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C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6초

Validated HPLC Method for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in Korean Subjects

  • Kang, Hyun-Ah;Kim, Hwan-Ho;Kim, Se-Mi;Yoon, Hwa;Cho, Hea-Young;Oh, Seaung-Youl;Choi, Hoo-Kyun;Lee, Yong-B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5호
    • /
    • pp.331-338
    • /
    • 2006
  • A rapid, selective and sensitive reverse-phase HPL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serum and whole blood were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combination therapy. Atenolol and an internal standard, pindolol, were extracted from human serum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mu$-Bondapak C18 $10-{\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methanol-0.01 M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30:70, v/v, adjusted to pH 3.5) and fluorescence detection(emission: 300 nm, excitation: 224 nm). Chlorthalidone and an internal standard, probenecid, were extracted form human whole blood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analyzed on a Luna C18 $5-{\mu}$ column in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 containing 77% 0.01 M sodium acetate and UV detection at 214 nm. These analysis were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using the same quality control(QC) samples. The chromatograms showed good resolution, sensitivity, and no interference by human serum and whole blood, respectively. The methods showed linear responses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1,000 ng/mL for atenolol and 0.05-20 ${\mu}g/mL$ for chlorthalidon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reater than 0.999 at all the three laboratories. Intra- and inter-day assay precision and accuracy fulfilled international requirements. Stability studies(freeze-thaw, short-, long-term, extracted sample and stock solution) showed that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stable. The lower limit of quantitation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were 10 ng/mL and 0.05 ${\mu}g/mL$, respectively, which was sensitive enough for pharmacokinetic studies.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the pharmacokinetic study of atenolol and chlorthalidone in human volunteers following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Hyundai $Tenoretic^{\circledR}$ tablet(atenolol 50 mg and chlorthalidone 12.5 mg) at three different laboratories.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in Win-Win Cooperation Quality Circle Innovation Activities)

  • 안효범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43-48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 간 상생협력활동을 통한 동반성장이라는 목표 아래,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선도모델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최근 3개년(2014년~2016년)동안 국가품질상의 범주 내에서 실시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 부문에 참여한 총 18개 기업들의 주요 발표문집을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2017년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상생협력부문의 심사기준을 분석하고 각 활동단계별 우수사례를 선정하여 최적화된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동요령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생협력 분임조 혁신활동의 활성화 및 참여유도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업 간 상생협력의 시스템 강화방안을 통하여 상생협력이 새로운 기업문화로 정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상생협력 기업 간 생산성 및 품질향상 등 기업경쟁력 제고를 바탕으로 기업 간 동반성장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토모테라피 Hi-Art System의 영상유도 정확성 평가와 환자 피폭에 관한 연구 (Accuracy and radiation exposure from image-guidance in Tomotherapy Hi-Art System)

  • 장재욱;임현수;한만석;김용균;전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77-584
    • /
    • 2013
  • 토모테라피의 영상유도방사선치료는 환자의 자세재현성을 증가시켜 방사선치료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나 그 정확성이 검증되어야 하며, MVCT 촬영에 의한 환자피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토모테라피의 영상유도 정확성은 1.0mm 이내로 매우 양호하게 측정되었으며, 선량은 각각 Fine(2mm) 3cGy, Normal(4mm) 1.5cGy, Corse(6mm) 1cGy로, 해상력은 Normal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 피폭을 줄이기 위해서 Fine 보다 Normal을 선택하고 MVCT 촬영범위를 최소화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 중 휘발성유기오염물질의 환경, 개인 및 인체 노출의 상관성 연구 (A Correlation Study between the Environmental, Personal Exposures and Biomarker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조성준;신동천;정용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3호
    • /
    • pp.197-205
    • /
    • 2002
  •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Many important questions remain to be addressed in assessing exposure to these compounds. Because they are ubiquitous and highly volatile, special techniques must be applied in the analytical determination of VOCs. Personal exposure measurement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environmental concentrations and actual exposures. It is also important to investigate exposure frequency, duration, and intensity, as well as personal exposur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air monitoring, biological monitoring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isk assessment by allowing estimation of absorbed doses, rather than just the external exposure concentrations, which are evaluated by environmental and personal monitor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analytic procedure of VOCs in air, blood, urine and exhaled breath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environmental medi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ecause they are occupationally exposed to high levels of VOCs. Environmental, personal, blood, urine and exhalation samples were collected. Purge & trap, thermal desorber,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elective detector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samples. Analytical procedures were validated with the“break through test”, 'quot;recovery test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method detection limit test”and“inter-laboratory QA/QC study”. Assessment of halogenated compounds indicted that the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ach other (p value < 0.01). In a similar manner, aromatic compounds were also correlated, except in urine sam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exposures and environmental concentrations. These relationships for aromatic and halogenated are as follows: Halogen $s_{personal}$ = 3.875+0.068Halogen $s_{environmet}$, ($R^2$= .930) Aromatic $s_{personal}$ = 34217.757-31.266Aromatic $s_{environmet}$, ($R^2$= .821)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s and various exposure deter-minants including, gender, duration of employment, and smoking history.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model-ins for halogens in blood and aromatics in urine are as follows: Halogen $s_{blood}$ = 8.181+0.246Halogen $s_{personal}$+3.975Gender ($R^2$= .925), Aromatic $s_{urine}$ = 249.565+0.135Aromatic $s_{personal}$ -5.651 D.S ($R^2$ = .735), In conclusion, we have established analytic procedures for VOC measurement in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amples and have presented data demonstrating relationships between VOCs levels in biological media and environmental samples. Abbreviation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VM, Organic Vapor Monitor; TO, Toxic Organicsapor Monitor; TO, Toxic Organics.

