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ified sal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소금의 안전성 분석과 김치제조를 통한 품질 평가 (Safety and Quality Assessment of Kimchi Made Using Various Salts)

  • 장민선;조순덕;배동호;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4
    • /
    • 2010
  • 국내산 정제염과 천일염 그리고 수입산 정제염과 천일염 등 6가지 소금에 대하여 안전성을 분석하고,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시키며 품질을 평가한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6가지의 소금에서 DEHP가 검출되었고, 특히 국내산 천일염과 중국산 천일염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페로시안화이온과 중금속(Cd, Pb, As, Hg)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사분의 경우는 모든 소금에서 미량 함유되어 있어 식염으로서 안전하였다. 동일한 6가지 소금에 대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pH는 감소하였고, 산도와 염도는 발효되면서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젖산균 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저장 21일째부터 소폭 감소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저장 28일째에는 수입산염보다 국내산염에서 신내가 강하다고 평가되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국내산염이 수입산염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나 처리구간 근소한 차이를 보일 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즉, 본 연구에 사용한 소금은 식염으로서 모두 안전하였으며, 김치를 제조하여 품질을 분석한 결과 이화학적 평가, 젖산균 수 분석 및 관능평가에서 처리구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le Salt Hydrolase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CK 102

  • Ha Chul-Gyu;Cho Jin-Kook;Chai Young-Gyu;Ha Young-Ae;Shin Shang-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047-1052
    • /
    • 2006
  • A bile salt hydrolase (BSH) was purifi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CK 102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is enzyme was successfully purified using ion-exchange chromatography with Q-Excellose and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with Butyl-Excellose. The purified enzyme showed a single protein band of 37 kDa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hich was similar to the molecular weight of known BSHs. The amino acid sequence of GLGLPGDLSSMSR, determined by MALDI-TOF, was identical to that of BSH of L. plantarum WCFS1. Although this BSH hydrolyzed all of the six major human bile salts, glycine-conjugated bile acid was the best substrate, based on its specificity and $K_{m}$ value. Among the various substrates, the purified enzyme maximally hydrolyzed glycocholate with apparent $K_{m}$ and $V_{max}$ values of 0.5 mM and 94 nmol/min/mg, respectively. The optimal pH of the enzyme ranged from 5.8 to 6.3. This enzyme was strongly inhibited by thiol enzyme inhibitors such as iodoacetate and periodic acid.

천일염이 된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ar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 장미;김인철;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6-124
    • /
    • 2010
  • B. subtilis DJI 특유의 생육특징을 이용하여 제조된 세균형 코지에 첨가소금을 달리하여 두 가지 종류의 된장(정제염 된장, 천일염 된장)을 제조하였다. 된장 제조 시 사용된 소금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정제염은 Na와 Cl이 99.92%를 차지하였으며, 천일염은 Na와 Cl이 94.14%로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이외에도 $SO_4$, Mg, K, Br, Ca 등이 5.85%로 검출되어, NaCl 이외에도 다양한 무기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된장은 $10^{\circ}C$, $20^{\circ}C$, $30^{\circ}C$에서 60일간 숙성시키면서 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된장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더욱 많이 감소하였으나, 동일 조건에서 천일염 된장(51.88%$\rightarrow$47.90%)이 정제염 된장(51.55%$\rightarrow$45.38%)에 비해 수분함량이 적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장의 pH와 산도 변화에 있어서 소금에 따른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이며 두 된장 모두 숙성기간이 지남에 따라 pH는 저하되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조된 된장은 숙성기간이 길수록,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갈변이 촉진되었고, 천일염 된장이 정제염 된장에 비해 갈변진행 속도가 현저히 느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된장의 숙성 중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정제염 된장과 천일염 된장 모두 증가하였으며, 각각의 숙성조건에서 천일염 된장(2242.98 mg%)이 정제염 된장(1937.13 mg%)에 비해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다양한 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Tofu with Various Salts)

