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T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1초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식별을 위한 개선된 QT 프로토콜 (A Revised QT Protocol for Tag Identification in RFID Systems)

  • 임인택;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30-43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식별영역 내에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기억 특성을 갖는 QT 프로토콜을 개선한 QT_rev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QT_rev 프로토콜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식별코드 중에서 질의 문자열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로만 응답한다. 또한 리더는 태그들의 응답 문자열 중에서 충돌이 발생한 비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충돌이 발생한 위치가 태그 식별코드의 마지막 비트이면 리더는 더 이상의 질의가 없이 두 개의 태그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성능 분석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rev 프로토콜은 QT 프로토콜에 비하여 리더의 질의 횟수와 태그의 응답 비트 수가 월등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RFID 시스템에서 중지 신호를 이용한 충돌방지 프로토콜 (Anti-Collision Protocol with Stop Signal in RFID Systems)

  • 임인택;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38-64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식별영역 내에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기억 특성을 갖는 QT 프로토콜을 개선한 QT_ss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QT_ss 프로토콜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자신의 식별코드로 응답한다. 태그가 응답하는 동안 리더가 충돌을 감지하면 리더는 중지 신호를 방송한다. 한편 태그들이 응답을 전송하는 도중에 중지 신호를 수신하면 전송을 중단한다. 성능 분석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ss 프로토콜이 QT 프로토콜에 비하여 태그의 응답 비트 수가 월등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QT35 세포주에서 제조합 에리스로포이에틴 생산을 위한 무혈청 배지의 개발 (Serum Free Medium Development for Recombinant Erythropoietin Production using Novel Cell Line (QT35))

  • 주형민;김병기;김선영;김태한;김태용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95-302
    • /
    • 1998
  • Human Erythropoietin (EPO) gene is cloned in quail fibrosarcoma cell, QT35. Because molecular weight of EPO is similar to that of serum albumin, cell culture with serum containing medium makes purification of EPO very difficult. Using fractional factorial study, we have developed serum free medium for the recombinant QT35 cell lines, QT N4D4 and QT SY-IMP, which have cloned EPO with glutamine synthetase (GS) gene amplification system and with puromycin selective marker, respectively. Among the seven frequently used medium components, fibronectin, BSA, and EGF were the most important for EPO production. However, sufficient fibronectin supplement to the medium did not make any good attachment of QT35 to culture plate over 3 days. Therefore, to maximize EPO production, we attempted a medium-shift at confluence from serum containing medium to serum free medium(QT SFM6). Using the medium-shift protocol with QT SFM6, nearly the same productivity of EPO was achieved comparing with that without medium-shift. This result was true in both QT35 cell lines in three types of culture, i.e. T flask, microcarrier and roller bottle cultures.

  • PDF

다중 태그 식별을 위한 개선된 질의 트리 충돌방지 알고리즘 (Enhanced Query Tree Based Anti-Collision Algorithm for Multiple Tag Identification)

  • 임인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07-31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다중 태그 식별을 위하여 질의 트리 기반의 QT_rev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QT 알고리즘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전체의 식별코드로 응답한다.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rev 알고리즘에서는 식별코드 중에서 질의 문자열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로만 응답한다. 또한 리더는 태그들의 응답 문자열 중에서 충돌이 발생한 비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충돌이 발생한 위치가 태그 식별코드의 마지막 비트이면 리더는 더 이상의 질의가 없이 두 개의 태그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성능 분석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rev 알고리즘은 QT 알고리즘에 비하여 리더의 질의 횟수와 태그의 응답 비트 수가 월등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FID 시스템에서 중지신호를 이용한 쿼리 트리 프로토콜 (A Query Tree Protocol with Stop Signal in RFID Systems)

  • 임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26-52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에서 식별영역 내에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기억 특성을 갖는 QT 프로토콜을 개선한 QT_ss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QT_ss 프로토콜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자신의 식별코드로 응답한다. 태그가 응답하는 동안 리더가 충돌을 감지하면 리더는 중지 신호를 방송한다. 한편 태그들이 응답을 전송하는 도중에 중지 신호를 수신하면 전송을 중단한다. 성능 분석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ss 프로토콜이 QT 프로토콜에 비하여 태그의 응답 비트 수가 월등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RITICAL FACTORS FOR ASSESSMENT OF BIM BASED QUANTITY-TAKE OFF

  • Seong-Ah Kim;Chang-Hee Lee ;Sangyoon Chin;Cheolho Choi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7-11
    • /
    • 2011
  • Quantity take-off (Q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determining the total cost of a construction project, and it requires accuracy and reliability for the result. Accuracy and reliability in BIM-based QT are also required to assure the completeness of the result. However, there has been no basis to measure the completeness of the BIM-based QT result. As BIM is increasingly being adop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a wide variety of purposes,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have a metho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BIM-based QT and criteria to measure i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hypothesis that the completeness of BIM-based QT relies on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BIM and the BIM-based QT process. As a basic research to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BIM-based QT, this research analyzes and derives factors that affect the completeness of BIM-based QT.