GC-NCI-MS/MS를 이용한 모발 중 대마 대사체 분석의 측정불확도 평가 (Uncertainty evaluation of the analysis of 11-nor-9-carboxy-Δ9-tetrahydrocannabinol in hair by GC-NCI-MS/MS)

  • 김진영;이재일;정재철;서용준;인문교
    • 분석과학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1
  • 대마 흡연 여부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모발 중 대마 대사체 정량분석 결과의 측정불확도를 평가하였다. 대마초 성분 중 활성물질은 ${\Delta}^9$-tetrahydrocannabinol이며 대사과정을 거쳐 생성된 주요 대사체는 11-nor-9-carboxy-${\Delta}^9$-tetrahydrocannabinol (THC-COOH)이다. 따라서 생체 대사물질인 THC-COOH는 대마 흡연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실험방법은 모발의 세척, 건조, 질량측정, 세절, 가수분해, 비드를 이용한 액체-액체 추출, 유도체화 반응 및 기기분석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측정의 소급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위 규정기로부터 하위 측정기까지 교정을 통해 확보하였다. 측정불확도 평가에 앞서 정량분석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찾아내고 각각의 요소들이 측정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산출 결과, 재현성, 회수율, 검정곡선, 표준물질, 질량측정의 요소 순으로 불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재현성의 요소가 측정불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실제 대마 복용자의 모발을 분석한 결과 대마 대사체 농도 측정값에 대한 오차 범위의 상대불확도는 17% 이였으며, 본 연구의 측정불확도 평가 결과는 향후 분석방법의 개선 및 측정결과의 신뢰도 제고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3D 프린팅을 이용한 골밀도 팬텀 개발 (Development of BMD Phantom using 3D Printing)

  • 이준호;최관용;홍성용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192
    • /
    • 2019
  • DXA 검사는 작은 골량의 변화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변화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어 임상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골밀도 검사 장치이다. 검사의 정확도와 정밀도의 유지를 위하여 정도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팬텀의 제작이 어렵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가격이기 때문에 병원마다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 및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필라멘트의 내부채움 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교차보정 팬텀을 개발하고 상용화된 팬텀과의 비교 평가를 통해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팬텀의 개발을 위해 ABS, TPU, PLA, 30% Cu-PLA, 30% Al-PLA의 HU을 평가하였으며 각각 내부 채움 100%에서 $-149.74{\pm}2.36$, $-55.62{\pm}7.14$, $-7.68{\pm}3.82$, $87.53{\pm}1.07$, $1795.20{\pm}16.15$의 HU를 나타내었다. 선형회귀분석이 적용된 3D 프린팅 팬텀의 L1, L2, L3 골밀도는 $0.620{\pm}0.010g/cm^2$, $1.092{\pm}0.025g/cm^2$, $1.554{\pm}0.026g/cm^2$으로, 기존 팬텀과 통계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를 활용한다면, DXA 장치의 적절한 정도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FDM 3D 프린팅을 이용한 다양한 의료용 팬텀 제작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of Synthetic Antioxidants in Processed Foods Distributed in Korea

