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acutissima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consecutive shoot-cutting for 3 years on saplings' sprouting regeneration ability of six deciduous oak species in Korea

  • Lee, Seung-Yeon;Cho, Kyu-Tae;Jang, Rae-Ha;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3호
    • /
    • pp.66-71
    • /
    • 2017
  • Background: The sprouts of oak spec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oak community in a disturbed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cut 1-year-old oak in three times during the 3 years and measured the sprout responses to know sprouting ability of six deciduous oaks in Korea. Results: Oak sprouts have appeared in spring and fall, and some of the sprouts had lifespan as short as a month. As the number of cutting increases, sprout number of Quercus acutissima increased whereas the other oak species decreased or died. The average number of sprouts over the 3 years was from 1.4 (Quercus mongolica) to 2.2 (Q. acutissima) per individual. Quercus serrata died after the second cutting, and Quercus dentata died after the third cutting. So, the two species have the lowest sprouting ability among six oak species. The sprouts grew actively during fall and slowly in summer. The sprout length during the 3 years was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Q. acutissima, Quercus aliena, Q. dentata, and Q. mongolica. Sprout of Q. acutissima and Q. aliena generated steadily over the 3 years, and sprout of Quercus variabilis and Q. mongolica was changed by year. After the 3 years, the number of sprouts increased only in Q. acutissima but sprout number of the other five oak species decreased. The sprout length of Q. acutissima, Q. aliena, and Q. variabilis increased, but sprout length of the other three oak species decreased.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saplings over the 3 years was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Q. acutissima, Q. alien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Conclusions: As a result, the sprouting ability of Q. acutissima was the highest. Such level of sprouting ability may be the evidence of how Q. acutissima community exists as a dominant species in a disturbed environment in lowlands of Korea peninsula.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and Q. variabilis stands)

  • 이상태;정상훈;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30-537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낙엽활엽수종인 참나무류 중 상수리나무 임분 72개소, 신갈나무 임분 150개소, 졸참나무 임분 97개소, 굴참나무 임분 104개소 등 총 423개소를 대상으로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 중 모래 함량은 상수리나무 임분이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점토 함량은 타 참나무류 임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토양 pH는 임분 간 차이가 뚜렷하여 신갈나무나 졸참나무 임분이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 임분에 비해 토양 산성화가 심하였다. 토양 유기탄소 및 전질소 농도는 신갈나무 임분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유효인산은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임분이 굴참나무나 상수리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교환성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농도는 낮게 나타났다. 양이온교환용량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임분 순이었다. 국내 참나무류 임분의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은 임분 간 차이가 있었으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임분은 낮은 토양 pH와 교환성 양이온 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양분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 및 맹아생장량 -경기도 광주지방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천연임분을 대상으로- (Sprouting and Sprout Growth of four Quercus Species -At Natural Stands of Queruc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and Q. dentata Growing at Kwangju-Gun, Kyonggi-Do-)

  • 이돈구;권기철;김영환;김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61-68
    • /
    • 2000
  •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에서 신갈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4개 참나무류 임분에 대해 1995년도 벌채후 맹아지 발생량과 생장량을 1996년과 2000년에 측정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⑴ 벌채후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은 신갈나무>굴참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⑵ 계절별로 겨울-초봄에 벌채하였을 참나무류 4수종 모두에서 맹아지수가 가장 많고 생장량도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맹아발생력이 낮게 나타났다. ⑶ 참나무류중 맹아의 초기 직경생장량이 가장 큰 것은 상수리나무이며, 그 다음으로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순이었으나, 5년후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⑷ 맹아의 수고생장량은 벌목 2년후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순에서 5년후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⑸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는 경쟁에 의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맹아갱신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무육관리가 필요하다. ⑹ 참나무류에서 벌근직경에 따른 맹아발생은 임령에 관계없이 벌근경이 커짐에 따라 맹아력은 점차 감소되는 반면 맹아의 직경이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 PDF

환경구배처리에 따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생육 차이 (Growth Difference among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mongolica under the Environmental Gradients Treatment)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7권1호
    • /
    • pp.82-87
    • /
    • 2009
  • 우리나라의 주요 우점종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식물생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광, 토양수분, 영양소를 이들 3종의 참나무 유식물에 각각 실내에서 처리하여 그 생육반응을 관찰하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광이 높을수록 잘 자라는 경향이 있었고, 신갈나무만이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신갈나무는 낮은 광도에서도 생육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수분구배에 따라 생육의 차이가 없었고, 상수리나무만이 약간 높은 구배에서 잘 자랐을 뿐이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모두는 영양소가 적을 때 잘 자랐고, 높을수록 못 자랐다. 영양소 구배에 따른 감소정도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낮았다. 이상으로 볼 때, 신갈나무는 피음조건에, 상수리나무는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 그리고 굴 참나무는 유기물이 적은 조건에서 각각 적응한 종이라고 판단된다.

상수리나무와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ysinaefolia)

  • 원호연;오경환;표재훈;문형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4-81
    • /
    • 2012
  •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와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군락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46.3{\pm}5.4%$$37.8{\pm}2.5%$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가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0.38과 0.49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5와 104.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가시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22.4와 41.7로 나타났고,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16.7와 89.9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19.88, 2.73, 7.06, 8.24, 2.61 mg/g으로 가시나무 낙엽의 질소와 인의 함량이 상수리나무 낙엽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4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100.91, 114.75, 32.99, 50.63, 15.51% 이었고,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43.22, 11.35, 12.98, 82.22, 44.23% 로 조사기간 동안에 상수리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부동화가, 가시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무기화가 진행되었다.

