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techniques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31초

Detection of HER2 Status in Breast Cancer: Comparison of Current Methods with MLPA and Real-time RT-PCR

  • Pazhoomand, Reza;Keyhan, Elahe;Banan, Mehdi;Najmabad, Hossein;Karimlou, Masoud;Khodadad, Faranak;Iraniparast, Alireza;Feiz, Farnaz;Majidzadeh, Keivan;Bahman, Ideh;Moghadam, Fatemeh Aghakhani;Sobhani, Atoosa Madadkar;Abedin, Seyedeh Sedigheh;Muhammadnejad, Ahad;Behjat, Farkhond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621-7628
    • /
    • 2013
  •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HER) status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breast cancer. There is no globally accepted method for determining its status, and which method is most precise is still a matter of debate. We here analyzed HER2 mRNA expression by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CR (qRT-PCR) and HER2 DNA amplification using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In parallel, we performed a routine evaluation of HER2 protein by immunohistochemistry (IHC).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RT-PCR and MLPA techniques, a combination of IHC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was used, substituting FISH when the results of IHC were ambiguous (2+) and for those IHC results that disagreed with MLPA and qRT-PCR, this approach being termed IHC-FISH. The IHC results for four samples were not compatible with the MLPA and qRT-PCR results; the MLPA and qRT-PCR results for these samples were confirmed by FISH. The correlations between IHC-FISH and qRT-PCR or MLPA were 0.945 and 0.973, respectively. The ASCO/CAP guideline IHC/FISH correlation with MLPA was (0.827) and with RT-PCR was (0.854).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HC results (0, 1+ as negative, and 3+ as positive) and qRT-PCR and MLPA techniques were 0.743 and 0.831, respectively. Given the shortcomings of IHC analysis and greater correlations between MLPA, qRT-PCR, and FISH methods than IHC analysis alone with each of these three methods, we propose that MLPA and real-time PCR are good alternatives to IHC. However a suitable cut-off point for qRTPCR is a prerequisite for determining the exact status of HER2.

단순화된 Pockels cell Q-switch용 구동기 개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simple driver for the Pockels cell Q-switch and Its characteristics)

  • 박구렬;정종한;홍정환;김병균;문동성;김휘영;김희제;조정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2116-2118
    • /
    • 2000
  • In the technique of Q-switching, very fast electronically controlled optical shutters can be made by using the electro-optic effect in crystals or liquids. The driver for the Pockels cell must be a high-speed, high-voltage switch which also must deliver a sizeable current. Common switching techniques include the use of vacuum tubes, cold cathode tubes, thyratrons, SCRs, and avalanche transistors.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SCRs, avalanche transistors, and MOSFETs have been successfully employed to drive Pockels cell Q-switch. In this study, a simple driver for the Pockels cell Q-switch was developed by using SCRs, pulse transformer and TTL ICs. The Pockels cell Q-switch which was operated by this driver was employed in pulsed Nd:YAG laser system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is Q-switch. And we have investigate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is Q-switch as a function of the Q-switch delay time to Xe flashlamp current on.

  • PDF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조재창;조우;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1-134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하여 25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0$m^2$)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하여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소나무-쇠물푸레군집, 소나무-쇠물푸레-참나무류군집, 소나무-활엽수혼효림군집 등 5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참싸리, 진달래$\longrightarrow$쪽동백나무, 국수나무, 산초$\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로 추정되었다. 환경인자인 토양함수량과 토양산도는 군집간 차이가 없었다.

  • PDF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and Rapid Molecular Detection of Xanthomonas euvesicatoria Using Unique ATP-Dependent DNA Helicase recQ, hrpB1, and hrpB2 Genes Isolated from Physalis pubescens in China

  • Faisal Siddique;Yang Mingxiu;Xu Xiaofeng;Ni Zhe;Haseeb Younis;Peng Lili;Zhang Junhu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191-206
    • /
    • 2023
  • Ground cherry (Physalis pubescens) is the most prominent species in the Solanaceae family due to its nutritional content, and prospective health advantages. It is grown all over the world, but notably in northern China. In 2019 firstly bacterial leaf spot (BLS) disease was identified on P. pubescens in China that caused by both BLS pathogens Xanthomonas euvesicatoria pv. euvesicatoria resulted in substantial monetary losses. Here, we compared whole genome sequences of X. euvesicatoria to other Xanthomonas species that caused BLS diseases for high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genomic sequences through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and BLAST comparison. Molecular techniques and phylogenetic trees were adopted to detect X. euvesicatoria on P. pubescens using recQ, hrpB1, and hrpB2 genes for efficient and precise identification. For rapid molecular detection of X. euvesicatori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al-time PCR techniques were used. Whole genom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genome of X. euvesicatoria was more closely relative to X. perforans than X. vesicatoria, and X. gardneri with 98%, 84%, and 86% ANI, respectively. All infected leaves of P. pubescens found positive amplification, and negative controls did not show amplification. The findings of evolutionary history revealed that isolated strains XeC10RQ, XeH9RQ, XeA10RQ, and XeB10RQ that originated from China were closely relative and highly homologous to the X. euvesicatoria. This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 to researchers on genomic variation in BLS pathogens, and further molecular evolution and identification of X. euvesicatoria using the unique target recQ gene through advance molecular approaches.

