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2초

Spacecraft 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 using UVF Measurements

  • Lee, Hun-Gu;Yoon, Jae-Cheol;Shin, Dong-Seo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881-1886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of a precision attitude determination algorithm using UVF (Unit Vector Filter) measurements.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QUEST measurements based approaches because the estimation performance can be greatly enhanced by selecting brighter stars having better noise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comparison with QUEST measurements is made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 PDF

Quest기반의 환경교육용 3D 가상체험 소프트웨어 설계 (Design of 3D Virtual Experience software on Environment Education Base on Quest)

  • 이근왕;박종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4-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도시화, 국토개발 등을 통해 빠르게 변하고 있는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을 사이버공간에 친환경적으로 표현하고 Quest기반의 환경교육용 3D 가상체험 소프트웨어 설계하여 환경교육 학습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로 조선시대 마을의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을 3D 기술을 이용한 환경교육용 가상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Quest기반의 환경교육용 3D 가상체험 소프트웨어 설계 (Design of 3D Virtual Experience software on Environment Education Base on Quest)

  • 이민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559-5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시화, 국토개발 등을 통해 빠르게 변하고 있는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의 원형을 사이버공간에 친환경적으로 표현하고 Quest기반의 환경교육용 3D 가상체험 소프트웨어 설계하여 환경 교육 학습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콘텐츠로 조선시대 마을의 거주 공간 및 자연환경을 3D 기술을 이용한 환경교육용 가상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Split Variable Selection Using Transformation of Variables in Decision Trees

  • Chung, Sung-S.;Lee, Ki-H.;Lee, Seung-S.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2호
    • /
    • pp.195-205
    • /
    • 2005
  • In decision tree analysis, C4.5 and CART algorithm have some problems of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bias on variable selection. But QUEST algorithm solves these problems by dividing the step of variable selection and split point selection. When input variables are continuous, QUEST algorithm uses ANOVA F-test under the assumption of normality and homogeneity of varianc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violation of normality assumption and effect of the transformation of variables in the QUEST algorithm. In the simulation study, we obtained the empirical powers of variable selection and the empirical bias of variable selection after transformation of variables having various type of underlying distributions.

  • PDF

MMORPG의 퀘스트 이해와 플레이어의 다원주의적 이해를 통한 플레이 동기 증강 방안 모색 (Play Motive Augmentation Research Method through Quest Understanding of MMORPG and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a Player)

  • 박용현;경병표;이동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22-129
    • /
    • 2009
  • MMORPG는 퀘스트는 이야기 전달의 역할보다는 아이템과 경험치와 같은 아바타와 관련된 보상을 통한 게임 플레이 동기부여 역할이 강하다. 이것은 결국 MMORPG를 캐릭터 성장을 위해 퀘스트의 보상을 공부해야 하는 어려운 게임으로 만들어 유저 층의 고착화를 초래하고 있다. 유저 고착화 해소방안으로 퀘스트 플레이의 동기부여 구조를 밝히고 플레이어에 대한 다원주의(多元主義, pluralism)적인 이해를 통해 다양한 유저의 플레이 동기를 증강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게임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에게 직접질의를 하거나 로그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다원주의적인 이해는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에 있어서 객관성과 구현 가능성을 보장해 줄 수 있는 가치가 있을 것이다.

구조주의 서사이론에 기반한 MMORPG 퀘스트 분석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중심으로 (Nar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Quest in MMORPGs : Focused on <World of Warcraft>)

  • 한혜원;조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3-150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MMORPG의 이야기 전달 단위로 기능하는 개별 퀘스트의 요소와 구조, 진행 과정을 구조주의 서사학을 통해 밝히고, 이것이 어떻게 게임의 전체 서사를 구성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MMORPG의 퀘스트란 디지털 게임 서사의 유의미한 최소 단위로, 그 자체로 완결된 구조를 갖는 동시에 선택과 조합이 가능하다. 퀘스트는 게임 스토리 생성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플레이어는 퀘스트의 선택 및 수행을 통해 게임 월드를 탐험하고 아바타를 육성하면서 플레이어와 게임 세계 간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맺고 고유한 스토리를 생성해 나가게 된다. 퀘스트는 퀘스트 부여자, 퀘스트 배경 스토리, 퀘스트 목적, 보상의 4가지 필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단일 퀘스트는 브레몽(Claude Bremond)이 제시한 서사 모델인 '기본 연속' 형태를 취하면서 퀘스트 내적으로는 순차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가운데 통합체적으로 구축된다. 즉 퀘스트란 게임 월드 내에 공간적으로는 계열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를 플레이어의 선택과 조합에 따라 통합체적 연쇄를 구축하게 된다.

