system, and outlines the trends that are being followed for its advancement with focus on QoS issues at MAC layer. We review some prior works, compare them,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concerned with problem of providing QoS in WBAN. We also explore some open issues and discuss them.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상보형 MPLS를 이용한 라우팅 최적화 (Routing Optimization using the Complementary MPLS for QoS Provisioning)

  • 장석기;이경수;박광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81-3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광대역통합망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QoS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 모델과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라우팅 최적화를 위한 유전 알고리즘과 hybrid 유전알고리즘에 대하여 논한다. OSPF에 바탕을 둔 라우팅 최적화만으로 QoS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약간의 MPLS 경로가 QoS를 개선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보형 MPLS 라우팅을 위한 두 개의 MIP 모델을 제안하고, 적절한 네트워크 QoS 대책으로 네트워크 내의 최대 링크 이용을 고찰한다.

  • PDF

An Energy Efficient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QoS Provisioning in MANETs

  • Kamruzzaman, S.M.;Hamid, Md. Abd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4호
    • /
    • pp.684-702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TDMA-based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QoS provision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s) that enables nodes to transmit their packets in distributed channels. The IEEE 802.11 standard supports multichannel operation at the physical (PHY) layer but its MAC protocol is designed only for a single channel. The single channel MAC protocol does not work well in multichannel environment because of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Our proposed protocol enables nodes to utilize multiple channels by switching channels dynamically, thus increasing network throughput. Although each node of this protocol is equipped with only a single transceiver but it solves the multichannel hidden terminal problem using temporal synchronization. The proposed energy efficient multichannel MAC (EM-MAC) protocol takes the advantage of both multiple channels and TDMA, and achieves aggressive power savings by allowing nodes that are not involved in communications to go into power saving "sleep mode". We consider the problem of providing QoS guarantee to nodes as well as to maintain the most efficient use of scarce bandwidth resources. Our scheme improves network throughput and lifetime significantly, especially when the network is highly conges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successfully exploits multiple channels and significantly improves network performance by providing QoS guarantee in MANETs.

Cross-Layer Architecture for QoS Provisioning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 Farooq, Muhammad Omer;St-Hilaire, Marc;Kunz, Thoma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호
    • /
    • pp.178-202
    • /
    • 2012
  • In this paper, we first survey cross-layer architecture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and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WMSNs). Afterwards, we propose a novel cross-layer architecture for QoS provisioning in clustered and multi-hop based WMSNs. The proposed architecture provides support for multiple network-based applications on a single sensor node. F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s on a single node, an area in memory is reserved where each application can store its network protocols settings. Furthermore, the proposed cross-layer architecture supports heterogeneous flows by classifying WMSN traffic into six traffic classes. The architecture incorporates a service differentiation module for QoS provisioning in WMSNs. The service differentiation module defines the forwarding behavior corresponding to each traffic class. The forwarding behavior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priority of the traffic class, moreover the service differentiation module allocates bandwidth to each traffic class with goals to maximize network utilization and avoid starvation of low priority flows. The proposal incorporates the congestion detection and control algorithm. Upon detection of congestion, the congested node makes an estimate of the data rate that should be used by the node itself and its one-hop away upstream nodes. While estimating the data rate, the congested node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raffic classes along with their total bandwidth usage. The architecture uses a shared database to enable cross-layer interactions. Application's network protocol settings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shared database is done through a cross-layer optimization middleware.

Proportionally fair load balancing with statistical quality of service provisioning for aerial base stations

  • Shengqi Jiang;Ying Loong Lee;Mau Luen Tham;Donghong, Qin;Yoong Choon Chang;Allyson Gek Hong Sim
    • ETRI Journal
    • /
    • 제45권5호
    • /
    • pp.887-898
    • /
    • 2023
  • Aerial base stations (ABSs) seem promising to enhance the coverage and capacity of fifth-generation and upcoming networks. With the flexible mobility of ABSs, they can be positioned in air to maximize the number of users served with a guaranteed quality of service (QoS). However, ABSs may be overloaded or underutilized given inefficient placement, and user association has not been well addressed. Hence, we propose a three-dimensional ABS placement scheme with a delay-QoS-driven user association to balance loading among ABSs. First, a load balancing utility function is designed based on proportional fairness. Then, an optimization problem for joint ABS placement and user association is formulated to maximize the utility function subject to statistical delay QoS requirements and ABS collision avoidance constraints. To solve this problem, we introduce an efficient modified gray wolf optimizer for ABS placement with a greedy user association strategy.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baselines in terms of load balancing and delay QoS provisioning.

인터넷 차별 서비스 망에서 적응적 연결 수락 제어 메커니즘 (Adaptive Admission Control Mechanism in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

  • 이준화;양미정;이우섭;김상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2호
    • /
    • pp.83-93
    • /
    • 2003
  • IP 망에서의 차별 서비스 구조는 품질 보장 서비스를 위해 대역폭 브로커를 기반으로 QoS프로비저닝의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역폭 브로커는 모든 입구 에지 노드로 유입되는 호의 연결 수락 제어를 위해 중앙 집중형 자원 관리를 수행함에 따라 확장성 면에서 큰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 브로커를 갖는 차별 서비스 구조에서 확장성을 높이고 유입되는 호의 상태를 반영한 적응적 연결 수락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역폭 브로커의 기능을 입구 에지 노드와 분리해서 자원 관리 및 프로비저닝을 대역폭 브로커에서 수행하고, 입구 에지 노드에서는 연결 수락 제어를 담당한다. 입구 에지 노드에서는 연결 수락제어를 위해 각 에지 노드간 패스 개념을 도입하고, 패스 단위로 할당된 대역 기반으로 연결 수락 제어를 수행한다. 패스 별 할당 대역량은 유입되는 트래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이는 대역록 브로커와의 통신을 최소화하면서 대역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케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응적 연결 수락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성능 분석을 통한 효율성 및 확장성의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QoS 보장을 위해 상보형 MPLS를 이용한 OSPF 라우팅 최적화 적용 (OSPF Routing Optimization using the Complementary MLS for QoS Provisioning)

  • 이경수;장석기;박광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37-2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광대역통합망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QoS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가지 서비스 모델과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라우팅 최적화를 위한 유전 알고리즘과 hybrid 유전알고리즘에 대하여 논한다. OSPF에 바탕을 둔 라우팅 최적화만으로 QoS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약간의 MPLS 경로가 QoS를 개선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보형 MPLS 라우팅을 위한 두 개의 MTP 모델을 제안하고. 적절한 네트워크 QoS 대책으로 네트워크 내의 최대 링크 이용을 고찰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