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주왕산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Descrip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uwang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 오해성;이경연;김종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8-131
    • /
    • 2018
  •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서식처의 균질성을 강조하는 Z.-M. 학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52개 식생자료가 획득되었고, 출현식물 총 265분류군의 행동양식은 9계급의 변환통합우점도와 상대기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식생자료의 모둠화 과정을 통해 단위식생을 분류하고, 그 분포와 현존균질도 등이 분석되었다. 4가지 상관우점식생 속에 9개 식물군락이 기재되었다: 신갈나무-애기감둥사초군락, 신갈나무-뱀고사리군락, 졸참나무-둥근잎천남성군락, 굴참나무-털조록싸리군락, 떡갈나무-털피나무군락, 서어나무-털대사초군락, 느티나무-등칡군락, 들메나무-개면마군락, 소나무-가는잎그늘사초군락. 삼림식생의 대상분포가 논의되었고, 표고 약 700 m가 냉온대 중부 산지대(신갈나무-생강나무아군단역)와 남부 저산지대(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역)의 전이대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종조성의 낮은 균질성이 특징이었다. 결론적으로 주왕산국립공원의 삼림식생은 <지역생물기후구-대구형> 속에서 더욱 강한 대륙성 생물기후환경과 세립질 풍화토와 암편을 공급하는 유문암질 응회암 우세의 지질 환경에 대응하는 고유성이 큰 지역식생이고, 산불 영향이 더해진 근자연림 또는 이차림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 -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 Focusing on Ansim Temple Area -)

  • 유승봉;최송현;박석곤;강현미;이상철;심항용;송광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46-657
    • /
    • 2018
  • 본 연구는 대둔산도립공원의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도립공원 내 42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류방법 중 TWINSPAN기법과 DCA기법을 사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갈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각 군락별 우점종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나, 소나무군락의 경우는 참나무류와의 경쟁관계에 있어 산림천이적 양상에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우점종간 중 대경목이 많이 관찰되어 군락이 안정된 구조를 갖추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별한 물리적환경의 변화나 중대한 교란, 병충해 발생 등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상층수관을 우점 하는 종들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륜 및 생장량 분석결과 우점하는 교목층의 경우 평균 40년 이상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I의 굴참나무가 $3.51{\pm}2.39mm$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VII의 신갈나무가 $1.61{\pm}0.90mm$로 가장 낮았다.

도시지역 곰솔림의 식생복원모델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Urban Area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51-1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tree layer were Pinus thunbergii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and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na and Quercus variabil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ubtree layer were Platycarya strobilacea and Prunus sargentii and Styrax japonica and Eurya japonica and Morus bombycis. The community planting species of shrub layer are Ulmus pavifolia and Ulmus davidiana and Lindera obtusiloba and Elaeagnus macrophylla and Mallotus japonicus and Ligustrum obtusifolium and Sorbus alnifolia and Rhus trichocarpa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Rosa wichuraiana and Rhus chinensis and Viburnum erosum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Rhododendron yedoense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the planting species of edge vegetation are Japanese Angelica and Symplocos chinensis and Pittosporum tobira and Lespedeza maximowiczii and Lespedeza bicolor and Rubus coreanus and Rubus idaeus and Vitis thunbergii and Ampelopsis brevipedunculata and Rosa multiflora. Considering the population of individuals up to layers in each $400m^2$ area, it was composed of 24 in tree layer, 35 in subtree layer, 410 in shrub layer and 34% herb layer in the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was $10,852cm^2$ in tree layer, in subtree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was calculated as 2.0m in tree layer, 1.9m in subtree layer.

내장산국립공원 식생경관의 군집모형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II))

  • 이규완;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00
    • /
    • 1994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or speci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ordination of DCA and CCA. The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pecies composition status by the layer and the growth characterisics of the following vegetations ; Torreya nucife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 Acer palmatum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 - Sasa purpurascens community and Daphniphyllam macropodum commun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kp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ordina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howed that the soil pH, the ammount of AV-P2O5 and the ammount of C.E.C. tend to increase while Pinus densiflora community changes to Q. variabilis - Q. serrata community and finally Carpinus laxiflora species community siginigicantly. The relation between the stand scores of CCA ordination and several enviromental variables suggested that the species of C.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 species of Q. cariabilis and Q. serrata the species of C. pisifera, P. densiflora and Q. aliana in sequence grows in more fertile soil. 2.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 nucifera community showed, reproduction did not increase, and the characteristic of growth was not affected. The result is shown in the growth curve that was damaged by the climate and the human interference. 3. The A. palmatum was found to be as minor species in the middle layer and the crown areas did not have sufficient crown.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 variabilis community and Q. variabilis - S. purpurascens community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in the growth and number of species. 5. D. macropodum which constituted the dominance species in the middle layer had a nomal growth curve, and then the successional trend of D. macropodum species seems to be located in the climax species.

  • PDF

계룡산 상부 지역의 산림식생 (Forest Vegetation of Upper Zon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 김효정;이미정;이규석;박관수;송호경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27-132
    • /
    • 2004
  • 본 연구는 계룡산 국립공원내 해발 650 m이상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_으로_ 산림군락을 분류하여 계룡산 국립공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계룡산 상부지역의 총 51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산림군락은 신갈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굴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29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신갈나무, 좁은단풍, 천남성, 용수염, 은분취이다. 서어나무군락은 10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서어나무, 까치박달, 층층나무, 대사초, 산수국이다. 소나무군락은 7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소나무, 조록싸리, 산딸기, 참억새, 이삭여러, 맑은대쑥, 큰기름새 이다. 굴참나무군락은 5개 조사구에서 나타났으며, 군락 구분종은 굴참나무이다.

