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e water

검색결과 1,125건 처리시간 0.031초

천연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메탄 하이드레이트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ane Hydrate Formation Using Natural Zeolite)

  • 박성식;안웅진;김대진;전용한;김남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59-264
    • /
    • 2011
  • Gas hydrate is formed by physical binding between water molecule and gas such as methane, ethane, propane, or carbon dioxide, etc., which is captured in the cavities of water molecule under the specific temperature and pressure. $1\;m^3$ hydrate of pure methane can be decomposed to the methane gas of $172\;m^3$ and water of $0.8\;m^3$ at standard condition. If this characteristic of hydrate is reversely utilized, natural gas is fixed into water in the form of hydrate solid. Therefore, the hydrate is considered to be a great way to transport and store of natural gas in large quantity. Especially the transportation cost is known to be 18~25% less than the liquefied transportation. However, when methane gas hydrate is artificially formed, its reaction time may be too long and the gas consumption in water becomes relatively low, because the reaction rate between water and gas is low. Therefore, for the practical purpose in the application, the present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rapid production of hydrates and the increment of the amount of captured gas by adding zeolite into pure water. The results show that when the zeolite of 0.01 wt% was added to distilled water, the amount of captured gas during the formation of methane hydrate was about 4.5 times higher than that in distilled water, and the methane hydrate formation time decreased at the same subcooling temperature.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otton stalks biochar suggests its role in soil as amendment and decontamination

  • Younis, Uzma;Athar, Mohammad;Malik, Saeed Ahmad;Bokhari, Tasveer Zahra;Shah, M. Hasnain Raza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27-137
    • /
    • 2017
  • Cotton is the major fiber crop in Pakistan that accounts for 2% of total nation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After picking of cotton, the dry stalks are major organic waste that has no fate except burning to cook food in villages. Present research focuses use of cotton stalks as feedstock for biochar production, its characterization and effects on soil characteristics. Dry cotton stalks collected from agricultural field of Bahauddin Zakariya University, Multan, Pakistan were combust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at $450^{\circ}C$.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biochar and cotton stalks show higher values of % total carbon, phosphorus and potassium concentrations in biochar as compared to cotton stalks.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was decreased in biochar. Similarly biochar had greater values of fixed carbon that suggest its role for carbon sequestration and as a soil amendment. The fourier 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oscopic spectra (FTIR) of cotton stalks and biochar exposed more acidic groups in biochar as compared to cotton stalks. The newly developed functional groups in biochar have vital role in increasing surface properties,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and are responsible for heavy metal remediation in contaminated soil. In a further test, results show increase in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nutrient retention by a sandy soil amended with biochar. It is concluded that cotton stalks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epare biochar.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Gaseous Acetaldehyde by Metal Loaded $TiO_2$ with Ozonation

  • Cho, Ki-Chul;Yeo, Hyun-Gu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2권E1호
    • /
    • pp.19-26
    • /
    • 2006
  • The decomposition of gaseous $CH_3CHO$ was investigated by metal loaded $TiO_2$ (pure $TiO_2,\;Pt/TiO_2,\;Pd/TiO_2,\;Mn/TiO_2\;and\;Ag/TiO_2$) with $UV/TiO_2$ process and $UV/TiO_2/O_3$ process at room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Metal loaded $TiO_2$ was prepared by photodeposition. Decomposition of $CH_3CHO$ was carried out in a flow-type photochemical reaction system using three 10W black light lamps ($300{\sim}400nm$) as a light sour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degradation rate of $CH_3CHO$ was increased with Pt and Ag on $TiO_2$ compared to pure $TiO_2$, but decreased with depositing Pd and Mn on pure $TiO_2$. The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the $CH_3CHO$ was found by a combination of photocatalysis and ozonation as compared to only by ozonation or photocatalysis. Loading of Pt on $TiO_2$ promoted conversion of gaseous ozone. The degradation rate of gaseous $CH_3CHO$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water vapor in the feed stream for the both $UV/TiO_2\;and\;UV/TiO_2/O_3$ processes. The pure $TiO_2$ was more affected by the water vapor than Pt loaded $TiO_2$.

