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cnoporus coccine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ycnoporus coccineus and P. cinnabarinus)

  • 가강현;이정희;허태철;윤갑희;박원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4-88
    • /
    • 2003
  •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배양특성은 최적 온도범위 $30{\sim}40{\circ}C$, 최적 pH범위 pH $5{\sim}6$이었다. 6종의 배지 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PDA, LBA, YMA 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고, 동일 배지상에서 간버섯보다는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약간 양호하였다. 10종의 톱밥배지중,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은 참나무류(상수리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지만, 밤나무에서는 생장이 불량하였다. 침엽수 3종 중에서, 낙엽송이 소나무와 잣나무보다 간버섯과 주걱간버섯의 생장이 양호하였다. 버섯발생양은 간버섯이 주걱간버섯보다 약 2배 많았다.

한국산 간버섯의 인공재배 및 항산화 활성 평가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ive Mushroom Pycnoporus coccineus)

  • 이용국;김민경;윤봉식;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35-47
    • /
    • 2019
  • 간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은 PDA와 YMA에서 균사의 밀도와 생장량이 양호하였으나, MEA에서는 균사 생장량과 속도가 저조하였다. 배양 기간 중 광(光)조사는 균사체의 색소 형성과 균사체 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간버섯은 병 재배와 봉지 재배 모두에서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었고 종균 배양과 재배를 위한 가장 적합한 배지 원료는 참나무톱밥으로 밝혀졌다. 톱밥배지를 사용한 인공재배에서 자실체의 발생은 15일째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자실체 원기가 생장하였으며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구에서 5일 정도 빠르게 형성되었다. 버섯 발생 40~45일째에는 성숙한자실체를 수확할 수 있었고, 생육실의 상대습도가 낮은 편이 버섯 발생과 생육에 유리하였다. 인공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간버섯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과 야생 간버섯 자실체 methanol 추출물이 각각 505㎍/㎖, 515㎍/㎖의 농도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봉지 재배에서 수확한 자실체는 910㎍/㎖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결과 모든 추출물이 활성 2,000㎍/㎖ 농도 이상의 IC50값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버섯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간버섯 병 재배 자실체 추출물이 IC50값 154.5㎍/㎖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버섯 methanol 추출물은 동일 농도(10mg/㎖)에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야생 간버섯 자실체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Degradation of Three Aromatic Dyes by White Rot Fungi and the Production of Ligninolytic Enzymes

  • Jayasinghe, Chandana;Imtiaj, Ahmed;Lee, Geon-Woo;Im, Kyung-Hoan;Hur, Hyun;Lee, Min-Woong;Yang, Hee-S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14-120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gradation of aromatic dyes and the production of ligninolytic enzymes by 10 white rot fungi.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ycnoporus cinnabarinus, Pleurotus pulmonarius, Ganoderma lucidum, Trametes suaveolens, Stereum ostrea and Fomes fomentarius have the ability to efficiently degrade congo red on solid media. However, malachite green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these organisms. Therefore, they did not effectively decolorize malachite green on solid media. However, P. cinnabarinus and P. pulmonarius were able to effectively decolorize malachite green on solid media. T. suaveolens and F. rosea decolorized methylene blue more effectively than any of the other fungi evaluated in this study. In liquid culture, G. lucidum, P. cinnabarinus, Naematoloma fasciculare and Pycnoporus coccineu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ability to decolorize congo red. In addition, P. cinnabarinus, G lucidum and T. suaveolens decolorized methylene blue in liquid media more effectively than any of the other organisms evaluated in this study. Only F. fomentarius was able to decolorize malachite green in liquid media, and its ability to do so was limit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of ligninolytic enzymes in media containing aromatic compounds, fungi were cultured in naphthalene supple mented liquid media. P. coccineus, Coriolus versicolor and P. cinnabarinus were found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laccase when grown in medium that contained napthalene.

