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thium sp.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재배용 미생물 제품의 식물보호율과 변이계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lant Protection Rate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Microbial Products for Ginseng Cultivation)

  • 이병대;밝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127-131
    • /
    • 2009
  • 시판되고 있는 인삼재배용 미생물제제에 대하여 인삼묘 입고병억제효과를 유묘포트시험으로 검정하였다. Rhizoctonia solani에 대하여는 리조렉스 (tolclofos-methyl)와 바리문 (validamycin-A)을 비교하여 검정하고 Pythium에는 리도밀 (metalaxyl)을 비교하였다. 리조렉스와 비교한 시험에서만 처리간 평균보호율 (Pm)의 차이에 유의성이 있었다. 최고효과를 보이는 미생물제 C-ISR2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두 개의 시험에서 순보호율 (net Pm-total Pm-control Pm)이 33%와 33.6%였다. 대조구의 Pm이 58.6%인 경우 총보호율이 91.6%로, 환경조건이 좋은 포장에서는 미생물제로만 보호가 가능함을 나타낸다. C-ISR2의 Pythium에 대한 순 Pm은 26.4%였다. 한 병원균에 대한 미생물제의 순보호율은 일정한 것으로 보였다. Pm과 CV간에는 세 번 다 부의 직선상관관계를 부였다. 이는 미생물제나 화학약제가 모두 보호체계가 같으며 미생물제제가 미세환경에 예민하여 변이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제와 대조구의 Pm과 CV의 상관식에서 CV=0에서의 절편 값은 미생물제의 이론적 최대보호율이 된다. 기본 발병환경의 개선 (무처리구의 보호율증대)에 따라 기존 미생물제제로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다.

수종의 식물생장촉진 근권미생물의 분리 및 근권처리가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묘의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Selection and Bacterialization into Rootzone of the Various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n Peatmoss Compost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 조자용;김광수;정순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1-160
    • /
    • 1997
  • Azospirillum sp., photosynthetic bacteria(Rhodopseudomonas sp.) and Pseudomonas sp. were separated and screened from soil and soilless culture, and identificated. Th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root-infected pathogens and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s of the cultured solution of the starins(5.0$\times$105 cells/$m\ell$) in the peatmoss compost on the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seedling were investigated. Azospirillum sp. and Pseudomonas sp. showed a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Fusarium sp., Pythium sp. and Rhizoctonia sp in thed ranges of 51.0% to 72.0% on potato dextrose agar medium, however photosynthetic bacteria had not antifungal activities. When cultured solution of Azospirillum sp., photosynthetic bacterial and Pseudomonas sp. were bacterialized by mixing with peatmoss compost, early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leaf area, root length, fresh anf dry weight of leaf, stem and root were promoted, especially photosynthetic bacteria had a the best plant growth promting activities.

  • PDF

방선균 A3265 균주에 의한 인삼 잘록병의 방제 (Control of Ginseng Damping-off by Streptomyces sp. A3265)

  • 우이음;이강선;이인경;최재을;윤봉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3-195
    • /
    • 2016
  • 한국의 인삼(Panax ginseng)은 다양한 생리학적, 약리학적 활성을 지닌 것으로 입증되어 왔다. 인삼 잘록병은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sp.과 같은 식물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며 인삼 종자에 치명적이다. 잘록병은 일반적으로 화학농약을 이용하여 방제하고 있다. 또한 생물학적 방제는 인삼 잘록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며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진은 인삼 잘록병 방제를 위한 생물 방제제로서 잠재성을 지닌 토양 세균을 탐색하였으며, 그 결과 항균물질 guanidylfungin과 methylguanidylfungin을 생산하는 방선균 A3265 균주를 선발하였다. 본 연구는 방선균 A3265 균주의 인삼 잘록병 방제 활성을 포장에서 조사한 것이다. 그 결과 인삼종자를 방선균 A3265 균주의 배양액에 침지한 후 파종하였을 때 잘록병의 발병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방선균 A3265 균주가 잘록병 방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Screening of an antagonist of Pythium ultimum :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biotic effective to the oomycetes fungi

