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acutissima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HPLC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and Anti-Alzheimer's Activity of Korean Quercus Species

  • Nugroho, Agung;Song, Byong-Min;Seong, Su Hui;Choi, Jae Sue;Choi, Jongwon;Choi, Ji-Yeon;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299-306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method to analyze the content of peroxynitrite-scavengers belonging to polyphenols in six Korean Quercus species (Quercus mongolica, Q. dentata, Q. acutissima, Q. alienta, Q. serrata, and Q. variabilis) by HPLC. The twelve peroxynitrite-scavengers, flavanols (catechins: (+)-catechin,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flavonols (kaempferol and quercetin), flavonol glycosides (astragalin, quercitrin, and isoquercitrin), flavonol acylated glycosides (astragalin 6''-gallate and isoquercitrin 6''-gallate), gallic acid and its dimer (ellagic acid) were analyzed by HPLC. Further, anti-Alzheimer's activity was assayed in a passive avoidance testusing mice by measuring the retention latency (sec), the concentration of acetylcholine (ACh),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Simultaneous analysis of the extracts of the six Quercus leaves was achieved on a Capcell C18 column ($5{\mu}m$, $250mm{\times}4.6mm\;i.d.$) with a gradient elution of 0.05% HAc and 0.05% HAc in $CH_3CN$. In the extract of Q. mongolica leaves, the content of gallic acid (32.53 mg/g), (+)-catechin (28.78 mg/g), (-)-epicatehin (22.03 mg/g), astragalin 6''-gallate (20.94 mg/g), and isoquercitrin 6''-gallate (44.11 mg/g) and peroxynitrite-scavenging activity ($IC_{50}$, $0.831{\mu}g/ml$) were high. This extract delayed the retention latency and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of mice, suggesting that it has anti-Alzheimer's activity.

참나무 5종의 생태 복원 적지 추정을 위한 경제림 육성단지의 기후와 입지 요인 분석 (Analysis of Climate and Topographical Factors of Economical Forests in Korea to Select the Restoration Safe Site of 5 Dominant Oak Species)

  • 이승연;김의주;이응필;조규태;박재훈;이영근;정상훈;홍용식;박진희;최승세;김해란;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427-435
    • /
    • 2020
  •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ccessfully restore an oak forest is finding suitabl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actors for the oak species to be introduced.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five dominant oak trees on the Korean Peninsula, we carried out analysing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forest veget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ange of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five oak trees was narrow in the order of Q. mongolica (7.7~14.3℃), Q. variabilis (9.2~13.8℃), Q. acutissima (10.5~14.3℃), Q. serrata (11.4~13.7℃), Q. aliena (11.0~12.9℃). The range of annual precipitation of oaks was narrow in order of Q. mongolica (1072.7~1780.9 mm), Q. variablis (1066.6~1554.9 mm), Q. acustissima (1036.5~1504.8 mm), Q. serrata (1062.6~1504.7 mm). The range of altitude was in order of Q. mongolica (147~1388m), Q. serrata (93~950m), Q. variabilis(90~913m), Q. acustissima (60~516m), Q. aliena (55~465 m). The range of slope was in the order of Q. mongolica (8~56°), Q. variabilis(5~52°), Q. serrata (11~45°), Q. aliena (15~38°), Q. acustissima (16~37°).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very useful in the case of ecological restoration using deciduous oak trees on the Korean Peninsula.

상수리나무 기내배양(器內培養)에서의 Pulse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및 Peat Plug를 이용(利用)한 참나무류(類) 기내줄기의 기외삽목(器外揷木) (In vitro Shoot Proliferation by Pulse Treatment from Shoot Cultures of Q. acutissima and Ex vitro Root Induction Using Peat Plug Systems in Quercus spp.)

  • 문흥규;윤양;손성호;이석구;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21-226
    • /
    • 1993
  • 상수리나무 유묘(幼苗)로부터 기내증식(器內增殖)된 줄기를 재료(材料)로 BA 단독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첨가(混合添加)된 멸균수(滅菌水)와 WPM 액체배지(液體培地)에 BA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첨가(混合添加)된 용액(溶液)의 pulse 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또한 기내증식중(器內增殖中)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및 신갈나무를 재료(材料)로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을 실시(實施)하였다. BA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混合)된 멸균수(滅菌水) 처리(處理)에는 앞서 기술한 액체배지(液體培地)와 함께 처리한 것보다 증식효과(增殖效果)는 감소(減少)되었으나 줄기생장은 다소 양호(良好)하였다. 처리(處理)는 1시간 처리하였을때 유효(有效)하였으며,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질수록 줄기발생 및 생장(生長)이 감소(減少)되며 유리화 현상이 나타났다. BA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BA와 zeatin의 혼합처리(混合處理)보다 증식(增殖)에 효과적(效果的)인 반면 건전한 줄기의 유도는 BA와 zeatin의 혼합첨가(混合添加)가 주효(主效)하였다.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에서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높은 발근력(發根力)이 유지되어 실용적(實用的) 응용(應用)이 가능(可能)하였으나, 졸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정단괴저(頂端壞疽)로 고사(枯死)되어 발근력(發根力)이 저조(低調)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pulse 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및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의 효과(效果)와 그 문제점(問題點) 등(等)을 검토(檢討)하였다.