  • 백용규;김성훈;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07-1311
    • /
    • 2008
  • 두부 제조 시 응고제로 $CaCl_2$을 사용하고, 두부에 간을 배게 하여 두부의 맛에 대한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정제염,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쑥두부의 수율, 일반성분, 조직감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수율은 $202.29%{\sim}207.50%$로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수율 185.1%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의 함량은 다양한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hardness와 gumminess에서 실험군 쑥두부가 대조군 쑥두부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값을 보였지만 brittleness와 cohesiveness, chewiness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을 찾지 못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경도와 탄력성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이 없었지만 짠맛, 구수한 맛, 씹힘성, 전체적 기호도에선 대조군 쑥두부보다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죽염 쑥두부와 심층해염 쑥두부에서 두부 맛에 영향을 미치는 구수한 맛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Recovery of Sodium Sulfate from Farm Drainage Salt and Using It in Direct Dyeing of Cotton - Analysis of Color Difference -

  • Jiyoon Jung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4권1호
    • /
    • pp.18-24
    • /
    • 2001
  • Agricultural drainage salt generated during irrigation of crops in San Joaquin Valley, California, exceeds 600,000 tons annually and cumulates in the field in a rapid rate. As a result, the waste is taking out more farmlands for salt storage and disposal, imposing serious concerns to environment and local agricultural industry. In searching for a potential solution to reduce or eliminate the waste, this research explored feasibility of producing a value -added product, sodium sulfate, from the waste and utilizing the product in textile dye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dium sulfate could be produced from the salt and could be purified by a recrystalization method in a temperature range within the highest and lowest daily temperatures in summer in the alley. The recovered sodium sulfate samples, with purities ranging from 67% to 99.91,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sodium sulfate in direct dyeing of cotton fabrics. The salt samples recovered from Mendata, California (〉98.8% sodium sulfate) cause little color difference in the dyeing with selected direct dyes, and the purified salt (Ⅲ) (99.91% sodium sulfate) is more applicable for direct dyeing of cotton fabrics if it has no other toxic effects. The recovered sodium sulfate from certain areas in the valley could not be employed in direct dyeing due to the high level of impurities in it.

  • PDF

소금 종류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장민선;조순덕;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0-35
    • /
    • 2010
  • 식품 조리 및 제조 가공 시 사용되는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수입산염이 대부분이지만, 아직까지 소금 종류에 따른 식품 제조 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수입산염 등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20^{\circ}C$에서 7일간 발효시키며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으로 pH, 산도, 염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학적인 특성으로 총균수와 젖산균수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김치의 pH는 감소하였고, 소금 종류에 따른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도와 염도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염도는 전반적으로 수입산염이 국내산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의 경우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장 5일후 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처리구간 근소한 차이를 보일 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Bamboo salt attenuates $CCl_4$-induced hepatic damage in Sprague-Dawley rats

  • Zhao, Xin;Song, Jia-Le;Kil, Jeung-Ha;Park, Ku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273-280
    • /
    • 2013
  • Bamboo salt, a Korean folk medicine, is prepared with solar salt (sea salt) and baked several times at high temperatures in a bamboo cas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preventive effects of bamboo salt and purified and solar salts on hepatic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Sprague-Dawley rats. Compared with purified and solar salts, bamboo salts prevented hepatic damage in rats, as evidenced by significantly reduced serum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P < 0.05). Bamboo salt (baked $9{\times}$) triggered the greatest reduction in these enzyme levels. In addition, it also reduced the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interferon (IFN)-${\gamma}$,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Histopathological sections of liver tissue demonstr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bamboo salt, whereas sections from animals treated with the other salt groups showed a greater degree of necrosis. We also performe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es of the inflammation-related genes iNOS, COX-2, TNF-${\alpha}$, and IL-$1{\beta}$ in rat liver tissues. Bamboo salt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80%) i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COX-2, iNOS, TNF-${\alpha}$, and IL-$1{\beta}$, compared with the other salts. Thus, we found that baked bamboo salt preparations could prevent $CCl_4$-induced hepatic damage in vivo.