  • PDF

섭식장애 환자에서 전도 이상 및 관련 요인 (Conduction Abnormalities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배상빈;도준형;김율리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1호
    • /
    • pp.38-44
    • /
    • 2012
  • Objectives : QT interval prolongation and dispersion known as indicators of an increased risk for ventricular arrhythmias and sudden death have been reported to be prolonged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conduction abnormalities in Korea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and to examine its relation with clinical and laboratory facto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examined 45 women with anorexia nervosa and 75 women with bulimia nervosa who were assessed by 12-lead electrocardiogram at baseline. QT interval and corrected QT interval, QT dispers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ongest and shortest QT intervals, and abnormal U wave were measured for conduction abnormalities. Results : QT interval was significantly longer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compared with those with bulimia nervos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QTc (Corrected QT), QTd (QT dispersion) and abnormal U wave betwee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nd those with bulimia nervosa. QT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owest ever lifetime body mass index ($kg/m^2$) as well as the serum amylase level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some conduction abnormalities reported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re also found in patients with bulimia nervosa. It appears that severity of weight loss and purging behavior could affect the cardiac arrhyth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ppropriat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cardiac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RFID 시스템에서 고속 태그 식별을 위한 충돌방지 알고리즘 (Anti-Collision Algorithm for Fast Tag Identification in RFID Systems)

  • 임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87-29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RFID시스템에서 식별영역 내에 있는 태그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무기억 특성을 갖는 QT 알고리즘을 개선한 QT_ecfi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QT_efci 알고리즘에서는 질의 문자열이 식별코드의 처음 비트들과 일치하는 태그는 식별코드 중에서 질의 문자열을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로만 응답한다. 리더는 태그들의 응답 문자열 중에서 충돌이 발생한 비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충돌이 발생한 위치가 태그 식별코드의 마지막 비트이면, 리더는 더 이상의 질의가 없이 두 개의 태그를 동시에 식별할 수 있다. 한편 태그가 응답하는 동안 리더가 충돌을 감지 하면 리더는 중지 신호를 방송한다. 성능분석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QT_efci 알고리즘은 QT 알고리즘에 비하여 리더의 질의 횟수와 태그의 응답 비트 수가 월등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의 분리 정제물(클로로겐산, 퀘르세틴 및 퀘르시트린)에 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검증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Quercitrin from the Fruit of Vaccinum oldhami)

  • 채정우;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8
    • /
    • 2023
  •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를 분리 정제하여 클로로겐산(CA), 퀘르세틴(QT) 및 퀘르시트린(QR)을 얻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91.9%, 89.9%, 77.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QT 및 QR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9.5%, 91.4%를 나타내었으며, CA는 1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이 농도에서 29.5%, 34.7%, 23.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해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CA, QT, QR 모두 1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에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QT에서는 TRP-1, TRP-2 및 tyrosinase에서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A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QT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QR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의 결과에 따라 CA, QT, QR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e-clinical QT Risk Assessment in Pharmaceutical Companies - Issues of Current QT Risk Assessment -

  • Takasuna, Kiyoshi; Katsuyoshi, Chiba;Manabe, Suna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09
  • Since the Committee for Proprietary Medicinal Products (CPMP) of the European Union issued in 1997 a "points to consider" document for the assessment of the potential for QT interval prolongation by non-cardiovascular agents to predict drug-induced torsades de pointes (TdP), the QT liability has become the critical safety issue in the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 As TdP is usually linked to delayed cardiac repolarization, international guideline (ICH S7B) has advocated the standard repolarization assays such as in vitro IKr (hERG current) and in vivo QT interval, or in vitro APD (as a follow up) as the best biomarkers for predicting the TdP risk. However, the recent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the currently used above biomarkers and/or assays are not fully predictive for TdP, but also does not address potential new druginduced TdP due to the selective disruption of hERG protein trafficking to the cell membrane or VT and/or VF with QT shortening. There is, therefore, an urgent need for other surrogate markers or assays that can predict the proarrhythmic potential of drug candidate. In this review, we provide an ideal pre-clinical strategy to predict the potentials of QT liability and lethal arrhythmia of the drug candidates with recent issues in this field in mind, not at the expense of discarding therapeutically innovative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