  • PDF

도시림에서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초기의 식생 변화 (Vegetational Changes in the Early Stages after Lumbering of Populus albaglandulosa in Urban Forest)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77-285
    • /
    • 1999
  • 도시의 식재림을 자연림으로 복원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근린공원 내에서 교목층을 구성하고 있는 은수원사시나무를 벌목한 후 초기 2년간 식물상, 식생, 목본식 물의 생장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첫째, 벌목의 결과 목본식물종의 변화는 없었으나 초본식물은 1년 후 콩제비꽃 등 3종이 사라지고 15종이 새로 출현하여 종 수가 44% 증가하였다. 새로 침입한 종은 대부분 박주가리 등의 교란지종이거나 붉은서나물 등의 귀화종이었다. 둘째, 벌목은 기존의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구성하고 있던 갈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 둥의 피도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싸리의 피도는 주변의 다른 식물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다. 셋째, 초본층의 구성종 중 맑은대쑥의 피도 증가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이외의 종의 것은 큰 변화가 없었다. 넷째, 참나무류는 피음이 제거되면 생장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실험구에서는 벌목 후 다음해의 DBH 증가는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3.0%, 22.9% 및 28.8%, 대조구에서는 각각 23.1%, 8.3% 및 6.1%이었다. 그리고 가지의 생장량은 벌목 전해를 기준으로 벌목 다음해 실험구의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65%, 191%, 644%이었고, 대조구의 것에서 각각 117%, 100%, 42%이었다. 그런데 갈참나무와 떡갈나무는 상대적으로 줄기보다 가지의 생장 증가가 뚜렷하였지만 신갈나무는 그 반대이었다.

  • PDF

북한산 국립공원 주요 5개 계곡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Five Major Valleys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우;황서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9
    • /
    • 1995
  • 북한산 국립공원 우이령계곡, 하루재계곡, 구기계곡, 송추계곡 도봉산계곡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각 지역에 38, 40, 26, 28, 36개씩의 조사구(조사구면적 1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종합하여 TWINSPAN에 의한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적용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BPAN에 의하여 서어나무군집 (I), 신갈나무군집 (II), 소나무군집 (III), 신갈나무-소나무군집(IV), 신갈나무-졸참나무-산벚나무군집 (V), 신갈나무-굴참나무군집 (Ⅵ), 아까시나무-상수리나무군집 (Ⅶ), 리기다소나무-졸참나무군집(Ⅷ), 신갈나무-굴참나무-쪽동백나무군집(Ⅸ) 등 9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자연림의 교목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인공림에서는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longrightarrow$상수리나무, 물푸레나무 순이었으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바위말발도리, 개옻나무, 산철쭉, 참회나무$\longrightarrow$당단풍, 함박꽃나무, 생강나무 순이었다. 기왕의 연구와 비교하여 인간의 간섭과 대기오염으로 인한 토양산성화 등으로 인해 천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온량지수에 따른 천안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The Study of Adaptable Plant Species according to Warmth Index using RCP 8.5 Scenarios in Cheonan-Si)

  • 공석준;신진호;양금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0
    • /
    • 2013
  • This study was proposed to adaptable spec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using warmth index(WI) in Cheonan-Si. RCP 8.5 was used to estimate change of warmth index(WI) depending on climate change in Cheonan-Si. Climatic change of Cheonan-Si was estimated to change from cool temperate forest central zone to warm temperate forest zone. The following plant species will survive within WI change of Cheonan-Si from 2010 to 2050 : 18 species in the tree layer including Quercus serrata,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Q. acutissima etc.; 28 species in the shrub layer including Rhus trichocarpa, Lindera obtusiloba, Zanthoxylum schinifolium etc.; 24 species in the herb layer including Oplismenus undulatifolius, Carex lanceolata, etc.; 12 species in the vine plants including Smilax china, Cocculus trilobus, etc.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에 관한 연구 (Similarty Relationship and Intraspecific Variation in Pollen Morphology of Korean Subgenus Lepidobalanus E$_{NDL}$.(Genus Quercus L.))