Failing the Game Quests in James Joyce's "Araby"

  • Jang, Sungjin
    • 영어영문학
    • /
    • 제64권3호
    • /
    • pp.403-414
    • /
    • 2018
  • This paper suggests a different reading of James Joyce's "Araby" by offering the video game as a lens through which we can reimagine the story. Understanding the unnamed boy's journey to the Araby bazaar as a fetch quest, this paper focuses on the boy's failure to complete this quest. As soon as the boy promises Mangan's sister something from Araby, his fetch quest begins. In order to complete the quest, the boy must successfully perform three sub-quests: get money from his uncle as early as he can, get on the train for the Araby bazaar on time, and pass through the sixpenny entrance at the bazaar. However, because his uncle comes home late, the boy fails to get the money early, and that sets off the subsequent failures. The boy then takes the train late and arrives at the bazaar so late that he feels he must go through any entrance. So he walks through the adult entrance by mistake. As a result, he does not have enough money to buy a gift, failing the larger quest. But, regardless of this failure, the boy can try these quests as many as he wants until he finally succeeds in completing them. But no matter how the boy tries to accomplish these subquests, he is doomed to fail them because he cannot make his uncle come home early. The more he tries his quest, the more bitterly he realizes that he will ultimately fail. In this respect, the boy's "anguish and anger" should be understood as his epiphany: the re-playability of the game is possible, but all the replays lead to the same failure: losing the game. In this regard, reading Joyce's "Araby" is much like playing a video game.

Intelligent & Predictive Security Deployment in IOT Environments

  • Abdul ghani, ansari;Irfana, Memon;Fayyaz, Ahmed;Majid Hussain, Memon;Kelash, Kanwar;fareed, Jokhi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85-196
    • /
    • 2022
  • The Internet of Things (IoT) has become more and more widespread in recent years, thus attackers are placing greater emphasis on IoT environments. The IoT connects a large number of smart devices via wired and wireless networks that incorporate sensors or actuators in order to produce and share meaningful information. Attackers employed IoT devices as bots to assault the target server; however, because of their resource limitations, these devices are easily infected with IoT malware. The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is one of the many security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an IoT context. DDOS attempt involves flooding a target server with irrelevant requests in an effort to disrupt it fully or partially. This worst practice blocks the legitimate user requests from being processed. We explored an intellig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 (IIDS) using a particular sort of machine learning,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in order to handle and mitigate this type of cyber-attacks. In this research paper Feed-Forward Neural Network (FNN) is tested for detecting the DDOS attack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KDD Cup 99 datase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most effective and efficient Back-propagation algorithms among several algorithms and check the potential capability of ANN- based network model as a classifier to counteract the cyber-attacks in IoT environments. We have found that except Gradient Descent with Momentum Algorithm, the success rate obtained by the other three optimized and effective Back- Propagation algorithms is above 99.00%. The experimental findings showed that the accuracy rate of the proposed method using ANN is satisfactory.

DEVS 통합개발환경 기반 모의 어뢰 표적탐지부 연동장비 개발 (Development of Torpedo Target Detection Section Interface Simulation System based on DEVS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이민규;황근철;이동훈;나영인;김우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5-34
    • /
    • 2015
  • 무기체계의 합리적인 요구사항 도출을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시행착오가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개발 비용과 위험 등의 이유로 M&S를 통한 접근이 일반적이다. 무기체계 획득 이외에도, 개발된 무기체계의 분석 또는 훈련을 목적으로도 M&S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이러한 M&S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의실험 및 체계분석 구현에 필요한 M&S 공통기반기술 제공을 목적으로 해군 전투실험을 위한 DEVS 통합개발환경(QUEST)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 어뢰 표적탐지부 연동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QUEST의 무기체계 시뮬레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모의 어뢰 표적탐지부 연동장비를 개발하였다. 모의 어뢰 표적탐지부 연동장비는 표적탐지 결과를 제공하는 어뢰 표적탐지부와 어뢰 표적탐지부의 성능 시험에서 필요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UEST 시나리오 발생기로 구성된다. 모의 어뢰 표적탐지부 연동 아키텍처는 QUEST 시나리오 발생기와 어뢰 표적탐지부와의 연동을 통해 어뢰 표적탐지부의 성능 및 인터페이스를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해군무기체계 수중교전 모델 라이브러리 개발 (Development of Underwater Warfare Models on the Naval Weapon Systems)

  • 한승진;이민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3
  • 국방과학연구소는 해군 전투실험을 위한 시뮬레이션 통합개발환경(QUEST)을 개발하였으며 본 논문은 QUEST의 수중교전 시뮬레이션을 응용을 위한 해군무기체계 모델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모델은 기본적으로 함정 및 무장체계 간의 수중교전 효과도 및 전술 개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수중교전 임무공간과 기존 운용모델 기능 분석을 통하여 표준 모델구조를 정립하고 구성 컴포넌트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컴포넌트는 무기체계 구성부의 기능을 잘 정의한 표준화된 체계, 부체계, 알고리듬 모델이며 모델간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모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최소한의 도메인지식으로 기존 모델을 재사용하고 새로운 모델을 효율적으로 조립가능하며 사용자간에 모델을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