  • Yang, Jin-Ok;Park, Sang-Ho;Park, Dong-Jin;Kim, Chang-Ji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35-135
    • /
    • 1998
  • To find an antagonist of Pythium ultimum, the causal agent of damping-off, numerous actinomycete strains were screened for in vitro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the target fungus and producing bioactive metabolites. A strain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G60655 was isolated and used for further antagonistic efficacy. The degree of antagonism between the fungus and G60655 was affected by the medium used. Furthermore, the preinoculation of the antagonis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exhibit the maximum efficacy of antagonsim against the fungus. From the culture broth, a bioactive metabolite was detected and purified by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The FAB-MS spectrum of the active compound showed a molecular ion peak at m/z 1101 (M + H)$\^$+/, suggesting the molecular weight of 1100. The UV absorptions at 242 and 323 nm indicated the presence of aromatic functions. The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identified as echinomycin, a depsipeptide antibiotic by spectroscopic studies including various NMR measurements. Echinomycin was inactive against several soil born fungi, but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 ultimum and its related oomycetous fungi.

  • PDF

마늘오일을 이용한 오이와 토마토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by Garlic Oil in Cucumber and Tomato)

  • 서상태;이중섭;박종한;한경숙;장한익
    • 식물병연구
    • /
    • 제12권1호
    • /
    • pp.51-54
    • /
    • 2006
  • 4종류의 식물 추출 오일(마늘, 생강, 계피, 레몬그라스)에 대한 실내 항균효과를 5종의 식물병원세균과 4종의 식물병원진균에 대해 조사하였다. 4종의 오일중 마늘오일과 계피오일의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마늘오일은 식물병원세균인 Agrobacterium tumefaciens, Erwinia carotovora, Ralstonia solanacearum, Xanthomonas campestris와 식물병원진균인 Phytophthora infestans, Fusarium oxysporum, Collectotricum sp.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cidovorax avenae와 Pythium sp.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없었다. 마늘오일의 오이 흰가루병(Sphaerotheca fusca)과 토마토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rum)에 대한 포장 방제효과 실험결과 각각 70.0-74.6%와 71.2%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첨가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미생물 제제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f Seedling Damping-off of Cucumber with Several Microbial Products)

  • 이종문;도은수;백수봉;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이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의 효율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러 미생물 제제인 Trichoderma harzianum, Streptomyces sp., Bacillus sp.,(그린바이오텍, 경기도 파주)에 톱밥, 쌀겨 등이 첨가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 첨가한 톱밥 자체만으로도 P. ultimum 균사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Green-all T(Trichoderma harzianum), Green-all S(Streptomyces), Green-all G(Bacillus)제제들은 오이 모잘록병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종자를 파종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실험에 있어서 톱밥, 쌀겨 등을 Green-all T, Green-all S 제제에 첨가한 것은 입모율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 단독처리에 비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Green-all G 제제는 아미노닥터를 첨가하여 주면, 단독 처리시의 42% 이병율에서 2% 이병율로 크게 감소하여, 오이모잘록병에 대한 오이묘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 실험에서 Green-all T 제제에 톱밥을 첨가하면, 발병도(disease index)가 56으로 5로 감소하여, P. ultimum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가 톱밥이 첨가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이는 유기물 첨가에 의하여 생물하걱 방제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음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 하겠다.

Antifungal Activity of Lichen-Forming Fungi Isolated from Korean and Chinese Lichen Species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Oh, Soon-Ok;Jeon, Hae-Sook;Lim, Kwang-Mi;Koh, Young-Jin;Hur, Jae-Seo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81-385
    • /
    • 2006
  • Antifungal a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lichen-forming fungi(LFF) was evaluated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of Botryosphaeria dothidea, Botrytis cinerea, Diaporthe actinidiae, Pestalotiopsis longiseta, Pythium sp., Rhizoctonia solani, and Sclerotium cepivorum. The LFF were isolated from Cladonia scabriuscula, Melanelia sp., Nephromopsis asahinae, Nephromopsis pallescens, Parmelia laevior, Pertusaria sp., Ramalina conduplicans, Ramalina sinensis, Ramalina sp., Umbilicaria proboscidea and Vulpicida sp. with discharged spore method. The isolates were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KoLRI) i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LFF of Melanelia sp., P. laevior, Pertusaria sp., R. conduplican and Ramalina sp. exhibit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ll of the pathogenic fungi examined. Among them, LFF of P. laevior showed more than 90% of inhibition in fungal hyphae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The results imply that LFF can be served as a promising bioresource to develop novel biofungicides. Mass cultivation of the LFF is now under progress in laboratory conditions for chemical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substances.

