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us spp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Species of Korean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

  • Song, Ji-Ae;Park, Won-Kyu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86-498
    • /
    • 2010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후기 조선시대 (주로 19세기) 목가구 82점에 사용된 수종을 목재해부학적으로 식별한 결과, 총 22종의 수종이 나왔다. 침엽수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전나무속, 은행나무, 가문비나무속, 비자나무, 편백나무속, 외래산소나무로 8종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는 느티나무, 피나무속, 오동나무속, 오리나무속, 참죽나무, 가래나무속, 감나무속, 배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사시나무속, 느릅나무속, 음나무 등 13종이, 그리고 외떡잎식물로 대나무 1종이 확인되었다. 수종의 점유율로 보면 소나무류(43%), 느티나무(9%), 오동나무속(7%), 피나무속(7%) 순이었다. 한 수종만 쓰인 가구가 37점(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대 6수종까지 한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지역별 반닫이에 사용된 수종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북부지방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피나무속과 소나무류가, 중남부지역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모두 공통적으로 소나무류와 느티나무가 사용되었다. 부재 용도에 따라 골재와 판재에는 소나무류,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 대체로 단단하고 강도가 강한 목재가, 그리고 화장재로는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거나 독특한 재색을 가지거나, 가공하기 용이한 산공재 등 다양한 수종이 사용되었다. 서랍재의 재료는 가볍고,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비중이 낮고, 변형률이 적은 오동나무속 또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었다. 황해도 반닫이와 박천 반닫이에는 추운 지역에서 자라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어 산지가 북한임이 제시되었다.

  • PDF

Pear Skin Stain Caused by Mycosphaerella graminicola on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 Nam, Ki-Woong;Oh, Soh-Young;Yoon, Deok-H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29-235
    • /
    • 2014
  • Pear skin stains on 'Niitaka' pears, which occur from the growing stage to the cold storage stage, reportedly negatively influence the marketing of pears. These stains on fruit skin are likely due to a pathogenic fungus that resides on the skin and is characterized by dark stains; however, the mycelium of this fungus does not penetrate into the sarcocarp and is only present on the cuticle layer of fruit skin. A pathogenic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skin lesions of infected fruits, and its pathogenicity was subsequently tested. According to the pathogenicity test, Mycosphaerella sp. was strongly pathogenic, while Penicillium spp. and Alternaria spp. showed modest pathogenicity. In this present study, we isolated the pathogenic fungus responsible for the symptoms of pears (i.e., dark brown-colored specks) and identified it as Mycosphaerella graminicola based on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beta-tubulin gene. M. graminicola was pathogenic to the skin of 'Niitaka' pears, which are one of the most widely growing varieties of pears in South Korea.

중부지방 낙엽조경수목의 열매색 특성 및 지속 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in Middle area of Korea)

  • 서병기;심경구;정해준;심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4-154
    • /
    • 1995
  • The fruit color characteris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deciduous woody landscape pl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survey in Suwon region from January 1, 1992 to March 20, 1993.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was as follows; The total fruit color persisting period was about 320 days from May 1, 1992 when Prunus mume was beginning of fruit coloring, to March 20, 1993 when the fruits of Platanus occidentalis and platanus X acerifolia were persisting. And the plants of fruit persisting period over 60 days after leaf falling were Vibumum erosum, Ilex serrata,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Platanus X acerifolia, Platanus occidentalis, Berberis thunbergii 'Atropupurea', Ligustrum obtusifolium. According to the KBS standard color number, 52.6% of of the fruit color were red, 18.9% yellow, 11.6% black, green 9.5%, white 2.1%, violet 1.1%, and red is followed black 4.2%. Evodia daniellii,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Ilex serrata, Ginkgo biloba, Lindera obtusiloba, and Lindera erythrocarpa should be planted male and female species together for fruits. We got the new information on the fruit color characteritics and persisting period of Malus 'Hopa', Malus 'Almey', Malus 'Pioneer X', Acer rubrum, Malus prunifolia, Pyrus serotina, Berberis thunbergii 'Atropurpurea', Vibumum rhytidophyllum, Rosa spp. Vitis vinifera, Vaccinium angustifolium, Ilex verticillata 'Christmas Cheer', Magnolia stellata, Aronia arbutifolia, Sorbus alnifolia, Lonicera japonica var. aueroreticulta, and Ligustrum X vicaryi. And we need to introduce new cultivars of woody landscape plants including Malus spp, Berberis spp, Sorbus alnifolia yellow autumn leaf clone etc. for the better planting design. The fruit persisting period of woody landscape plants studied by fruit name was that sorosis 276 days, samara 155 days, legume 153 days, hip 133 days, pome was 124 days, drupe 92 days, berry 73 days, capsule 67 days, follicle 55 days and nut 52 days respectively.