Q-러닝 기반의 선박의 최적 경로 생성 (Generation of Ship's Optimal Route based on Q-Learning)

  • 이형탁;김민규;양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0-161
    • /
    • 2023
  • 현재 선박의 항해계획은 항해사의 지식과 경험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박 자율운항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항해계획의 자동화 기술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기법 중 하나인 Q-러닝을 기반으로 선박 최적 항해 경로를 생성하고자 한다. 강화학습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경험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 PDF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Food-truck Customers Using Q Methodology)

  • 김찬우;정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14-524
    • /
    • 2018
  • 본 연구는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푸드 트럭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유형화 하며, 그 유형들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10) : 푸드 트럭 존 접근성 선호 형(Food truck zone accessibility preferred type), 제 2유형 (N=8) : 복합 엔터테인먼트 체험 형(Complex entertainment experience type), 제 3유형(N=9) : 메뉴 위생중점 이용 형(Menu hygiene center use type), 제 4유형(N=3) : 패스트푸드 선호 형(Fast food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푸드 트럭 및 외식 관광 분야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 적용 (Subjectivity Study for Michelin Guide Restaurant Customers: Applying the Q Methodology)

  • 김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5-646
    • /
    • 2018
  • 본 연구는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서울직역 외식경영학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6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N=3) : 레스토랑 위생 추구형(Restaurant hygiene-seeking type), 제 2유형(N=6) : 레스토랑 맛 추구형(Restaurant taste-seeking type), 제 3유형(N=5) : 레스토랑 가격 비교 선택형(Select Restaurant Compare Prices type), 제 4유형(N=3) : 레스토랑 가격대비 맛 추구형(Pursuing taste for restaurant price type), 제 5유형(N=2) : 레스토랑 풀 서비스 선호형(Restaurant full service select type), 제 6유형(N=3) : 레스토랑 메뉴구성 선택형(Restaurant menu configuration Select)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직접 변환 수신기를 위한 Six Port에서의 I와 Q채널의 생성 (I/Q channel regeneration in 6-port junction based direct receiver)

  • 김세영;김낙명;김영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6호
    • /
    • pp.1-7
    • /
    • 2004
  • 직접 변환 방식 수신기법은 SDR기반 미래 광대역 또는 다중 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요한 해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의 대역폭을 가지면서도 시스템의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SDR기반 직접 변환 수신기에 적용가능한 I 및 Q 신호의 생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실제의 SDR 기반 통신 환경을 고려한 직접 변환 SDR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수신기에서의 위상 오류의 영향을 분석하며 이에 따른 I/Q 채널의 준최적 재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실시간 early-late compensator 구조를 통하여 송신단과 수신단의 위상 오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고 랜덤한 채널 잡음환경에서도 보다 안정된 성능을 유지하게 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45{\~}55$도의 랜덤 위상 오류가 난 경우,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여 약 4dB이상의 성능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박 방사소음의 Tonal 신호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onal Signal Automatic Classification of Ship-Radiated Noise)

  • 이필호;박규칠;윤종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99-607
    • /
    • 2006
  • 여러 형태의 Tonal 신호로 나타내어지는 선박 수중방사소음 원인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Tonal 신호를 잡음으로부터 분리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Tonal 신호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신호의 발생기원이 속력 종속적인지 속력 비종속적인지 여부를 Q factor및 신경회로망의 패턴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치 시뮬레이션 및 실제 수중에서 측정된 선박소음에 적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용성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계통손실 감소를 위한 전력용 콘덴서의 適正 再配置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Loss Minimizing Algorithm by Optimal Re-location of Static Condenser Using System Power Loss Sensitivity)

  • 이상중;김건중;정태호;김원겸;김용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4권1호
    • /
    • pp.21-24
    • /
    • 1995
  • The larger and the more complicated the system size and configuration grow, the more serious the system loss problem becomes. Exessive system loss causes severs system voltage depression, which even may result in system voltage collapse.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tool for minimizing the system power loss by optimal re-location of the static condenser based on the system loss sensitivity index .lambda.$_{Q}$.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and amount of VAR investment for minimizing the system loss by priority of .lambda.$_{Q}$ index given for each bus. Several computational techniques for avoiding divergency of the load flow solution are proposed. The loss sensitivity index .lambda.$_{Q}$ uses information of normal power flow equations and their Jacobians. Two case studies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proposed.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