Refiner에 의(依)한 낙엽송의 Arabinogalactan 추출(抽出) 및 MgO 에 의(依)한 정제(精製) (Separation of Arabinogalactan from Larch by Refiner and Purification with MgO)

  • 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12-17
    • /
    • 1987
  • To extract arabinogalactan from larch (Larix Leptolepis), chips immersed with water(20-$90^{\circ}C$) for 1hr, were defiberized by refiner. The liquors were recovered and purified to pure arabinogalactan by ion exchange resin(IRC-50 a. IR-45) or MgO. Additionally the optimal condition in purification with MgO was also investigated. 1. The amounts of solids(crude sugars) and pure arabinogalctan in solids are 8.6-11.3% and 7.3-8.5%(raw material = 100), respectively. 2. Phenolic materials in crude sugars are removed up to 96-89% by ion exchange resin and 94-88% by MgO, while recovery yields of pure arabinogalactan are 81-75% on purification with ion exchange resin and 91-87% on purification with MgO. 3. The optimal conditions of purification with MgO are the addition of 35mg MgO/0.5g of crude sugars, 45 minutes at $70^{\circ}C$, or 25 mg MgO, 30 minutes at $85^{\circ}C$.

  • PDF

Typical Coastal Vegetation of Korea

  • Min, Byoeng-Mee;Je, Jong-Geel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79-86
    • /
    • 2002
  • It was found that 14 coastal habitats in South Korea have comparetively natural vegetation. The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intertidal flats, sand dunes, and estuaries. There were four intertidal flats, five sand dunes and five estuaries. Except for Cynodon dactylon and Tetragonia tetragonoides, all of the main halophytes and sand dune plants were found in the habitats. These two species were mainly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This study identified coastal vegetation, such as pure stands of Suaeda japonica on intertidal flats, mixed halophyte communities around the high-water mark, pure stands of Vitex rotundifolia on stable sand dunes, mixed communities dominated by Carex kobomugi on unstable sand dunes, and pure stands of Phragmites communis in estuaries. The types of coastal vegetation may depend on sediment types, the inundation time of seawater and the stability of sediments.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obic Drug-Soluble Carrier Coprecipitates ( II )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Phenylbutazone-Polyvinylpyrrolidone Coprecipitates-

  • Park, Jae-Young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5권4호
    • /
    • pp.17-23
    • /
    • 1975
  • 복용량이 비교적 적고, 난용성 의약품(醫藥品)으로 antirheumatism에 사용되고 있는 phenylbutazone을 macromolecule polymer로서 water soluble carrier인 polyvinylpyrrolidone과 solvent method로 1:1, 1:5, 및 1:9(w/w)의 coprecipitate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이들 coprecipitate의 용출 속도를 Pure drug 및 coprecipitate 형성 용매인methanol에서 재결정한 recrystallized pure drug의 그것과 측정 비교(比較)하였다. 1:1,1:5 및 1:9(w/w)의 coprecipitate는 recrystallized pure phenylbutazone보다 약 4.5배의 용출의 증가를 보였고, 이들 1:1,1:5,1:9(w/w)에서의 그 carrier의 양(量)에 따른 용출에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시간(時間)에 대(對)한 log probit를 plot하여 구(求)한 dissolution half life, $T_{50%}$는 coprecipitate ratio 1:1(w/w)에서는 5.5분, 1:5에서는 10분, 1:9에서는 12.5분이었다.

  • PDF

수분무를 이용한 순수확산화염의 소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extinguishment of the pure diffusion flame using water spray)

  • 장용재;김명배;김진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2호
    • /
    • pp.624-631
    • /
    • 1996
  • 가솔린 화재의 소화과정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력과 순수확산에 의해서만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순수확산화염을 대항으로 수분무에 의한 소화실험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분무는 특정 조건에서 수분무가 없을 때인 자연연소상태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의 연소율을 가지게 되어, 오히려 화재의 연소를 촉진하게 된다. 2) 수분무시 연소율은 자연연소상태보다 더 높은 값으로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 연료표면의 냉각조건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소화기 일어나게 된다. 30 수분무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분무 자체와 함쎄 화염을 반경방향으로 흐트러지게 함으로써 연료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연소를 촉진하는 반면, 분무수가 연료 표면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하여 연료표면을 보다 잘 냉각시키게 된다. 즉 주위공기의 유입은 연소율의 증가 및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 4) 본 실험조건에서는 분무수의 입경이 약 40.mu.m 이하인 액적들은 화염구역내에서 증발하거나 그 경로가 바뀌어 연료 표면에 도달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5) 본 연구와 같이 주로 냉각작용에 의하여 화염이 소화되는 경우에는, 화염자체의 냉각효과 보다는 연료표면의 냉각에 의한 효과가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나트륨 염이 첨가된 미분무수의 액체 pool fire소화특성 (Ex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Liquid Pool Eire by Water Mist Containing Sodium Salt)

