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ification plant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3초

Recycling Technology of Waste Product in Electro Galvanizing Line of Steel Company

  • Lee, Jae-Young;Lee, H. H.;Kim, D. Y.;J. G. Soh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281-285
    • /
    • 2001
  • This technology Provides an economical Production of high value added goods applicable to electro chemicals by recycling of waste products in EGL(Electro Galvanizing Line). The waste products produced in EGL contain potassium chloride (KCI), nickel and zinc. Highly pure KCI and Zinc Chloride which are raw material of electro plating, can be produced by the development of the recycling process.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from laboratory experiments to pilot test in plant. We have developed the whole process of recycling technology such as purification method of waste products, fabrication methods of electro chemicals, basic design of plant, pilot scale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pilot goods, Developed electro chemicals were pure enough to satisfy the specification of steel company.

  • PDF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ceriphyllum rossii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 Tran, Thi Thu Trang;Nguyen, Thi Yen;Tran, Manh Hung;Weon, Kwon-Yeon;Woo, Mi Hee;Min, Byung S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146-151
    • /
    • 2014
  • The purification of the MeOH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Aceriphyllum rossii Engler (Saxifragaceae) using column chromatography furnished fourteen compounds (1 - 14).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determined using mainl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a and mass spectrometry. All the isolated compounds were tested for their cytotoxic activity against LH-60, MCF-7 and HeLa cancer cells in vitro using a MTT assay method. Compounds possessing an olean-triterpenoid skeleton entirely exhibit dose dependent cytotoxic activity. These findings partially confirmed the anticancer effect of this medicinal plant, suggesting a further study on the anticancer potential of the triterpenoid structure in compounds from this plant.

대두 유식물에서 Protein Kinase C의 부분 정제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in Kinase C in Glycine max)

  • 최윤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71-176
    • /
    • 1993
  • Protein kinase C, a protein related in PI cascade, was partially purified from the cytosol protein of etiolated plants of Glycine max by DEAE-52 cellulose chromatography and phenylsepharose chromatography. When the DEAE column was eluted with 0-0.8 M linear gradient KCl, tow fractions were found that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histon H1 about five and nine-fold in the presence of 5 $\mu\textrm{g}$/mL phosphatidylserine and 0.5 $\mu\textrm{g}$/mL diolein, respectively. These fractions were used as DEAE pool. The reaction eluted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of KCl was loaded on phyenylsepharose column with 5 mM CaCl2 and eluted with 1 mM EGTA. A fraction contained the protein kinase C, which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the histon H1 was fractionated. To determine the molecular weight of PKC, the fraction eluted from phenylsepharose column was analyzed by 5~15%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fter concentrated with the Amicon membrane (YM10). That revealed two bands corresponding to 60 and 65 kGy by silver staining of the gel, respectively.

  • PDF

Discovery of the rarely known genus Psammophilocyclops (Cyclopidae Cyclopinae) from a water purification plant in South Korea

  • Lee, Ji-Min;Chang, Cheon-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245-253
    • /
    • 2012
  • A genuine interstitial cyclopoi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Psammophilocyclops Fryer, 1956 is recorded from the filtration basin of a water treatment plant, South Korea. The genus Psammophilocyclops is very rarely found, and only three species have been recognized as yet: P. boccaroi Fryer, 1956 from Africa, P. trispinosus Shen et Tai, 1964 and P. bispinosus Shen et Tai, 1964 from China. The present new species differs from the congeneric species by the character combination of 11-segmented antennule in female, four-segmented maxilliped with 2,1,1,2 setation, the spine formula of 3,3,3,3, and setal arrangement of 3,3,5,3 on the distal endopodal segments of legs 1-4. Descriptio and taxonomic accounts of the new species are presented with a revised generic diagnosis and a key to the species hitherto known in the genus.

오염농도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 계량화 (A Quantitative Analysis of Air Purification Effectiveness on Urban Forest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ant Concentration)

  • 최철현;이우성;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1-85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의 대기환경과 관련하여 도시림의 정화 기능을 평가해보고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대기오염은 도시화가 특히 심화되어 있는 지역일수록 심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대도시 중 하나인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을 추정하였다. 오염물질의 흡수량을 산정함에 있어 기존에는 고려되지 못했던 오염농도의 공간적 차이를 적용하였으며, 크리깅을 통해 대기확산모델링 자료의 해상도를 향상시켰다. 도시림의 유형 및 분포를 파악해 본 결과, 대상지역 도시림 내의 식생군락은 총 26개 유형이었으며, 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군락, 소나무-상수리군락 등 다양한 수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도시림의 대기정화기능을 알아보고자 $CO_2$의 흡수량을 파악해 본 결과, 연간 흡수량은 총 108,155t/yr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림의 대기오염물질 흡수량의 경우 $SO_2$ 흡수량은 총 183.5t/yr이었으며, $NO_2$ 흡수량은 총 410.2t/yr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오염농도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지 않아 확인이 불가능했던 농도에 따른 흡수량의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하수방류에 따른 하천의 용존산소변화 예측 (A Model Study of Dissolved Oxygen Change by Waste Water Discharge in the River)

