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구조

검색결과 972건 처리시간 0.024초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Inquiry of the Perception of Death in School Age)

  • 전영란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13-28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주관적 구조와 유형을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에게 죽음인식을 이해하며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주관적인 구조와 유형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모집단은 학령기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중립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132개의 진술문을 수집하였으며. Q표본은 비 구조화된 방법을 통해 23개의 진술문(Q-표본)을 도출하였다, P표본은 학령기 아동 31명(8세-13세)이었으며 Q카드를 이용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유형은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기능적형으로 죽음의 구성요소인 비역행성, 보편성, 비기능성, 인과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2 유형은 사후 세계형으로 기독교의 종교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과 직계가족의 죽음을 경험을 했으며 사후세계에 대하여 강한 내세 중심의 죽음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3 유형은 종교형으로 죽어서도 가족과 친구들을 지켜볼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하기 때문에 사후세계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이 확실한 유형이었다. 제 4 유형은 공포형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가 타 유형에 비하여 강한 유형이었다. 제 5 유형은 현실형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강한 긍정적인 동의를 보이는 유형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주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실무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문헌이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죽음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의 차원에서 좀 더 확대되어 학령기 아동이 인지하는 죽음의 정의, 사후세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수준을 이해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령기 아동들의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여,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죽음 경시풍조 및 만연된 자살을 예방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되는 역할을 담당 할 것이다. 간호이론 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적 구조와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고 탐색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모델 구축과 나아가 생명존중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연구 면에서 학령기 아동에게 유형별로 긍정적인 죽음인식과 더 나아가 생명 존중의 측면에서 심리사회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간호중재 전략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한국 신갈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신구택;전창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00-107
    • /
    • 2022
  • 신갈나무는 우리나라의 활엽수 중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중요한 수종이다.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림에 대한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면서 출현임목의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신갈나무가 50% 이상 우점하고 있는 임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신갈나무림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총 1,421개소이다.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신갈나무림은 해발 800 m 이상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평균 35%)을 보이고 있어 해발고가 높은 지역에서 주로 우점하고 있었다. 사면방향을 보면, 해발 600 m 이하에서는 주로 북사면에서, 그 이상부터는 남사면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림의 토성은 주로 미사질양토(34%), 양토(33%), 사양토(26%)이며, 토양양분 수준은 보통이었다. 신갈나무림에서 신갈나무 외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소나무, 굴참나무, 당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와 굴참나무는 신갈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졸참나무는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당단풍나무와 물푸레나무는 소경급으로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조릿대,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 신갈나무, 쇠물푸레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계룡산국립공원 동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Dongwol Valley at the Geyryo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조현서;박은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6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41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서어나무군락(I), 때죽나무군락(II), 소나무A군락(III), 상수리나무군락(IV). 소나무-굴참나무군락(V), 소나무B군락(Ⅵ). 그리고 신갈나무군락(Ⅶ)의 7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각의 군락은 상대우점치를 이용하여 군집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동월계곡의 주요 식생의 임령은 약 30~50년 안팎으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textrm{cm}^2$) 평균 출현종수는 15.6$\pm$4.7종. 평균 출현개체수는 124.9$\pm$36.4주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 동월계곡의 식생천이는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를 거쳐 서어나무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Food-truck Customers Using Q Methodology)

  • 김찬우;정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14-524
    • /
    • 2018
  • 본 연구는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푸드 트럭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유형화 하며, 그 유형들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10) : 푸드 트럭 존 접근성 선호 형(Food truck zone accessibility preferred type), 제 2유형 (N=8) : 복합 엔터테인먼트 체험 형(Complex entertainment experience type), 제 3유형(N=9) : 메뉴 위생중점 이용 형(Menu hygiene center use type), 제 4유형(N=3) : 패스트푸드 선호 형(Fast food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푸드 트럭 및 외식 관광 분야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나의 배우자를 생각해보다: 주관성 연구를 활용하여 (Let's Think about My Partner: Using the Subjective Study)

  • 이도희;김다요;박행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20-32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을 통해 부부의 인연을 맺은 배우자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유형화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가 있는 기혼자 42명을 P 표본으로 하여 최종 도출된 42개의 Q 표본을 9점 척도 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우자에 대한 주관성은 2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 I(n=36)은 '사랑-인연형', 유형 II(n=6)는 '실타래-책임자형'으로 정의되었다. 유형 I은 배우자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면서 배우자를 인연과 운명으로 인식하였고, 유형 II는 배우자를 실타래를 풀 듯 노력이 필요한 대상이며 책임져야 할 존재로 여기는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2가지 유형 간의 구조적인 차이점이 발견되었고, 유형에 따른 특성에 기초하여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SDN에서의 다자간 접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노드의 개념적 설계 - 제2부 : 서비스노드 제어절차에 관한 연구 - (Conceptual Design on the ISDN Service Node for Multi-party Connection Services -Part II. A Study on the Control Procedures for the Service Node -)