목재부후(木材腐朽)의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II) - 주요(主要) 백색부후균(白色腐朽菌)의 부후(腐朽) 생리(生理) 및 물리(物理)·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 - (Fundamental Studies on the Wood Decay(II) -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Rot Fungi in Korea -)

  • 이동흡;최돈하;윤승락;손승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49-56
    • /
    • 1992
  • Seven white rot fungi (Irpex lactenis, Coriolus hirsutus, Lopharia mirabilis, Schizopora paradoxa, Ganoderma lucidum, Pleurotus ostreatus and Pycnoporus coccineus) native to Korea and two famous exotic lignin degradable white rot fungi (Coriolus versicolor and Phanerochaete chrysosporium)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their phys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white-rotted wood blocks. G. lucidum degraded wood blocks more seriously than those by exotic lignin-degrading fungi,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but only slightly decreasecl the strength of wood which was compared to the weight loss, persumably on the account of its small use of cellulose when attacking wood. It is quite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holocellulose degradation rate of G. lucidum was also higher than any of the other tested fungi. The order of fungi, according to the lignin-decomposing rates, was G. lucidum>P. coccineus>C. versicolor>S. paradoxa>P. chrysosporium>L. mirabilis>P. ostreatus>C. hirsutus>I. lactenis. The lignin degradation of G. lucidum and P. coccineu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was greater than that of C. versicolor and P. chrysosporium. If holocellulose degradation is not considered. G. lcidum has the merit of actual application in biomass conversion due to linin removal.

  • PDF

한국산 주걱송편버섯(Pycnoporus cinnabarinus) SCH-3로부터 정제 된 Lacc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Laccase Purified from Korean Pycnoporus cinnabarinus SCH-3)

  • 박은혜;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9-66
    • /
    • 2003
  • 한국산 주걱송편버섯(Pycnoporus cinnabarinus) SCH-3로부터 배지 내로 분비된 laccase를 ultrafiltration과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dsorp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고 정제된 호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Laccase는 균주의 일차 대사 과정에서 주로 생산되는 세포외 페놀 산화효소였다. 주걱송편버섯을 기본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생장은 배양 9일에 최대였고, laccase의 활성은 배양 7일에 최대활성을 나타냈으며 배양액에서 LiP, MnP 그리고 AAO의 활성은 측정되지 않았다. Laccase의 생산에 미치는 유도원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 중인 주걱 송편버섯에 몇몇 유도원을 첨가한결과, 2,5-xylidine은 대조구에 비하여 laccase의 생산을 25배 증가 시켰다. 정제된 laccase는 SDS 젤 전기영동에서 대략 66 kDa의 분자량을 가지는 단일 폴리펩타이드(single polypeptide)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9%였다.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를 기질로 사용하며 정제된 laccase의 $K_{m}}$$V_{max}$를 조사한 결과 각각 $44.4{\mu}M\;and\;56.0{\mu}mole$로 측정되었다. Laccase 활성의 최적 pH는 3.0이며, 이 효소는 $60{\circ}C$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매우 안정적이었고 $80{\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이 반감되었다. Laccase의 분광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리를 포함하는 단백질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laccase의 기질들에 대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5mM ABTS와 5mM hydroquinone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e에서는 laccase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저해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으로 구리를 포함하는 단백질의 저해제인 $NaN_{3}$, TGA, DDC를 일정농도로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완전하게 억제되었으며, p-coumaric acid와 EDTA 처리구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지 않았다. 한국산 주걱송편버섯 SCH-3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laccase의 N-말단의 아미노산의 서열은 P. coccineus의 laccase와 호주에서 분리 동정된 P.cinnabarinus PB의 laccase와 94%가 같았다.

Fungal Biodiversity in Cardamom Protected Forests and Seima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of Cambodia