  • 박재만;신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3-1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금속염 첨가제를 함유한 미분무수의 소화성능을 연구하고자 아세트산 나트륨을 함유한 단일 액적의 증발속도를 측정하였으며, small-scale 챔버내에서의 헵탄 pool fire에 대한 소화실험을 실시하여, 화염의 온도를 분석함으로써 첨가제에 의한 미분무수 소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순수물과 수용액의 증발특성을 비교한 결과 핵비등 영역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용해된 첨가제의 석출 및 표면장력의 변화 등 물리적 영향으로 순수물에 비해 수용액의 증발속도가 현저히 느리게 나타났다. 소화실험 결과, 저압에서는 물 액적이 화염의 플림을 뚫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순히 화염의 크기를 작아지게 하였다. 중압에서는 첨가제를 넣었을 경우 액적의 운동량 증가에 따른 물리적 소화효과와 첨가제의 화학적 소화효과가 상승작용을 하여 화염을 억제하였고, 고압에서는 미분무수 시스템의 주요 소화 메커니즘 이외에도 blowing효과에 의해서 화염이 소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쌀가루 제분용 백미 내 잠재적 위해 세균에 대한 살균 및 세척 효과 (Antibacterial and Rinsing Activities Against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in Rice during Rice Flour Production)

  • 한재광;차민희;김민주;김근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7-122
    • /
    • 2014
  • 습식 쌀가루의 제분과정 중에서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에 사용되는 물에 천연살균제인 쌀뜨물발효액 혹은 화학살균제인 chlorine dioxide (CD)와 sodium benzoate (SB)를 각각 첨가하여 침지공정이나 세척공정 중 쌀에 잔류 미생물의 증식억제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원료 쌀의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지공정 전과 후 세척 횟수별 잔류 미생물의 제거 정도를 파악하였다.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백미 내 잔류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위해 세균들로 선정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비교적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쌀뜨물발효액이나 SB와 비교하였을 때 CD가 액체배양액 내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쌀뜨물발효액, CD, 혹은 SB는 침지과정 중에 각각 첨가된 농도가 증가하면서 백미 내 잔류세균에 대하여 이들 살균제들의 항균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위에서 언급한 S. typhimurium, E. coli, 그리고 B. cereus 표준균주들에 대하여 액체배양액 내에서 이들 천연살균제와 화학살균제들이 나타낸 항균력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백미 검체의 침지 전과 후 세척 횟수에 따른 백미 잔류 세균의 제거효과는 백미 검체를 침지하지 않고 세척하였을 때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척을 한 후 침지를 시켰을 때는 세척 횟수가 증가하여도 잔류 세균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결론적으로 백미의 살균 및 제균 방법으로는 살균제에 의한 살균방법보다는 물 등으로 세척하여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ulti-bore PSf 중공사막의 내화학성 및 세척 효율 특성평가 (Evaluation of Chemical Resistance and Cleaning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Multi bore PSf Hollow Fiber Membrane)

  • 임광섭;김태한;장재영;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0권2호
    • /
    • pp.138-148
    • /
    • 2020
  • 본 연구는 (주)퓨어엔비텍에서 제조한 multi-bore 형태의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오염된 원수의 투과 후 오염된 막의 재사용을 위해 화학적 세정효율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조된 중공사 막의 재료는 내화학성이 좋은 PSf(polysulfone)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소혈청 알부민(BSA)을 이용한 내오염성 평가 및 염기성 용액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산성 용액인 구연산(citric acid)을 이용해 장기 함침하여 내화학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간에 따른 수투과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와 성능의 감소에 대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후 소혈청 알부민으로 오염된 막의 화학적 용액에 따른 역세척 후 회복효율을 파악하였다. PSf 중공사 막은 뛰어난 내화학성을 가졌으며 화학적세척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효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