Microbial Commun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yeolchi Jeotgal (Anchovy Jeotgal)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Salts

  • Shim, Jae Min;Lee, Kang Wook;Yao, Zhuang;Kim, Jeong A;Kim, Hyun-Jin;Kim, Jeo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44-1752
    • /
    • 2017
  • Myeolchi jeotgals (MJs) were prepared with purified salt (PS), solar salt aged for 1 year (SS), and bamboo salt (BS) melted 3 times at 10% and 20% (w/w) concentrations, and fermented for 28 weeks at $15^{\circ}C$. BS MJ showed higher pH and lower titratable acidities than the other samples because of the alkalinity of bamboo salt.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until 4-6 week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and were not detected after 20 weeks from MJs with 10% salt. Yeast counts of PS MJs were higher than those of BS and SS MJs. Bacilli were detected in relatively higher numbers throughout the 28 weeks, like marine bacteria, but archae were detected in lower numbers during the first 10 weeks. When 16S rRNA genes were amplified from total DNA from PS MJ (10% salt) at 12 weeks, Tetragenococcus halophilus was the major species. However,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the dominant species for BS MJ at the same time point. In SS MJ, T. halophilus was the dominant species and S. epidermidis was the next dominant species. BS and SS MJs showed higher amino-type nitrogen, ammonia-type nitroge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than PS MJs. SS and BS were better than P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MJs.

전기투석을 이용한 현미부산물로부터의 미네랄성분 추출 및 나트륨감량형 미네랄 소금 제조 (Mineral extraction from by-products of brown rice using electrodialysis and production of mineral salt containing lower sodium)

  • 노남두;박은정;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59-866
    • /
    • 2015
  • 무기이온이 풍부한 생식물 중 버려지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미네랄 확보를 위한 발효최적조건을 설정하고 발효물에 함유된 미네랄 여과 및 정제 조건을 확립하였다. 생식물 가공 후 부산물을 활용하여 다량의 미네랄을 확보하고, 생식물 미네랄 배지조성을 위하여 백미 도정 후의 현미부산물인 미강을 고체 발효시켜 열수추출한 결과 칼륨 2,019.2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물에 대한 순차적인 여과로 칼륨 1,769.70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확보하여 정제한 후 미네랄을 염수와 치환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량이 변화하여도 전기투석효과에 영향이 없었으며, 유속이 200 mL/L로 빠를 때 생산제품인 정제수실 반응액이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인가전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전류를 높게 인가할수록 전기투석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그 증가곡선도 역포물선으로 인가전류가 높을수록 효율이 높음을 나타냈다. 시간과의 상관관계 결과 90분 이내에 95%의 추출액 이온이 정제수로 회수 되었으며 비례적으로 추출 이온별 농도의 변화가 있었다. 정제수실의 이온 농축수에 정제염수실에서 조성된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pH 7.4 의 안전한 염화화합물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다. 전기투석 공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식물 발효 조성액에 함유된 미네랄을 정제염수와 이온치환하여 나트륨 함량 40% 대비 최저 5.7%~최고 30%까지 나트륨이 감량된 소금을 제조하여 미네랄 저염소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염(煮鹽)으로 담근 배추김치의 발효숙성 중 이화학적.관능적 특성 및 자염이 김치발효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 김혜란;김미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kinds of commercial salts, including sun-dried (Korea), purified, and traditional salts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Kimchi was prepared by salting in 10% NaCl solution for 2 hours followed by addition of other spices and fermentation at $20^{\circ}C$. The decreases in pH suggested that kimchi fermentation can be classified into 3 steps: initial, intermediate, and final stages. In texture analysis, the hardness and fracturability of traditional salt kimchi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kimchi. From the sensory evaluation test for kimchi, sensory scores were high for traditional salt addition, especially taste, overall preference and texture. Among various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Pichia membranaefaciens and Escherichia coli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ditions of kimchi fermentation, a 2% and 5% concentration of each salt were studied. Also, the conditions of the cultures at $37^{\circ}C$ were examined.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growth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Escherichia coli in the different kinds of salts. However, the growth of Pichia membranaefaciens was strongly inhibited by a 5% concentration of traditional salt during incubation at $37^{\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