  • Park, Hyeon-Ju;Seo, Eunbin;Park, Jin-Wook;Yun, Choong-In;Kim, Young-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97-305
    • /
    • 2022
  • 산화방지제는 활성 산소에 의한 지질 산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성을 증대하는 식품첨가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 산화방지제 5종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ertiary butylhydroquinone (TBHQ), Propyl gallate (PG), 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EDTA·2 Na))을 이용하여 HPLC-UVD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 및 합성 산화방지제가 표시된 실제 식품 속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직선성(R2)은 평균 0.9997,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각각 0.02-0.53과 0.07-1.61 mg/kg으로 산출하였다. 일내 및 일간 정확성과 정밀성 산출을 위하여 합성 산화방지제 4종은 콩기름과 과자, EDTA는 통조림과 마요네스를 이용하였다. 정확성과 정밀성 결과, 일내와 일간 각각 83.2±0.7-97.8±4.4와 86.2±3.3-98.3±2.1 및 0.1-6.4와 0.7-5.7 %RSD로 산출되었다. 또한 FAPAS QC material을 이용하여 실험실간 정확성 및 정밀성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이는 AOAC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측정불확도 역시 CODEX에서 제시한 범위인 16%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민 건강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국내 산화방지제의 섭취량 및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D 프린팅기술을 이용한 골밀도 정도관리 대퇴골 팬텀 제작 및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efulness and Fabrication of Femur Phantom on Quality Control of Bone Mineral Density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 홍다영;이정;이준호;문재원;오한샘;정유원;진성현;홍종민;이인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1호
    • /
    • pp.1-8
    • /
    • 2023
  • As the demand for bone mineral density testing increases in Korea, which is close to an a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peatability of equipment such as femur phantom other than l-spine for more accurate diagnosis. However, in clinical practice, it is often not possible to proceed such evaluation due to insufficient quality control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femur phantom after fabricating the same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he femur phantom was output using GlowFill filament and FDM 3D printing type. Each phantom was repeatedly scaned 20 times to compare whether the existing l-spine phantom and the fabricated femur phantom were suitable as a phantom for quality control. Each time the seven researchers took three times, the location of the femur phantom was readjusted, and then scanned to confirm the error between the research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repeatability evaluation using femur phanto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te was 2%, which was within the minimum precision tolerance of 2.5%. The reproducibility between the researcher was also found to be suitable as the averag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0.031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te was 3.1%, which was within the minimum precision error range of 5%.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spective attitude and usefulness of the femur phantom fabricated by 3D printing in clinical practice will be sufficient.

협재층 탐지를 위한 선단비저항 콘 (Cone Resistivity Penetrometer for Detecting Thin-Layered Soils)

  • 윤형구;정순혁;김래현;이종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8호
    • /
    • pp.15-25
    • /
    • 2010
  • 점토층 사이에 존재하는 모래 협재층은 연약지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협재층은 주로 표준 콘(단면적: $10cm^2$)에서 측정된 지반의 저항력과 간극수압 값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지만, 높은 해상도를 위하여 소형 콘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약지반에 얇게 분포된 협재층을 선단저항력, 주면마찰력 그리고 전기비저항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전기비저항 콘(Cone Resistivity Penetrometer, CRP)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CRP는 각각 실내실험(단면적: $0.78cm^2$, 직경: 1.0cm)과 현장실험(단면적: $1.76cm^2$, 직경: 1.5cm)에 활용되도록 제작하였으며, 길이는 표준 콘(단면적: $10cm^2$, 직경: 3.57cm)의 단면적과 마찰부의 면적비를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실내실험은 모래와 점토가 반복적으로 조성된 다층의 층상탐지 셀을 사용하여 각 지층의 경계면을 탐사하였으며, 현장실험은 광양지역에서 심도 6m부터 15m까지 관입실험을 수행하였다. CRP는 실내실험에서 측정된 선단저항력과 전기비저항으로 조성된 시료의 각 지층 경계면을 뚜렷하게 평가하였으며, 현장실험에서는 3개의 협재층을 탐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RP는 실내 및 현장결과 적용성이 뛰어나 추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Public Fill 다짐 시 급속충격다짐공법의 품질관리기준 수립을 위한 유효개량심도 분석 (Analysis of Effective Improvement Depth for Establishing Quality Control Criteria of Rapid Impact Compaction for Public Fill Compaction)

  • 김규선;박재영;김하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9권10호
    • /
    • pp.5-18
    • /
    • 2023
  • 일반적인 토공사에서 사용하는 진동롤러에 의한 층다짐을 급속충격다짐(RIC)공법을 이용한 일시 다짐으로 대체하면 토공에 소요되는 공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동적하중에 의한 다짐은 모래와 같은 조립질 토사에 적합한 공법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매립 프로젝트의 주요 재료인 모래의 공급부족으로 세립분을 함유한 토사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RIC와 같은 동적하중에 의한 다짐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세립분을 함유한 매립재료 사용 시의 유효개량심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깨끗한 모래인 Sand fill과 세립분이 함유된 Public fill에 대한 RIC공법 적용 전·후의 현장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세립분 함량에 따른 RIC공법의 유효개량심도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 콘저항치 qc를 사용한 다짐 품질관리기준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세립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매립토사에 대한 다짐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qc 측정값의 정규화가 필요하며, 깨끗한 모래의 상대밀도 Dr=70%에 해당하는 다짐 품질관리기준은 정규화 콘저항치 Qtn,cs=110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RIC 품질관리 시에 적용 가능한 매립토사의 세립분 함량을 고려한 심도별 qc 품질관리기준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