  • 김계환;김상용
    • 임산에너지
    • /
    • 제19권1호
    • /
    • pp.38-48
    • /
    • 2000
  • 한국산 참나무아속 화분형태의 유사관계 및 종내변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화분립의 국축길이, 적도면 폭, 구의 길이, 구의 폭을 측정하고 화분립의 국축길이에 대한 적도면 폭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화분형태가 가장 유사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수종 중 화분립의 크기에 있어서 폭 넓은 변이를 나타내는 떡갈나무의 경우에는 polypoid와 (또는) aneuploid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참나무아속 수종들의 ploidy levels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Landscape Structure in the Greenbelt Zone around the Seoul, the Metropolis of Korea

  • Lee, Chang-Seok;Hong, Sun-Kee;Moon, Jeong-Suk;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85-394
    • /
    • 2001
  • An attempt to clarify the landscape structure of urban areas was carried out in the greenbelt around Seoul, Korea's metropolis. By means of aerial photographs and a field survey, a vegetation map including land-use pattern was made. Landscape structure was described by analyzing this vegetation map and the results of phytosociological survey. Landscape element types identified were (1) secondary forest, (2) plantation, (3) cultivated field, (4) urbanized area, (5) graveyard, and (6) bare rock. Vegetation units, result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analysis, included Quercu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Pinus densiflora, Q. aliena, and Alnus japonica communities. Plantations were composed of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P. rigida, Larix leptolepis, P.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 stands. Patches near to human settlements in the lower zones of the mountains were fragmented and small but they became larger towards the higher mountain zon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tches was fewer and their size was larger in Mt. Cheonggye more distant from the principal residential area, larger in size, and higher in elevation compared with the other 2 mountains, Mt. Daemo and Mt. Acha. Floristic composition of Mongolian oak(Q. mongolica) stand distributing in the upper part of each mountain,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rare, showed a difference among those study areas different in parent rock and disturbance regime. But that of black locust(R. pseudoacacia) stand located in lowland of mountainous area, in which artificial interference is frequent was similar to each other. As the results of analyses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iameter classes of major species, dominant landscape elements, Mongolian oak forest showed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artificial interference as continuous maintenance and retrogressive succession in the sites far from and near to the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black locust stands showed a probability to be restore to the native oak forest through progressive succession.

  • PDF

관악산 삼림의 22년간(1972~1993)의 식물군집구조 변화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during the Twenty-two Years(1972~1993) in Forest of Mt. Kwanak)

  • 이경재;송준근;조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9-90
    • /
    • 1994
  • This survey was ocnducted to investgate chang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rom 1972 to 1993 in forest of Mt. Kwanak and thirty-five plots that the size of each plot was 10m${\times}$10m(100㎡) were set up and the vegetation analysis was caried out. By the TWINSPAN analysis, the plant community of survey area were divied into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Pinus densiflora(1), Q. mongolica-P. densiflora(2), Q. acutissima community. The successional trends of the woody species were seemed to be from P. densiflora,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in the canopy layer. But the successional trends in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 were difficult to suppose.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wanak from 1972 to 1993 was severely decreased in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s. The sensitive species for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selected, and the tolerant plants for the acid soil were increased. In comparision with the DBH class distribution from 1972 to 1993, it shows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has stopped. In the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soil acidification has taken place over last twenty-two years(from pH=5.40 to pH=4.53). The concentration of K+, Ca++ was severly decreased(from K+=0.60m.e./100g to K+=0.06m.e./100g, from Ca++=3.20m.e./100g to Ca++=0.63m.e./100g), which also could seemed to be cause of plant community decline.

  • PDF

활엽수 입목형질등급 기준 개발을 통한 중부지역 참나무림의 입목특성 평가 (Evaluation of Standing Tree Characteristics by Development of the Criteria on Grading Hardwood Quality for Oaks Forests in Central Region of Korea)

  • 이영근;이상태;정상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344-350
    • /
    • 2018
  • 활엽수림의 고부가가치 목재 이용을 고려한 산림관리 방법 개선을 위해 입목형질등급 기준을 마련하였고, 중부지역의 참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입목형질등급의 평가인자는 줄기의 휨, 가지 굵기, 수피상처, 기타 결함 4개이며 수간을 2.1 m 단위로 구분하여 6.3 m까지 3개의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1등급, 2개 원목이 이용 가능하면 2등급, 1개만 이용 가능하면 3등급, 제재목으로 이용할 수 없을 경우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개발된 입목형질등급을 참나무류 임분에 적용한 결과, 3등급 38.3%, 4등급 27.0%, 2등급은 28.0% 그리고 1등급 6.7%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종별 제재목으로 이용 가능한 3등급 이상의 입목비율은 상수리나무 88.2%, 굴참나무 88.1%, 졸참나무 83.5%로 높았으나, 갈참나무와 신갈나무의 경우 각각 56.0%, 50.3%로 평가 등급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경우 흉고직경이 증가할수록 4등급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목형질등급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결함요인은 수간의 휨>가지 굵기>수피상처>기타 결함 순이었다. 중부지역 참나무림의 임목형질등급과 분포면적을 고려할 경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실행된다면 활엽수 용재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확하고 실질적인 입목형질등급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평가 인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를 통한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