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rchase satisfaction

검색결과 1,001건 처리시간 0.03초

청소년의 백제문화 유물에 대한 선호도와 패션문화상품 구매행동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 이미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56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reference of Baekje culture relics and to examine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421 adolescents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Baekje relics preference items, fashion cultural products purchasing behaviors items, and subject'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x^2$ test,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crown ornaments of the King Muryong in Kongju region, and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halo in Buyeo region. Second,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T-shirts and accessory items, and modern image. As product selection criteria, they considered aesthetic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llowed by symbolism and practicality. Adolescents evaluated the resonable purchase pri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s less than 20,000 won for T-shirts, cap & bag, and less than 10,000 won for accessories. The adolescent's satisfaction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as low, and the main dissatisfaction was high prices, and the lack of practicality and diversity. Third, the preference for Baekje cultural relics and purchasing behaviors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sex of adolescents. This study showed that fashion culture products for adolescents need to be designed in a modern sense with a unique cultural symbolism, focusing on T-shirts and accessories items. In addition, fashion cultural products companies should established the product developmen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adolescents.

Survey on the Use of Farm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Vegetable Garden in Jeonbuk Area

  • Lee, Sang Mi;Jang, Yoonah;Chae, Young;Han, Kyung Sook;Lee, Byoung Kwon;Jeong, Sun Jin;Gim, Gyung M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73-48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s of farming materials required for creating and operating elementary school vegetable gardens and to propose a plan for vitalizing busines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arming materials purchased most for the operation of the school gardens were seeds materials focused on seedlings, compost/fertilizer, and farming tools focused on trowels, sprinklers, and hoes. Purchases of farming materials were made mostly through the internet, while most purchases of seedlings were made in pesticide sto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 related to the use of farming materials. Thus,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highly accessible and reliable internet sources are recommended to provide the lists of farm products necessary as well as related information to help users in purchase and use in order to create and operate the school garden. In order to supply high-quality seedlings,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the kinds of seedlings, management, cultivation, delivery methods, and the like, focusing on pesticide stores producing and distributing seedlings. Providing such information for participants will improve their satisfaction. Also, if businesse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use these study results in producing, preparing, managing and selling seedlings and farming materials, they will also be able to generate profits and vitalize urban agriculture.

Using Motivation of Short Video Advertising Marketing in China: An Exploratory Study of Douyin

  • Zeng, Na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229-237
    • /
    • 2021
  •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이론과 실증 분석을 통해 중국 사용자의 라이브방송 구매 참여동기와 영향 요소를 연구하고, 사용자의 수요 변화를 파악하여 트랜드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라이브방송 구매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했다.실증 분석은 SPSS와 AMOS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통계 분석, 신뢰성 및 유효성 분석, 구조 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여 가설에 대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단편 동영상 업계의 핵심 경쟁력과 브랜드 개성이 사용자의 가치 인식에 반영되어 사용 동기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자의 라이브 쇼핑 참여는 맹목적인 순종이 아니며 능동적인 선택권이 있는 전자 상거래 속성을 더욱 강화하고 "허위 만족"을 없애야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파될 수 있다. 브랜드측은 사용자의 구매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온라인 마케팅의 개성을 강화하고 사용자의 가치를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드름 환자에서 여드름 패치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sage of Acne Patches in Patients with Acne)

  • 정혜정;장동혁;이재인;배주윤;안지영;박미연
    • 대한피부과학회지
    • /
    • 제56권9호
    • /
    • pp.539-542
    • /
    • 2018
  • Background: Patients with acne are at risk of using various over-the-counter drugs (OTCs). In addition, several OTCs are introduced in pharmacies in Korea. However, only few drugs are supported by well-established data. Among the treatments, acne patches are easy to purchase and use. Thus, they are widely used by patients.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atient's perception and usage of acne patche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0 patients with acne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or 2 months. Results: A total of 42 (52.5%) patients answered that they had used acne patches, and 38 (47.5%) patients stated that they had never used patches. Moreover, 27 (64.29%) patients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patches on inflammatory lesions. Moreover, several patients were using acne patches after pricking themselves. There was only one response to confirm the ingredient when purchasing acne patch. Moreover, 14 (33.33%)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noted side effects after using acne patches. Overall, the satisfaction score for the use of acne patches was 5.05. Conclusion: Patients often use acne patches because they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However, they do not know how to properly choose and use the product that fits their skin. Therefore, doctors must educate patients on how to properly select and use the products.