分類法과 傾度分析에 의한 無等山 蒜林植生 分析 (Classification Analysis and Gradient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udung)

  • Kim, Chang-Hwan;Kang, Seon-Hee;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71-484
    • /
    • 1994
  • The forest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Mt. $Mud\v{u}ng$ were investigated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ordination method.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by ristic composition table: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variabilis community, Q.dent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rainus mandshurica community. Considering the moisture gradient, two kinds of distributuin pattern were shown as follows; F. mandshurica, Q. acturissima, Platycarya strobilacea and Staphylea bumalda were distribute at moist habitats, while Q. monogolica, P. densiflora and Q.variabilis at dry habitats. In continuum analysis, each population occupied different distribution area but it was continuously overlapped. On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t is postulated that Q. mongolica species might dominate the altitudinal zone over 700m.

  • PDF

남한의 기후와 지형적 특성에 근거한 주요 식물군락의 분포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

  • 양금철;심재국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68-177
    • /
    • 2007
  • 남한 전 지역을 대상으로 구축된 위도, 고도, 경사, 사면방위, 온량지수, 한랭지수, 연평균기온과 수치 현존식생도에서 추출한 주요 17군락을 MG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분석을 통해 17군락의 지형적, 기후적 공간분포 특성과 분포역 및 특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온량지수(WI)는 수평적으로 위도 $1^{\circ}증가에 $5.27^{\circ}C{\cdot}month$, 수직적으로 표고 100 m 상승함에 따라서 $3.41^{\circ}C{\cdot}month$ 체감하고, WI와 CI사이의 관계는 선형 회귀식 $WI=116.01+0.96{\times}CI,\;R^2=0.996$으로 표현되었다. WI값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분포하는 식물 군락은 Abies nephrolepis,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ora, Q. dentata, C. tschonoskii, Q. serrata, Pinus densiflora, Q. aliena, Q. variabiiis,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순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은 건조한 남사면이나 남서사면보다 비교적 적습한 서북, 남동사면 등에 분포하며, WI가 $70{\sim}80^{\circ}C{\cdot}month$인 곳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참나무림은 WI $90{\sim}100^{\circ}C{\cdot}month$의 범위를 갖는 대부분의 북서 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하였다. 굴참나무림과 상수리나무림은 WI $95{\sim}100^{\circ}C{\cdot}month$의 남동 사면에 높은 분포빈도를 보였다. 경사도에 따른 식물군락의 분포를 급경사에서 완경사순으로 1. Abies nephrolepis, Machilus thunbergii, 2. Taxus cuspidata, 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 Q. dentate, Q. serrata, Q. variabili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3. Pinus densiflora, Q. aliena, Q. acutissima, P. thunbergii, Q. acuta 4. Carpinus laxiflora, Camellia japonicas. C. tschonoskii community의 5개 그룹으로 나타났다.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 강현미;박석곤;김지석;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85
    • /
    • 2019
  •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도립공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6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총7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선운산도립공원의 식생은 곰솔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점점 세력을 잃어가고 있는 반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와 서어나무의 세력이 왕성해지고 있어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또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로 소사나무, 예덕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임령은 30~6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추정연령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생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지수($100m^2$)는 0.7942(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rightarrow}$ 0.8406(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rightarrow}$ 0.8543(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rightarrow}$ 0.9434(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rightarrow}$ 0.9520(낙엽활엽수혼효군락-I) 0.9633(소나무군락) ${\rightarrow}$ 1.0340(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순으로 높았다.

도시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Model of Vegetation in the Urban Forest)

  • 김석규;주경중;남정칠;박승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0-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In community planting, as a group of canopy, there are 6 species; Pinus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na, Quercus variabilis. As a group of understory, there are 5 species; Platycarya strobilace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Morus bombycis. Also as a group of shrub, there were 15 kinds of species; Ulmus pavifolia, Ulmus davidiana, Lindera obtusiloba, Elaeagnus macrophylla, Mallotus japonicus, Ligustrum obtusifolium, Sorbus alnifolia, Rhus trichocarpa, Zanthoxylum schinifolium, Rosa wichuraiana, Rhus chinensis, Viburnum erosum,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yedoense,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s a group of edge vegetation, there were 10 kinds of species; Japanese Angelica, Symplocos chinensis, Pittosporum tobira, Lespedeza maximowiczii, Lespedeza bicolor, Rubus coreanus, Rubus idaeus, Vitis thunbergii, Ampelopsis brevipedunculata, Rosa multiflora. Vegetation restoration model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ere calculated the units $400m^2$ for the average populations of the woody layer is 24 in canopy layer, 35 in understory layer, 410 in shrub layer, 34% herbaceous layer ground cover.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is $10,852cm^2$ in canopy layer, in understory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is calculated as 2.0m in canopy layer, 1.9m in understory layer.

소나무림(林)과 신갈나무림(林)의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 분석(分析)과 천이(遷移)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 송호경;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23-232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과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Mueller-Dombois & Ellenberg의 방법에 의하여 16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으며, CCA ordination과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 분석에서 소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군락 또는 굴참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갈나무 군락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 우정림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교목층에 공존하는 삼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은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잣나무와 분비나무 등이 교목층에 혼재되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2.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나무 군락에서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보통이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보통인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 등이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사면부에 분포하고, 분비나무, 주목, 잣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고 $Mg^{{+}{+}}$, $Ca^{{+}{+}}$, C.E.C 등이 적은 능선부에 분포하며, 서어나무, 젓나무 등이 해발고가 중간이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분포하고 이엇다. 또한 음나무, 까치박달나무, 만주고로쇠 등이 습하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에는 분포하고,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건조하고 해발고가 낮은 능선부에는 분포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