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ification plant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37초

Treatment of ramie leaf β-amylase for preliminary purification

  • Dang, Nguyen Dang Hai;Lee, Jin-Sil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42-547
    • /
    • 2016
  • The thermal properties of ramie leaf ${\beta}$-amylase (RBA) were examined to develop a novel process for enzyme purification. The thermostability of RBA extract prepared from ramie leaf powder was examined at various temperatures. RBA activity decreased slightly, whereas other carbohydrate-active enzymes, such as $\small{D}$-enzyme, were rapidly inactivated during 30 min incubation at $60^{\circ}C$. When the heat-treated extract was incubated with various substrates, maltose was produced exclusively as the major product, whereas the untreated crude extract produced maltose and other maltooligosaccharides. In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fewer protein bands were observed for the heat-treated extract than the untreated extract, indicating that the thermostable RBA was partially purified and other thermolabile enzymes were eliminated. Thus, the treatment of the RBA extract at $60^{\circ}C$ for 30 min resulted in 5.4-fold purification with a recovery yield of 90%.

Simple Purification of Bromelain from Pineapple

  • Ko, Bo-Sung;Hwang, Yong-Il;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06-110
    • /
    • 1996
  • Bromelain(EC 3.4.22.4), the collective name for the proteolytic enzymes found in tissues of the plant family Bromeliaceae(pineapple), has been used as a tenderizing agent in food processing, and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 pharmaceutical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imple purification method of bromelain using Korean pineapple fruit. After removing contaminants at 30% saturation of ammonium sulfate, the supernatant obtained was treated again with ammonium sulfate to 80% saturation. Wit the above salt fractionation, partially purified bromelain could be obtained. To get highly purified bromelain, the previous 30% to 80% ammonium sulfate treated precipitate was dialyzed against 25mM sodium acetate buffer(pH 5.0) followed by passing through a CM- cellulose cation exchange column. Fruit bromelain was eluted as a major peak at 0.5~0.8M NaCI gradient. The present method is simpler with high wield than the traditional purification method-acetone treatment and several consecutive chromatographic processes.

  • PDF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Optimization of water intake scheduling based on linear programming)

  • 정기문;이인도;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8호
    • /
    • pp.565-57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정수장 운영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선형계획법(Linear Programming, LP)을 이용한 정수장 취수계획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적화 모형은 원수의 정수처리비용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설정하였으며, 취수 후 정수처리에 소요되는 지연시간과 시간별 전력단가를 고려하여 취수가능량, 예측수요량, 정수지 운영수위 등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적 취수계획을 제시하였다. 국내 H 정수장을 대상으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정수장 운영을 위해 세 가지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경제성과 안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 모형은 국내 정수장의 보다 효율적인 취수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형태로 실무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기 중 음이온과 공간 내 식물용적 변화가 미세먼지 정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gative Ions and Plant Volume Changes in Space on Fine Dust Purification in the Atmosphere)

  • 오득균;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7-226
    • /
    • 2024
  • 본 연구는 공기 중 음이온이 미세먼지(PM10, PM2.5) 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식물이 공기 중 음이온 발생과 미세먼지 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음이온 발생요인별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하고, 각 요인별, 식물 용적별 미세먼지 저감 모형을 구축하여 비교하였다. 음이온 발생요인별 특성은 Type N.I(Negative ion generator; 204,133.33ea/cm3) > Type P30(Plant Vol. 30%; 362.55ea/cm3) > Type C(Control; 46.22ea/cm3)의 순으로 음이온 발생량을 살펴보면 무처리구에 비하여 음이온 발생기 처리구에서 약 4,417배, 식물 배치구에서 약 8배 많았다. 이에 따른 음이온 발생원별 미세먼지 저감 특성은 PM10에서 Type NI가 Type C에 비하여 정화효율이 2.52배, Type P30이 1.46배 높았으며, PM2.5의 경우, Type NI가 Type C에 비하여 정화효율이 2.26배, Type P30이 1.31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물의 용적별 미세먼지 정화 효율은 Type P20(84.60분) > Type P30(106.50분) = Type P25(115.50분) = Type P15(117.60분) > Type P5(125.25분) = Type P10(129.75분)의 순이었으며, 초미세먼지의 경우 Type P20 (104.00분) > Type P30(133.20분) = Type P25(144.00분) = Type P15(147.60분) > Type P5(161.25분) = Type P10 (168.00분)의 순이었다. 이렇게 음이온의 미세먼지 정화 능력과 식물의 미세먼지 정화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향후 미세먼지 정화를 고려한 녹지계획 및 식물식재에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