수단-목적사슬이론을 이용한 소셜커머스의 사용자 가치 분석 (User Value Analysis in Social Commerce Using Means-End Chain Theory)

  • 최정아;임영우;곽기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6
    • /
    • 2022
  •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에 따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소셜커머스는 다중 스마트 기기의 사용과 함께 빠르게 성장해왔다. 쿠팡과 티켓몬스터와 같은 소셜커머스 사이트들의 빠른 성장을 감안한다면 소셜커머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구매 의사 결정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목표에 대한 이해를 보다 풍부하게 발전시키고자 한다. 둘째, 사용자의 목표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대안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래더링 인터뷰와 수단-목적사슬 분석을 활용했다. 소셜커머스를 활용한 구매 경험이 6개월 이상인 사용자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분석 결과, 사용자의 목표 구조를 보여주는 위계적 목적지도가 도출되었다. 본 지도는 타인과의 따뜻한 관계, 쇼핑의 재미와 즐거움, 성취감, 만족감, 금전적 저축, 편의성 등을 포함한 소셜커머스의 22가지 궁극적인 목표를 담고 있다. 또한 활동에서부터 궁극적인 목표까지 다양한 경로가 존재하기에 사용자가 추구하는 목표를 조사하면 사용자를 이해하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구매자 열위, 공급자 우위 시장에서 전략품목의 속성이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ategic Item Attributes on Strategic Partnership in Supplier Dominant Relationship-Focused on Shipbuilding Industry)

  • 양한나;곽재웅;신창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9-268
    • /
    • 2022
  • 일반적인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관계와 달리, 구매자보다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계는 특히 조선 산업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Kraljic의 연구에서 제시된 전략품목(strategic items) 개념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급자의 교섭력이 우위인 시장에서 구매자의 전략품목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요인과 신뢰요인 간의 경로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요인과 만족요인간의 경로계수도 차순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자가 지각하는 교섭력의 우열에 따른 인식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일부 경로계수에서 유의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식품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배달 또는 테이크아웃 음식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ustomer Perception about Food Safety on the Use of Restaurant Food Delivery or Takeout)

  • 백선영;석용희;이현숙;함선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8권3호
    • /
    • pp.182-194
    • /
    • 2022
  • After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s been an explosive increase in restaurant meal delivery or take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sumer perception of food safety and its influence on the purchase of delivery or takeout food from restaurants. This study, the 2020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CBSF), was conducted from June 10 to August 21 2020. A total of 6,35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consumer perception about food safe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whether they used delivery or takeout. Concern about food safety, satisfaction with dietary habits, and the ability to maintain safe dietary habits were higher in the non-user group. Except for food at home, the perception about food safety at other locations was higher in the user group. Food hazards such as antibiotics were perceived to be safer in the user group. Second, the perception of food safety affecting use of delivery or takeout wa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delivery or takeout increased when the perception of the safety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delivery or takeout food, and the ability to be informed about the harmful factors of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offer the basis for the food and food service industry to consider safety issues seriously and develop strategies to lead to feasible practices. Further, this study also supports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toward strengthening the safety of new segments which have shown explosive growth in the COVID-19 era.

메타버스를 활용한 반려견 패션쇼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og Fashion Show Program Using Metaverse)

  • 편진범;선우희은;홍윤서;김정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01-107
    • /
    • 2023
  • 본 연구는 메타버스 반려견 패션쇼가 지닐 컨셉과 기능을 연구,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반려동물 패션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빠르게 성장하는 패션산업과는 다르게 견주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반려동물 의류 구매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메타버스를 통해 보완하여 메타버스 반려견 패션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실제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 대한 상승세와 메타버스 및 가상 패션쇼의 사회적 동향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사용자 요구분석을 통해 기존 반려견 의류 구매 특성을 살펴보고 견주의 니즈를 도출하였다. 셋째, 이에 적합한 콘텐츠의 형태를 설정하고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콘텐츠 소비환경을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견주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기능을 도출하여 개발하였다. 향후에는 이를 토대로 실제 반려견 의류 사업과 연결, 명확한 결제 시스템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Hierarchical Model of Consumer Orientation

  • Seungbae Park;Jaewo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17-227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9 한국 소비자 시장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소비자 의사결정 여정(CDJ) 관점에서 소비자 시장평가 항목을 계층화하고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즉, 소비자시장평가 항목을 선택비교단계, 선택결정단계, 구매 후 경험단계로 구분하고 CDJ 모형의 경험에 해당하는 불만피해 여부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계층화한 모형을 제시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지향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시장 평가지표 변수들간의 관계는 소비자 의사결정 단계에 따라 계층화할 수 있으며,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피해경험의 유무에 따라 소비자시장평가(신뢰성, 가격)가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딥러닝 기반 가상 피팅 기능을 갖는 중고 의류 거래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econdhand Clothing Trading System with Deep Learning-Based Virtual Fitting Functionality)

  • 정인환;황기태;이재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22
    • /
    • 2024
  • 본 논문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가상 피팅 기능을 갖춘 중고 의류 거래 시스템의 구현을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가 중고 의류를 온라인으로 시각적으로 착용하고 핏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합성곱(CN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형상과 의류의 디자인을 고려한 가상 착용 모습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구매자는 온라인에서 실제로 의류를 입기 전에 핏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판매자는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의류 사이즈와 핏을 제시할 수 있어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CNN 모델의 학습 절차, 시스템의 구현 방법, 사용자 피드백 등을 자세히 다루고,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