  • Kim, Nam Kyu;Lee, Jin Heung;Jo, Jong Won;Bunthoeun, Roth;Ngeth, Chea;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58-163
    • /
    • 2016
  • Mushroom surveys and collections were conducted in the western and eastern forest areas in Cambodia, and then fungal biodiversity was analyzed by identifying mushrooms. One thousand and three hundreds eighty three specimens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genetical characteristics, and were classified into 238 species, 160 genera, 52 families, 15 orders, and 3 phylums. The collected mushrooms were immersed in 70% ethyl alcohol for DNA extraction, and the rest of them were dried in the portable mushroom dryer for 12 hrs. Among these mushrooms, the genera Mycena (8.7%), Ganoderma (5.6%), Microporus (5.3%), Marasmius (4.2%), Marasmiellus (3.0%), Phellinus (2.5%), Trametes (2.5%), Hygrocybe (1.9%) and Pycnoporus (1.5%) were dominant. In the western Cambodia, 1,061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Koh Kong forests, while 263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eastern Cambodia, Seima and Mondulkiri forests. Elevations of surveyed sites were ranged from 0 to 750 m above sea level.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in the elevation of 251-500 m was the highest as compared to the other ranges of elevation. Daldinia concentrica, Microporus vernicipes, Microporus xanthopus, Pycnoporus coccineus, Stereum hirsutum, and Stereum ostrea were commonly distributed in all ranges of elevation, while the distribution of Ceratomyxa fruticulosa, Panus fulvus, Schizophyllum, Trametes versicolor, and Tyromyces chioneus were limited under 500 m. One hundred and forty one species including Amauroderma sp., Bjerkandera adusta, Trichaptum abietinum, and Tyromyces chioneus were collected only in Cardamom, while 20 species including Auricularia auricula-judae, Coriolopsis sanguinaria, Rigidoporus microporus, and Xylaria polymorpha were collected only in Seima. Ganoderma sp., Mycena sp., Marasmius sp., Microporus xanthopus, Phellinus sp., and Russula sp. were dominant species in both the western and eastern Cambodia. Species diversity indic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survey sites were 1.83 and 1.77, respectively, while evenness indices were 0.92 and 0.90. The species similarity index between two survey sites was 0.42.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용매추출에 의한 휘발성 성분 (Solvent Extracted Volatile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1-355
    • /
    • 2007
  •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delta}-elemene$, ${\beta}-elemene$, ${\beta}-caryophyllene$, caryophyllene, ${\gamm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beta}-selinene$,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nal은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 변화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tangeretin, nobiletin, 및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버섯 균사체 분말에서 검출된 휘발성 성분들은 18종이었으며, ${\bet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버섯이나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균사체 배지로 사용한 착즙박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decanoic acid 및 tetradecanoic acid는 기 보고된 버섯이나 균사체의 성분들이었으며, Limonene-1,2-epoxide, ethyllinoleate,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cyclohexyl ester 및 ($3{\bet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성분 (Major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8-132
    • /
    • 2007
  • 감귤 착즙박을 주 성분으로 하는 버섯배양배지를 만들고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을 접종하여 균사체 제품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균사체는 착즙박에 비하여 대체적으로 조회분은 증가하였으나, 총산, 환원당,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착즙박과 함량이 비슷하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버섯균사체 중 유기산의 함량은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착즙박의 2.7배 이상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fructose는 9.20-11.06%로서 착즙박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새송이 버섯에서는 2.65%로서 함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glucose의 경우는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그 함량이 착즙박보다 매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호침 버섯 및 참부채 버섯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더욱 심하였다. 버섯균사체 중 sucrose는 착즙박의 함량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간버섯과 새송이 버섯에서 감소현상이 심하였다. 버섯균사체의 narirutin 함량은 448.67-932.98 mg%로서 대부분 착즙박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hesperidin의 함량은 3,019.94-4,980.94 mg%로서 간버섯을 제외하면 착즙박보다 17.81-52.61%증가하여 농축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버섯균사체 중 TDF 함량은 38.87-51.49%, NDF 함량은 11.94-17.67%, ADF함량은 11.00-14.09%로서 대부분 착즙박의 함량과 비슷하거나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버섯균사체의 ${\beta}-glucan$ 함량은 9.43-13.69%로서 착즙박과 비슷하거나 조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은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8.01-20.28 mg%로서 그 함량이 비슷하거나 대부분 감소하였다. 버섯균사체의 EDA 및 NSA는 새송이 버섯 균사체를 제외한 모든 버섯 균사체에서 착즙박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에 대한 버섯 균주의 길항 특성 (Antagonistic Properties of Mushroom Strains to Korea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전성민;가강현;김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8
    • /
    • 2010
  • 국내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버섯 균주들의 길항 특성을 대치배양을 통해 조사하였다. 총 158개의 시험 균주 중 33개의 균주는 병원균에 대해 단기간 (6~7일) 및 장기간(27~31일) 길항력이 전혀 없었으며, 96개의 균주는 길항력이 미약하거나 길항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다. 이와 달리 29개의 균주는 단기간 및 장기간 길항력이 각각 $\geq$ R+와 $\geq$ R로 타 시험 균주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과 같이 R. quercus-mongolicae에 대해 길항력을 갖는 균주들은 활엽수(참나무류 포함)나 침엽수 등 발생 기주가 서로 다른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가는 버섯 균종들의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버섯 재배용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7개의 길항 균주를 다음과 같이 선발하였다; 붉은덕다리버섯(KFRI 914), 치마버섯(KFRI 832), 구름버섯(KFRI 100), 덕다리버섯(KFRI 654), 간버섯(KFRI 588), 표고(KFRI 269, 7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