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2E mode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4초

QUAL2K의 적용에 의한 탐진강 유역의 수질모의 연구 (Study on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in the Tamjin River Basin by the application of Qual2K)

  • 박성천;방재필;노경범;진영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04-2008
    • /
    • 2009
  • 최근 하천오염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오염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4대강 수계에 대한 수질오염총량제를 실시하고 있다. 수질오염초량제에 있어 중요한 것은 현재 하천의 상태 및 장래 하천의 상황 즉,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현재 및 미래의 하천 수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질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를 시행하고 있는 탐진강유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하천수질을 모의하기 위한 모형 중에 가장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US EPA에서 개발한 Water Quality model 중에 Qual2E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Excel기반의 후속모델 Qual2K를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은 탐진강 유역을 두 개의 단위유역으로 나누어 한 개의 단위유역을 1개의 Reach로 설정하여 총 2개의 Reach를 형성하였다. 탐진호를 Head water로 설정하고 본류23km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지천을 소구역의 점 오염원으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반응계수는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시행착오법에 의해 검토..보정하였으며, 수리입력계수의 산정은 HEC-RAS모형을 사용하여 수심-유량계수와 유속-유량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질모의 항목은 실측자료 2007년 배출부하량을 바탕으로 하여, 수질오염총량제의 수질관리 기준인 BOD와 부영양화 물질 T-P로 정하였다. 검정자료와 보정자료는 2007년 수질관측소의 실측자료를 사용하였다. 유량조건은 하천수질환경기준의 설정근거인 저수량(Q275)을 기준으로 탐진강 유역의 수질을 모의 하였다. 그 결과 Qual2K를 이용해 탐진강 수질 모의 결과 검 보정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자연형 하천 복원구간의 하천유지유량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 (Basic Survey for Evaluation of Instream flow at Natural Recovery Reach)

  • 서규우;우상환;김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9-131
    • /
    • 2001
  • This study uses HEC-RAS for the quantitative aspects and the QUAL2E model for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flow of urban streams, where the natural recovery system is applied. The instream flow of the small streams is estimated using the numerical model by verifying the existing data with the acquired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reach place more weight on the drought discharge around the ordinary discharge, and this is caused by the natural recovery system that maintains the existing bank. The data of direct discharge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inception pipe, BOD, DO, temperature, and so forth, are the official data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treams, the factors for the QUAL2E model are estimated with the focus on the hydraulic conditions and the stream view. This study proposes the future improvements for the natural recovery system by investigating the practical use of the waterfro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per instream flow. Also, the hydraulic and hydr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overing rate by the natural vegetation and the meandering by the varying river way is performed.

  • PDF

비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수도권 하수처리장의 최적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al Operation of Sewage Treatment Plants Using NLP)

  • 김중훈;윤용남
    • 물과 미래
    • /
    • 제29권4호
    • /
    • pp.131-13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준 및 수질기준에 합당한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장의 최소비용 운영을 위해 비선형계획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질변화는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하였다. 한강수계에 위치한 4개의 수도권 하수처리장에 적용한 결과, BOD 수질기준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적절한 운영율을 계산할 수 있었으며, 각 하수처리장에서 유입유량에 따라 하수를 처리하는 것보다 한강의 정해진 수질조건을 유지하는 한도내에서 적정하수량을 처리하는 것이 경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모델을 이용하여 주어진 하수처리장 운영하에서의 한강수질도 예측가능하다.

  • PDF

자생 BOD 영향에 따른 남강댐 하류부 수질모델링 연구 (A Study on Water Quality Modeling for Autochthonous BOD Effect in Namgang Dam Downstream)

  • 황수덕;이성준;김영도;권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4호
    • /
    • pp.413-424
    • /
    • 2013
  • 오염발생부하량을 억제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유역중심의 수질관리정책으로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총량 관리제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주요지천인 남강 하류부의 수질이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남강 하류수계는 주변의 도시와 산업지역에 비점오염원이 산재하고, 하류수계의 물의 흐름이 더욱 완만해짐에 따라 수질 악화가 가속화되고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부영양화된 수역에서 BOD 농도는 유역으로부터 발생한 미처리 하수가 수역으로 유입되는 영향도 있지만 하천내에서 미처리된 영양염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의 생산에 의해 공급되는 자생 BOD의 영향도 크게 작용한다. 남강하류의 수질관리를 위해서 유입 BOD와 자생 BOD의 기여도를 파악하여 오염 원인물질을 줄이기 위한 수질관리 방안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생산 및 사멸에 의한 내부생산 유기물 증가를 고려하도록 국내에서 개발된 QUALKO2와 미국 EPA의 QUAL2E를 이용하여 자생 BOD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QUALKO2 모형에서Chl.a의 영향을 받는 구간에서 BOD 농도가QUAL2E 모형의 BOD 농도보다 증가하고, 실측값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QUALKO2 모형에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남강 하류의 수질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댐 방류량의 증가와 하수처리장 방류수질 개선 등에 의한 Chl,a의 저감 방안을 모색하여 자생 BOD를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산강 하류부의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BOD 부하량 삭감방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Reduction Methods for BOD Loadings to Achieve Water Quality Standards at the End of the Yeongsan River)

  • 황대호;정효준;이홍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9-126
    • /
    • 2001
  • The key point in establishing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is how to decide the load reduction for pollution sour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reduction methods for BOD loadings to achieve water quality standards at the end of the Yeongsan river. The target year is 2006 and 2011 and reduction methods are uniform treatment and treatment by influence rate. Using QUAL2E model, the study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establishing and non-establishing the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POTWs). Uniform treatment which allocate the same reduction rate to pollution sources showed that all streams into the river should be applied for the reduction. However, treatment by influence rate which allocate the reduction rate by the order of influence rate showed that achieving target quality might be possible with a few streams for the reduction. But total amount of load reduction of stream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wo methods.