Potential of the Volatile-Producing Fungus Nodulisporium sp. CF016 for the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of Apple

  • Park, Myung-Soo;Ahn, Ji-Ye;Choi, Gyung-Ja;Choi, Yong-Ho;Jang, Kyoung-Soo;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53-259
    • /
    • 2010
  • In vitro and in vivo mycofumigation effects of the volatileproducing fungus Nodulisporium sp. CF016 isolated from stem of Cinnamomum loureirii and the role of its volatil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The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Nodulisporium sp. CF016 inhibited and killed a wide range of plant and storage pathogens including to Pythium ultimum, Rhi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totrichum coccodes, Magnaporthe oryzae, Alternaria panax, Botrytis cinerea and Penicillium expansum. Mycofumigation with wheat bran-rice hull cultures of Nodulisporium sp. CF016 showed in viv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gray mold caused by B. cinerea and blue mold caused by P. expansum of apple.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 produced by Nodulisporium sp. CF016 was $\beta$-elemene followed by 1-methyl-1,4-cyclohexadiene, $\beta$-selinene and $\alpha$-selinene. Nodulisporium sp. CF016 could be an attractive mycofumigant in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s of various fruits including apple.

Bacillus sp. GJ-1의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GJ-1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이건주;한준희;신종환;김흥태;김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2-117
    • /
    • 2013
  • Phytophthora capsici는 고추에 역병을 일으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식물병원균이다. 최근 환경문제로 화학 농약을 대체하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가 가장 바람직한 방제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역병에 피해를 보이지 않는 건전한 고추재배지 근권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근권세균을 분리하였다. 총 360여점의 미생물 콜로니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콜로니의 색깔과 모양 등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총 12개의 그룹으로 재분류하였다. 그 중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in vitro 실험에서 고추역병균에 길항효과를 보인 GJ-1, GJ-11, GJ-12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길항효과가 없는 균주 2개(GJ-4, GJ-5)를 대조군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5균주에 대하여 sidero-phore의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과 GJ-5 두 균주가 CAS 배지에서 orange halo zone을 크게 형성하여 siderophore를 많이 분비하는 균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토양중의 난용성 인산염을 가용화시켜 식물의 생장촉진효과를 보이는 phosphate solubilization 활성을 검정한 결과 GJ-1, GJ-5, GJ-12 균주가 난용성 인산염에 대한 분해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 capsici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siderophore를 생산하고 인산가용화 능력이 뛰어난 유용미생물 GJ-1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GJ-1균주를 동정하여 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GJ-1의 길항작용은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Fusarium solani에 대한 식물병원성 진균에서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Bacillus sp. GJ-1은 생물학적 방제제로 고추역병균을 포함하여 다른 토양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에 이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eptomyces sp. AC-3을 이용한 배추 무사마귀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Cabbage Clubroot by the Organic Fertilizer Using Streptomyces sp. AC-3.)

  • 주길재;김영목;김정웅;김원찬;이인구;최용화;김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2-178
    • /
    • 2004
  • 본 연구는 배추 무사마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수행되었다. 배추 무사마귀병균 Plasmodiophora sp외 길항미생물은 낙엽부식토양에서 분리한 350여 종의 토양미생물 중에서 가장 길항력이 높은 방선균 AC-3균주를 이용하였고, AC-3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방법으로 Streptomyces sp.로 동정되었다. Streptomyces sp. AC-3은 배양액 $m\ell$당 9.3 units의 chitinase를 생산하였다. 그 결과 배추 무사마귀병균 Plasmodiophora sp.의 배양액에 Streptomyces sp. AC-3을 접종하고 배양하면 Plasmodiophora sp.의 균체가 팽윤되거나 세포벽이 용해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Streptomyces sp. AC-3은 전딘도 배추 무사마귀병이 만연했던 포장에서 재배 시험하기 위해 제형화시키고 유기질비료에 첨가하여 이용하였다. 미생물제제를 첨가하지 많고 제조한 유기질비료(H-1)(대조구)와 미생물제제 첨가하여 제조한 유기질비료(H-2)(처리구)에 의한 포장시험에서 배추의 생육은 재배 40일 까지는 거의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배 60일에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추의 병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무사마귀병은 H-1 비료 처리구에서는 36.17% 병이 발생되었으나 H-2 비료 처리구에서는 18.28% 발병되어 약 5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균핵병, 잎마름병, 그루썩음병 등에서도 길항효과를 나타내어 생물학적 방제가 가능한 균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