  • PDF

Acaricidal Effects of Quinone and Its Congeners and Color Alteration of Dermatophagoides spp. with Quinone

  • 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8호
    • /
    • pp.1394-1398
    • /
    • 2007
  • Acaricidal activity of the active constituent derived from Pyrus ussuriensis fruits against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mercial benzyl benzoate. The $LD_{50}$ value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btained from the aqueous extract of P. ussuriensis fruits was 9.51 and $8.59{\mu}g/cm^3$ against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The active constituent was identified as quinone by spectroscopic analyses. On the basis of $LD_{50}$ values with quinone and its congeners, the compound most toxic against D. farinae was quinone ($1.19{\mu}g/cm^3$), followed by quinaldine (1.46), benzyl benzoate (9.32), 4-quinolinol (86.55), quinine (89.16), and 2-quinolinol (91.13). Against D. pteronyssinus, these were quinone ($1.02{\mu}g/cm^3$), followed by quinaldine (1.29), benzyl benzoate (8.54), 4-quinolinol (78.63), quinine (82.33), and 2-quinolinol (86.24).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aricidal activity of the aqueous extracts can be mostly attributed to quinone. Quinone was about 7.8 and 8.4 times more toxic than benzyl benzoate against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Additionally, quinaldine was about 6.4 and 6.6 times more toxic than benzyl benzoate against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skin color of the dust mites was changed from colorless-transparent to dark brown-black by the treatment of quin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quinone can be very useful as potential control agents, lead compounds, or the indicator of house dust mites.

배(Pear)의 생리활성 물질 및 생리활성 효능 (Bio-active Substance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ears)

  • 민태선;박민정;문재학;김월수;이상현;조영돈;박수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2호
    • /
    • pp.83-87
    • /
    • 2013
  • 배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소모되고 있는 과일이다. 일반적으로 배는 아시아 배와 유럽 배로 분류된다. 배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기능성 연구가 계속 되어져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배의 생리활성 물질들의 개요 및 다양한 질병들에 대한 예방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나무잎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 3. 병원의 접목전염 - (Studies on the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 3. Graft Transmissibility of the Causal Agent -)

  • 남기웅;김충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23
    • /
    • 1995
  • Nature of graft transmissibility of pear abnormal leaf spot disease was examined by various grafting methods in the greenhouse and field. When the diseased and symptomless twigs were collected in winter and grafted in the next spring to the seed-originated healthy root stock, the abnormal leaf spot was developed only in the case of the diseased twigs. Double grafting on a seed-originated healthy root stock, where the diseased and the symptomless twigs were used as 1st and 2nd scions, respectively, developed abnormal leaf spot lesions without exception on the 2nd scions. Tongue-graft with the diseased and the symptomless trees also incited abnormal leaf spots on the both trees. Abnormal leaf spots of were also developed on HN-39, an indicator pear tree, used as a 2nd scion in a double graft test, where the diseased twig and a seed-originated healthy tree were used as the 1st scion and the root stock, respectively. When the diseased twig was top-grafted to the healthy root stock, lesion development of abnormal spot was limited to the grafted twig itself in the 1st year, but expanded to the main branches in the 2nd year, and spread over the whole tree in the 3rd yea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causal agent of abnormal leaf spot disease is transmitted by graft.

  • PDF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109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H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u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a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H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 PDF

배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한 Microsatellite DNA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구축 (Construction of a Microsatellite DNA Profile Database for Pear Cultivars and Germplasm)

  • 홍지화;심은조;권용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98-107
    • /
    • 2017
  • 국내외에서 육성된 배 품종 및 유전자원에 대한 DNA 프로파일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유전적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배 동양 및 서양배 8품종을 387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대립유전자의 패턴이 우수하면서 다형성 정도가 높은 11개를 선발하였다. 이들 마커와 배 품종 및 유전자원 72점에 대해 분석한 결과, 133개의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분자 마커에 따라 4 ‚ 22개까지 다양한 대립유전자의 분포 양상을 나타냈다. PIC 값은 0.557 - 0.879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평균 0.743으로 높게 나타났다. Microsatellite 마커에 의해 나타난 대립유전자를 근거로 계통도를 작성하였을 때 72품종 및 유전자원의 유전적 유사도는 0.02 ‚ 1.00까지 넓은 범위에 속하였고, 배나무의 식물분류학적 특성 및 품종 육성 계보에 따라 4개 대그룹으로 크게 나누어졌다. 대부분의 품종이 11개의 microsatellite 마커의 유전자형에 따라 식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microsatellite 마커에 기반한 배 품종 및 유전자원의 데이터베이스는 품종보호 출원품종의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을 재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겨우살이의 서식지생태환경과 기주식물 (Ecological Environment of Native Habitats and Host Plant i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이보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89-393
    • /
    • 2009
  • 수요증가가 예상되는 겨우살이의 인공번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겨우살이의 분포지역의 기주수종과 서식지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겨우살이의 자생지는 전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대부분이였고 밤나무, 벚나무, 오리나무, 돌배나무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군락지의 같이 자생하는 침엽수인 소나무, 잣나무와 활엽수인 느티나무, 감나무, 고로쇠나무, 단풍나무, 뽕나무, 은행나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자생지의 고도는 해발 $0{\sim}1200\;m$까지 잘 생육되고 방향과 지형을 가리지 않고 기주식물이 잘 생육 할 수 있는 곳이면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종자 전파는 조류에 의함이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우살이의 기생은 흡기 발생부터 기주식물의 표피 또는 조직성분에 따라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공재배 연구의 좋은 성과를 위해 겨우살이가 잘 기생하는 기주식물의 기주 특이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