  • PDF

앙상블 유출 예측기법을 적용한 하천 수질 예측 (Water Quality Forecasting of the River Applying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 안정민;류경식;류시완;이상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9-366
    • /
    • 2012
  • Accurate predictions about the water quality of a river have great importance in identifying in-stream flow and water supply requirements and solving relevant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ater release from upstream dam on the downstream water quality has been investigated by applying a hydological model combined with QUAL2E to Geum River basin. The ESP (Ensemble Stream Prediction) method, which has been validated and verified by lots of researchers, was used to predict reservoir and tributary inflow. The input parameters for a combined model to predict both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were identified and optimized.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performance, the simulated result at Gongju station, located at the downstream from Daecheong Dam, has been compared with measured data in 2008.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odel simulates well the values of BOD, T-N, and T-P with an acceptable reliability.

WASP 모형을 이용한 횡성호 수질해석 (Water-Quality Analysis of Hoengsung Lake using WASP Model)

  • 김상호;조영제;김광수;오현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37-2041
    • /
    • 2008
  • 댐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는 상수원수의 수질농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보다 심도 있는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댐 상류에 위치한 저수지와 하천에서의 수질해석을 위해 WASP 모형을 사용하여 수질해석을 실시하였다. 대상구간은 강원도 횡성군의 남한강 제1지류인섬강에 위치한 횡성댐 상류 계천의 매일수위국에서부터 횡성호 구간인 13.9km에 대해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매일수위국을 비롯한 주요 지점에서 측정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WASP 모형에 대한 부정정 수질모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모형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하천 수질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QUAL2E 모형을 대상구간에 적용하여 WASP 모형의 모의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한강 하류부에서의 총질소와 총인에 대한 수질모의 (T-N and T-P Simula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 한건연;송재우
    • 물과 미래
    • /
    • 제28권4호
    • /
    • pp.137-146
    • /
    • 1995
  • 한강하류부(팔당댐~한강대교 구간)에서의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예측을 위해서 QUAL2E 모형을 적용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련 매개변수들에 대한 총질소와 총인의 민감도는 작게 나타났다. 산정된 총질소와 총인농도의 종방향 분포는 1994년도의 수질실측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 구간의 주요 지천인 왕숙천, 탄천, 중랑천등의 장래오염 부하량을 산정하여 한강하류부에서의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장래 한강 하류부에서의 갈수량과 평수량시에 대하여 처리시설의 증설시의 경우를 고려하여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를 제시하였다.

  • PDF

QUAL-II E 모델에 의(依)한 만경강(萬頃江)의 수질예측(水質豫測) (Numerical Simulations of Water Quality in ManKyong River)

  • 심재환;최문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7-75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만경강(萬頃江) 수계(水系)에 QUAL-IIE Model을 적용(適用)하여 장래수질예측(將來水質豫測)을 실시(實施)한 것으로 얻은 결론(結論)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M-3(백구정) 지점(地點)에서 실측(實測) BOD와 계산(計算) BOD의 오차범위(誤差範圍)는 10% 이내(以內)로서 적용(適用)모델은 만족스럽다. 동지점(同地點)에서 감응도분석결과(感應度分析結果) 만경강(萬頃江) 수계오염(水系汚染)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가장 큰 인자(因子)는 전주천(全州川)의 유입부하량(流入負荷量)이다. 2. 예측결과(豫測結果) 하구(河口)로부터 약(約) 41km (지점)(M-1)에서 전주천(全州川)의 고농도(高濃度) 오염수(汚染水)가 유입(流入)되므로서 심(甚)한 오염상태(汚染狀態)를 나타내며, 또한 하구(河口)로부터 약(約) 28km 지점(地點)(M-3)에서는 수표면적(水表面積)이 넓어지면서 자정효과(自淨效果)가 크게 향상(向上)되어 수질개선(水質改善)이 이루어졌다. 3. 제수문(制水門) 이하(以下) 하류(下流)에서는 감조구간(感潮區間)으로 동(同) Model의 계산결과(計算結果)의 신뢰성(信賴性)이 떨어지므로 감조구간(感潮區間)에서 동(同) Model의 적용(適用)은 곤난(困難)하다. 4. BOD의 경우에는 전구간(全區間)이 심(甚)한 오염상태(汚染狀態)를 나타내며 M-3 지점(地點)에서 그 농도(濃度)가 1996년 26.6mg/1, 2001년(年) 30.7mg/1, 2006년(年) 33mg/1 그리고 2011년(年) 37.5mg/1로서 수질오염방지대책(水質汚染防止對策)이 수립(樹立)되지 않으면 용수관리(用水管理)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問題點)이 야기(惹起)될 것이다.

  • PDF

금강수계 오염총량관리를 고려한 저수지 방류량산정 (Estimation of Reservoir Discharge to Support TMDL Management in the Geum River Basin)

  • 노준우;김수전;김정곤;고익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7호
    • /
    • pp.627-63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금강수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오염부하량 자료를 기반으로 공시된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한 적정방류량을 산정하였다. 오염총량관리의 1단계로 BOD를 대상으로 총량관리가 이루어질 계획이며 향후 질소 및 인 계열로 확대될 전망이다. 총량구역별 및 행정구역별로 산정된 BOD와 TN, TP 부하량을 GIS를 활용하여 10개의 지류수계에 대하여 재분배하였고 지류수계에 해당되지 않는 구역에 대해서는 15개의 소구간으로 처리하여 반영하였다. Qual2E를 사용하여 수질모의를 실시한 결과 2010년에 대하여 산정된 장래수질에 대하여 기준부하량의 경우 약 30 CMS의 유량이 본류구간에 대하여 제시된 수질기준을 만족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모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