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03.320

Let's Think about My Partner: Using the Subjective Study  

Lee, Doh-Hee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Kim, Da-Yo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Park, Haeng-Nim (침례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and classify the types of the subjectivity on the perception of the spouse using Q methodology. In this study, 42 Q statements were selected as the Q sample through interview. 42 people who married person with their spouse as P samples were forced to distribute 42 Q samples on 9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C QUAN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defined as two distinctive types. First, Type I(n=36) was defined as 'Love-Ties Type' and Type II(n=6) as 'Skein of thread-Person in charge Type'. Type I perceived their spouse as fate and ties emphasizing love for their spouse. And Type II recognized their spouse as someone requires effort like unravelling a thread and a person to be responsible for. In the result of this stud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were found. And it will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support a healthy and happy marriage.
Keywords
Partners; Subjective Study; Q methodology; Abductive Approa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ttp://100.daum.net
2 http://kosis.kr
3 동아일보, 오피니언, 2017.10.31.
4 유순희, 황혼이혼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서덕주,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 : '나'를 위하여 '배우자'를 위하여 '다름의 인정'에서 시작되는 행복한 부부관계, 행복에너지, 2016.
6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제 46권, 제3호, pp.133-161, 2008.
7 J. W. Creswell, Research Desig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1994.
8 이도희, 조우연, "BSC관점의 사회복지법인 운영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회계연구, 제17권, 제2호, pp.117-145, 2012.
9 Pierre Thevenaz,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후설에서 메를로퐁티까지, 그린비, 2011.
10 이도희, 이동규,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비영리회계 인식의 가설 발견적 접근," 회계연구, 제12 권, 제1호, pp.281-308, 2005.
11 이도희, 김선경, "Q방법을 활용한 재무행정 인식의 유형화,"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59-178, 2014.
12 이도희, 김선경, "사회적기업 운영에 대한 주관성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19-43, 2016.
13 W. Stephenson,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18, 1968.
14 W. Stephenson, Scientific Creed. Philosophical Credo, The Psychological Record 11, 9-17, 1961.
15 R.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New Haven, Mass, Yale University Press, 1980.
16 김헌수, 원유미, Q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17 Keith P. Sanders, Sports news reading: A Q-Metodological Approach, Doctor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1967.
18 Simaon Wattes, Paul Stenner, Q방법론 연구의 실행:이론․방법․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9 김흥규, Q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션북스(주), 2008.
20 김흥규, Q방법론의 과학정신탐구, 공주대학교 미발간 특강자료, 2003(한양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1994, 언론학보 13 : 5-44 인용).
21 정연선, 권혜진, 백경아, "여대생의 체중조절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544-554, 2016.   DOI
22 김윤정, "임상실습전 간호대학생의 전문 간호사 이미지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24-234, 2014.   DOI
23 안이수, "성소수자에 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호, pp.527-539, 2018.   DOI
24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논문집, Vol.6, No.1, pp.1-11,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