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UAL2E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zing Service Quality Factors for Affecting Government 2.0 Users' Satisfaction (이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Government 2.0 서비스 품질 요인에 관한 연구)

  • Song, Ju-Ho;Park, Soo-Kyung;Lee, Bong-Gyo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2 no.2
    • /
    • pp.149-1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Korean Government 2.0 services by evaluat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and analyzing its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Recently, on the extension of e-government, Government 2.0, which is the government service combined with Web 2.0,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 impact of Government 2.0 on general society and industries. Especially, there is little or no prac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for the quality of Government 2.0 service. Because the service quality is typically used as the leading indicator of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applies it to the Government 2.0 for the validation of the existingtheory in a particular subject. The service quality was measured by the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of revised SERVQUAL, the efficiency and security of the E-S-QUAL. Inconclusion, this study has empir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he Government 2.0 service.

Prediction of Travel Time and Longitudinal Dispersion for Water Pollutant by Using Unit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 (단위오염도틀 이용한 하천 오염물질의 이동시간과 종확산 예측)

  • Kim, Soo-Jun;Kim, Hung-Soo;Kim, Byung-Sik;Seoh, Byung-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5 s.166
    • /
    • pp.395-403
    • /
    • 2006
  • This study suggests the use of a simple method, called the unit concentration response function(UCRF) for predicting travel time and dispersion of pollutants with the minimum information of study area instead of numerical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the numerical models require time-consuming, tedious effort, and many data sets. So we derive the UCRF using some components such as travel time, peak concentration, and passage time of pollutant etc. We us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estimations of components which were developed from the investigations of many river basins in USA. This study used the regression equaiton for the UCRF to the accident of Dichloromethane leak into the Nakdong River occurred on June 30, 1994 and applied the UCRF for the predictions of travel time and dispersion. The prediction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by QUAL2E model. The results by the regression equaiton and QUAL2E model had a good agreement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concentrations. Therefor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UCRF which can simply estimate travel time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showed its applicability for the ungaged basin.

Study on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in the Tamjin River Basin by the application of Qual2K (QUAL2K의 적용에 의한 탐진강 유역의 수질모의 연구)

  • Park, Sung-Chun;Bang, Jae-Pil;Roh, Kyong-Bum;Jin,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04-2008
    • /
    • 2009
  • 최근 하천오염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하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 오염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4대강 수계에 대한 수질오염총량제를 실시하고 있다. 수질오염초량제에 있어 중요한 것은 현재 하천의 상태 및 장래 하천의 상황 즉, 수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현재 및 미래의 하천 수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질 모델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를 시행하고 있는 탐진강유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하천수질을 모의하기 위한 모형 중에 가장 보편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US EPA에서 개발한 Water Quality model 중에 Qual2E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Excel기반의 후속모델 Qual2K를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용은 탐진강 유역을 두 개의 단위유역으로 나누어 한 개의 단위유역을 1개의 Reach로 설정하여 총 2개의 Reach를 형성하였다. 탐진호를 Head water로 설정하고 본류23km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지천을 소구역의 점 오염원으로 간주하여 적용하였다. 모형의 반응계수는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시행착오법에 의해 검토..보정하였으며, 수리입력계수의 산정은 HEC-RAS모형을 사용하여 수심-유량계수와 유속-유량계수를 산정하였다. 수질모의 항목은 실측자료 2007년 배출부하량을 바탕으로 하여, 수질오염총량제의 수질관리 기준인 BOD와 부영양화 물질 T-P로 정하였다. 검정자료와 보정자료는 2007년 수질관측소의 실측자료를 사용하였다. 유량조건은 하천수질환경기준의 설정근거인 저수량(Q275)을 기준으로 탐진강 유역의 수질을 모의 하였다. 그 결과 Qual2K를 이용해 탐진강 수질 모의 결과 검 보정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Risk assessment for water quality of a river using QUAL2E model (QUAL2E 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질의 위해성평가)