  • 옥승수;강민석;조규섭;박병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42-253
    • /
    • 1994
  • 기존의 ISDN내에서 다자간 접속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다자간 회의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논문 제 1부에서 제안한 서비스노드의 기능 제공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접속 제어 및 서비스 제어절차와 메시지에 대핵 정의하였다. 서비스노드에 필요한 접속 제어절차는 기존의 ISDN 가입자 및 국간 공통선 신호 방식 관련 CCITT권고안인 Q.931과 Q.764를 기본으로 다자간 접속을 위한 접속 제어 절차를 부가 하였으며, 요구되는 서비스 제어 기능에 EK라 별도의 서비스 제어 절차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제어 메시지는 Q.931과 Q.763의 메시지 포맷내에서 가입자간 신호를 위해 제공되어지는 영역을 활용하여 구성하였으며, EK라서 기존의 신호 체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서비스노드와 연동학겨 다자간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 구현을 위해 필요한 기능과 구조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 PDF

직접 변환 수신기를 위한 Six Port에서의 I와 Q채널의 생성 (I/Q channel regeneration in 6-port junction based direct receiver)

  • 김세영;김낙명;김영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6호
    • /
    • pp.1-7
    • /
    • 2004
  • 직접 변환 방식 수신기법은 SDR기반 미래 광대역 또는 다중 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요한 해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의 대역폭을 가지면서도 시스템의 유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SDR기반 직접 변환 수신기에 적용가능한 I 및 Q 신호의 생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실제의 SDR 기반 통신 환경을 고려한 직접 변환 SDR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수신기에서의 위상 오류의 영향을 분석하며 이에 따른 I/Q 채널의 준최적 재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실시간 early-late compensator 구조를 통하여 송신단과 수신단의 위상 오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고 랜덤한 채널 잡음환경에서도 보다 안정된 성능을 유지하게 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45{\~}55$도의 랜덤 위상 오류가 난 경우,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여 약 4dB이상의 성능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들의 음식배달대행서비스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Food Delivery Service)

  • 김호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92-101
    • /
    • 2019
  • 본 연구는 음식점에 직접 고용되지 않은 직원이 제공하는 음식배달대행서비스 행태에 관한 대학생들의 주관적인 의견과 인식의 구조를 유형별로 도출하기 위해 Q-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P샘플을 선정하고 분류작업을 거치는 Q-sort를 PC QUAN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Q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N= 7): 효율 추구형, 제 2유형(N= 19): 편익 추구형,〕제3유형〔(N= 6): 가성비 추구형으로 각 각의 유형별로 다른 특징에 기인하여 요인을 명명하였다. 각 유형별 특징은 제 1유형: 소비자와 외식업소 모두에게 효율적인 측면을 인식하는 유형, 제 2유형; 신속, 편리, 유익함의 편익을 제공받는 측면을 인식하는 유형, 제3유형; 인건비 절약에는 기여 하지만 소비자에게 부담가중의 초기 시장에서 가격과 품질 측면을 인식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3가지 유형에 따른 음식배달대행서비스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발전 방향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좋은 죽음'에 관한 노인의 인식유형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Pattern about Good Death of the Elderly)

  • 김현정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613-63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죽음에 관한 노인들의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좋은 죽음에 관한 자아참조적 진술문을 수집하기 위해 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조사에는 죽음관련 직간접적 경험이 있는 관련 업종 종사자, 배우자 및 부모의 죽음을 직접 경험한 자,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가, 노인당사자가 참여하였고, 개별면접 및 집단면접으로 이루어졌다. Q표본은 34개로, 60대에서 80대 남녀 총 30명을 대상으로 Q분류조사를 실행하였다. QUAN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설명력과 해석가능성을 고려하였을 때 3개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변량의 54.64%를 설명하였다. 노인이 인식한 좋은 죽음은 두려움 없는 죽음(유형 1), 짐이 되지 않는 죽음(유형 2), 오래 살다 죽는 죽음(유형 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논의와 함께 노년기의 죽음의 질 제고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구조 (A Study of the Subjectivity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 김분한;김윤숙;전혜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92-10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categorize the subjectivity of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and to thereby underst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quality of life desires. Methods: This study used a Q-methodology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A Q sample was collected from in-depth and objective interviews and WHOQLO. Fourteen participants rated 28 selected Q-statements on a scale of 1 - 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C Quanl. Result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4 factors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These categories were labeled 'hopelessness-oriented', 'relationship/adaptation-oriented', 'physical suffering-oriented', and 'self satisfaction-orientated'. Conclusion: Some of the factors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were determined through this research.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set up and apply different the quality of life between men and women based on thi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toward quality of life promotion program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four factors of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