  • 성동권;김태근;최경식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26-132
    • /
    • 2001
  • 도시화 현상 및 인구증가에 따라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며 기초시설의 방류수는 인접하천 수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처리장의 규모 및 위치는 하천의 수질을 고려하여 건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시설의 방류수에 따른 하천의 용존산소변화를 STELLA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는데 최소 용존산소량은 4.98 ppm으로 처리장으로부터 42.6 km 하류에 위치한 지점이며 방류수 합류전 하천의 용존산소(7 ppm)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 8일이 소요되며 처리장으로부터 약340 km 하류지점에서 용존산소 7 ppm으로 증가하게 된다. 자정작용 중 식물성 플랑크톤의 연산기능의 중요도를 알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기작을 배제하고 연산한 경우 최소 용존산소는 4.92 ppm이며 최소 용존산소농도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0.25일 더 걸리며 방류수 합류전 하천의 용존산소 7 ppm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 11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여구 결과는 자정작용 중 식물플랑크톤의 연산기능의 중요성을 입증한 것이며 새로운 기초시설의 입지는 인접한 기초시설에 따른 하천 수질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제주 정수장에서 출현한 깔따구과 유충의 형태 및 유전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pecies Identification in the Chironomidae Larvae Found in Tap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Jeju)

  • 곽인실;박재원;김원석;박기연
    • 생태와환경
    • /
    • 제54권3호
    • /
    • pp.240-246
    • /
    • 2021
  • 깔따구(Diptera: Chironomidae)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로 환경 및 수질 변화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중요한 환경지표생물이다. 이러한 깔따구 유충이 정수장에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정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깔따구 유충의 종을 분류하기 위해 형태 사진 및 CO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Primer로 증폭시킨 DNA의 염기서열을 계통수 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수장 내 수도꼭지와 소화관 등에서 채집된 17개체는 둥근깃깔따구(O. tamarutilus) 14개체, 타마긴털깔따구(P. tammaater) 3개체 총 2종으로 확인되었다. 각 깔따구 종의 형태적 특징은 두부, 하순기절, 대악, 안테나, 발톱의 형태적 특징의 분류기로 종 동정하였다. NCBI Genbank에 등록된 깔따구 19종 COI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된 17개체의 계통진화적 분석 결과 채집된 깔따구 COI 염기서열이 둥근깃깔따구(O. tamarutilus)와 타마긴털깔따구(P. tammaater) 2종으로 각각 계통군(clade)를 이루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수장 환경별 발견되는 깔따구 유충의 다양성의 확인과 형태적-유전적 종 동정 분류정보를 바탕으로 수환경 관리 및 평가를 위한 기반 정보로 활용될 것이다.

송·배수시스템의 최적 잔류염소농도 관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Operation Model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Water Supply System)

  • 김기범;형진석;서지원;신휘수;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7-597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ethod to optimiz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capable of optimizing the chlorine input into the clearwell in the purification plant and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rechlorination facilities, and chlorine input. This study applied genetic algorithms finding the optimal point with appropriat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and deriving a cost-optimal solution.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SN purification plant supply are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meet the target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ith the minimum cost. Also, the optimal operation method i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volume of supply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most economical operational method of coping with water pollu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and satisfying the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aspects of cost effectiveness.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increasing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to establish an operational management plan in a short-term perspective.

인삼 및 모상근의 프로테옴 분석을 위한 단백질 추출 방법 (Purification of Crude Protein Mixture from Panax ginseng and Hairy Root for Proteome Analysis)

  • 김승일;김수정;남명희;서종복;김수현;권경훈;김영환;최종순;유종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47-351
    • /
    • 2001
  •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은 우리나라의 전통약재로 수 세기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약효 및 성분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인삼의 분자생물학적, 단백질 화학적 측면에서 생리연구는 매우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테옴믹스를 이용한 인삼 단백질 군을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 인삼 (천풍)및 모상근의 단백질 추출 방법을 확립하고, 이차원 전기영동을 통하여 추출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Homogenizer와 황산암모늄 침전을 통한 단백질 추출과 액체질소 및 TCA를 이용한 단백질 추출 방법을 수행하여 비교해 본 결과 추출 단백질 양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이차원 전기영동 수행 시 액체질소 및 TCA를 통한 방법이 프로테옴 연구에 적합하여 훨씬 해상도가 높은 gel 이미지를 얻었을 뿐 아니라, gel당 660개 이상의 단백질 sopt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삼과 모상근의 이차원 전기영동을 비교한 결과 상당히 다른 발현 패턴을 보여, 생장조건 등 외부 환경과 생리상태의 차이에 따라,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조직체라 할지라도, 매우 다른 프로테옴 (proteome)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포도 조직배양에 의한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의 증식과 검출효율 증대 (Improved Detection and Purification of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 Using Tissue Culture)

  • 김현란;정재동;정봉남;이봉춘;박진우;최용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35-339
    • /
    • 2001
  • 우리나라 포도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grapevine leafroll-associated 3 Closterovirus (GLRaV-3)를 대상으로 기내 배양묘를 이용한 바이러스 순화 및 진단효율성을 검토하였다. 바이러스 감염주의 절간을 기내배양하여 증식시킨 기내 배양묘를 1개월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면서 배양묘를 ELISA 검정한 결과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배양묘의 부위별로 잎, 줄기 및 줄기 유래의 callus 조직에서 모두 고농도로 검출되었다. 또한 포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나무의 잎이나 엽병조직에 비해 기내 배양묘의 조직을 사용하였을 때 높은 농도의 정제 바이러스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자현미경에 의한 dip 검경에서도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RT-PCR 진단에서는 기내 배양묘 조직을 사용하였을 때 포도 유엽조직과 엽병+중륵조직에 비해 검출효율이 높았다. 기내 배양묘의 잎조직을 이용하여 ELISA와 RT-PCR 검정감도를 비교한 결과 ELISA에 비해 RT-PCR 검정이 약 1,000배 감도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