Clonal Vari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Mineral Composition in Acorn of Quercus acutissima and Q. serrata Seed Orchard

  • Kim, Chang-Soo;Kim, Du-Hyun;Han, Sang-Urk;Shim, Tae-Heum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47-55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mineral element concentrations of acorns in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seed orchard, so that to estimate the variation of these species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different clones from plus trees. The acorns were collected from ten clones of each species grown in the same clonal seed orchard. The nutritional concentration of acor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nes and species.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for the whole acorn followed in this general sequence: P > K > Na > Mg > Ca > Mn > Fe > Zn > Cu. The mineral concentrations of acorns in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contained P (494 to 684 and 541 to 672 mg/100 g), K (114 to 569 and 140 to 251 mg/100 g), Na (57 to 121 and 49 to 85 mg/100 g), Mg (29 to 37 and 26 to 42 mg/100 g), Ca (10 to 53 and 26 to 68 mg/100 g), Mn (0.5 to 3.4 and 1.8 to 4.5 mg/100 g), Fe (0.7 to 1.1 and 0.0 to 2.2 mg/100 g), Zn (0.34 to 0.81 and 0.38 to 0.84 mg/100 g), and Cu (0.13 to 0.40 and 0.09 to 0.34 mg/100 g) respectively. Even though acorns of Q. serrata are smaller in size than Q. acutissima, acorns of Q. serrata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 of phosphorus, calcium, iron and manganese than Q. acutissima. Based on the mineral composition of the acorn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lone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have different ability to accumulate mineral nutrients which could indicate the variation of Quercus species in terms of mineral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세 가지 환경구배에 따른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과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 (Ecological Niche Breadth of Q. mongolica and Overlap with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along with Three Environment Gradients)

  • 이호종;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91-197
    • /
    • 2009
  • 신갈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유식물의 주요 환경요인 중 광, 수분과 영양소를 각각 4구배로 처리하고, 2007년 3월~10월까지 양묘하여 17가지의 형태 및 생태형질을 측정하여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지위폭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와의 생태적 중복역을 비교분석하여 3종의 분포적 특성과 경쟁관계를 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신갈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은 환경요인 중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낮았고, 수분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신갈나무는 광환경에 대해서만 상수리나무나 굴참나무보다 생태적 지위폭이 큼으로써 이는 3종의 참나무가 경쟁시 광환경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월하며, 또한 한반도에서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광환경에 대한 높은 적응력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갈나무-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굴참나무의 생태적 중복역은 수분구배에서 가장 넓었고, 영양소구배에서 가장 좁게 나타났다. 광구배에서는 그 중간이었다. 이는 참나무 3종이 영양소환경이나 광환경에 대해서는 서로 간 생태적 분화가 수분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났음을 뜻한다. 유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참나무 3종의 환경구배에 대한 반응에서는 신갈나무-상수리나무 간의 공간적 위치는 신갈나무-굴참나무 간의 위치보다 서로 가깝게 배열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는 생태적 지위가 유사하여 환경요인, 특히 수분환경에 대한 경쟁이 신갈나무와 굴참나무에 비해 더 심하게 일어남을 의미한다.

덕유산의 고도에 따른 낙엽의 생산과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of Litters along Altitude of Mt. Dokyoo)

  • Chang, Nam-Kee;Mi-Ae Ch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4호
    • /
    • pp.185-192
    • /
    • 1986
  • The production and decomposition rate of litters from the three different locations, Quercus acutissium forest at 630 m, Q. mongolica forests at 1, 005m and 1, 490 m of Mt. Dokyoo, were estimated by Olson model. The contents of N, P, K, Ca and Na in soils were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were elucidated. The amounts of litter production in Q. mangolica were the lowest, 378.96g/$m^2$ at 1, 490 m and the highest, 876.12g/$m^2$ at 1, 005 m. And the amounts of litter production in Q. acutissima at 630 m was 686.16 g/$m^2$. The decay rate of litters in Q. mongolica was the smallest, 0.123 at 1, 490 m, and the largest, 0.222 at 1, 005 m. And that in Q. acutissima was 0.169 at 630 m which was the medium rate. The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itters decreased with the ascending altitude. The values at 630 m were maller than those at 1, 005 m. This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the tree species at 630 m was Q. acutissima was 0.169 at 630 m which was the medium rate. The production and decay rate of litters decreased with the ascending altitude. The values at 630 m was Q. acutissima which was different from Q. mongolica at 1, 005 m and 1, 490 m. The half-0life of litter decay in Q. monglica was 5, 634 years at 1, 490 m and 3.134 years at 1, 005 m. And that in Q. acutissima was 4.132 years at 630 m. The decay rates of litters were te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scending altitude. The annual standing stocks of mineral and their amounts returned to the soil were proportional to the decay rate of organic matters.

  • PDF

인천광역시 산지형 도시녹지의 식생구조 및 관리계획: 강화도지역을 중심으로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Mountain Type Urban Green Space in Inchon, Korea : a case study of Kangwhado area)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9-130
    • /
    • 1998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참나무 아속(亞屬) 주요 수종의 조직적 성질과 종압축강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in Major Species of Lepidobalanu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63-69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some basic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 Lepidobalanus for rational utilization of wood. Five species of Quercus variabilis, Q. aliena, Q. serrata, Q. mongolica, Q. acutissima belong to Lepidobalanu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Relationship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to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was analyzed using stepwise regression technique. All possible combination of 21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gressed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The summarized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 In the proportion of wood structural elements,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appeared to be proportion of ray in earlywood in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proportion of wood fiber in latewood in Q. aliena and Q. serrata and proportion of vessel in earlywood in Q. mongolica respectively. 2. In the size of wood element and its structure,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were microfibril angle in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and length of wood fiber in Q. aliena and Q. acutissim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