  • Kim, Jungwook;Kim, Yonsoo;Kang, Narae;Jung, Jaewon;Kim, Soojun;Noh, Huiseong;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441-450
    • /
    • 2014
  • In this study, we consider ability of self-purification for a rationa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we assess the risk of Alkyl Benzene Sulfonic acid sodium salt(ABS) of harmful ingredients in Anseong Cheon watershed using QUAL2E model. The observations and simulated results were fitted well for BOD and ABS, but even though the trend of DO concentration change was well represented, the error between observation and simulation values was existed. We assessed the Risk assessment by calculating Risk quotient(RQ) by Predicted Exposure Concentration(PEC) and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PNEC). Results of the impact of ABS on the self-purification of the river were Anseongcheon[0.0003(Bressan), 0.06(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Jinwicheon[0.0002(Bressan), 0.04(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sult of the impact of ABS on the Aquatic ecosystem of the river were Anseongcheon[0.0667(Bressan), 0.005(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Jinwicheon[0.1(Bressan), 0.0075(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All of these results were smaller than the 1.0 which is the reference value suggested by Norification No.30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So, ABS did not affect a self-purification and aquatic ecosystem of the river. The method suggested in the study is a simple one and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for harmful ingredients than 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Waste Load Allocation Method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Program of a Polluted River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대상 오염심화 하천에 대한 오염부하량 할당방법)

  • Cho, Jae-He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2
    • /
    • pp.157-170
    • /
    • 2013
  •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하천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과학적 방법으로 유역내 각 지역의 오염부하량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의 영향을 크게 받는 영산강수계의 중상류부를 대상으로 오염부하량 할당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염부하량 할당을 위한 수질모델링은, 수질관리에 흔히 적용되어온 QUAL2E의 최근 판인, QUAL2Kw를 이용해서 수행하였다. 모델 적용 대상 지역의 각 reach의 수질매개변수는 QUAL2Kw의 자동보정 기능을 이용해서 추정하였다. 오염부하량 할당의 최적화는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였고, 최소부하량 삭감법(least waste load removal allocation), 일정 부하량 이상 최소부하량 삭감법(least waste load removal over a certain value), 동일삭감률 할당법(equal removal rate)의 세가지 방법을 적용하고 비교 검토하였다. 동일삭감률 할당법은 다른 방법보다 유역 전체 부하량 삭감량이 훨씬 크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았고, 이 방법을 쓰기 위해서는 부하량 삭감대상인 각 소유역과 하수처리장을 그 규모와 특성에 따라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동일삭감률 할당법의 적용시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삭감률을 적용하였다. 오염부하량 삭감의 효율성을 감안할 때 최소 부하량 삭감법보다 일정 부하량 이상 최소부하량 삭감법이 더 적절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3-D Hydrodynamics and Temperature Modeling Using EFDC (EFDC를 이용한 3차원 수리-수온 모델링)

  • Seo, Dong-Il;Kwon, Ki-Hoan;Park, B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220-2224
    • /
    • 2009
  • 하천의 수질모의를 위해서는 정상상태 모델인 QUAL2E 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기후 특성상 하절기에 강우가 집중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댐등에 의해 장기간 수류의 지체현상이 발생하므로 지역 및 시기에 따라 발생하는 수질 문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수체에서는 시간에 따라 모의를 할 수 있는 비정상 상태의 수질모델이 적용되어야 할 필요가 종종 발생한다. 미국공병단에서 개발된 CE-QUAL-W2 모델은 2차원 모델로서 수리동역학과 수질반응역학을 한데 묶어서 풀이하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모델은 종방향으로 길고 수심이 깊으며 상대적으로 하폭이 좁은 형태의 수체에 적합하며 하폭방향의 수질 변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WASP(Water Quality Analysis and Simulation Program) 은 미국 환경부에서 개발한 비정상상태 3차원 수질모델로서 세계적으로 다양한 수체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모델에서 1차원적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DYNHYD 라는 수리학적 부프로그램은 2차원 또는 3차원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었음에 따라 수리학적 고려가 빈약한 것이 이 모델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 미국 환경부는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라는 3차원 수리동역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 수체의 수리학적 거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WASP7 에 연계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단점을 대폭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용담호를 대상으로 EFDC 를 이용하여 2005년 1년간 수위 및 수온성층현상을 예측하고 그 결과가 WASP 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적절한 격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우가 시행착오적으로 시험되었으며 비교적 적은 숫자의 격자로도 수위 및 수온의 모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