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ventilation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5초

순환식 유산소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보행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it Aerobic Exercise on Gait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 박종준;최윤희;차용준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3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positively affects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12) or a control group (n=12). All participants received 60 minute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circuit aerobic exercise for 30 minutes, while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performed a general aerobic exercise, i.e.,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for 30 minutes. These 30-minute exercise sessions were held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Pulmonary function was assessed us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gait endurance was assessed using the 6-minute walk test (6MWT). RESULTS: In the both groups, FVC, FEV1, MVV, and 6MW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VC, FEV1, and MVV, an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s than controls (p<.05). However, 6MWT improve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 devised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offers an effective rehabilitation aerobic exercise fo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Effects of Farinelli Breating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Ittinirundorn, Supawit;Wongsaita, Naiyana;Somboonviboon, Dujrath;Tongtako, Wannapor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2호
    • /
    • pp.137-146
    • /
    • 2022
  • Background: Farinelli breathing (FB) exercise is a typical breathing exercise used by singer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ffects of FB exercise and diaphragmatic breathing (DB) exercise on respiratory function and symptom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Sixteen patients aged 51-80 years with mild or moderate COPD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B group (n=8) and FB group (n=8). Both groups received complete breathing exercise training five times per week for 8 weeks. Their respiratory functions, COPD symptoms, cytokine levels, and oxidative stress variables were analyzed during pre- and post-tests. 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tests using paired t-test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variables between the groups. Differenc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at p<0.05. Results: The maximal expiratory pressure (MEP), maximum oxygen consumption (VO2max), and COPD Assessment Test (CAT) scores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DB group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at pre-test, whereas force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EP, VO2max, CAT score, tumor necrosis factor-α, and malondialdehyde level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FB group at post-test compared to those at pre-test. Moreover, both MIP and MEP in the FB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DB group. Conclusion: FB exercise improved respiratory functions and COPD symptoms of patients with COPD. It might be an alternative breathing exercise in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COPD.

호흡 재교육 훈련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자세, 삶의 질,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실험 (Effects of Breathing Re-education Training on Pain and Dysfunction Levels, Posture, Quality of Lif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이상휴;김선엽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42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raining on breathing re-education on pain and dysfunction levels, posture, quality of life (QoL),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4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nd upper thoracic breathing pattern were included.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ither the routine physical therapy program (RPTP) (CG; n=17) or RPTP and breathing pattern re-education training (EG; n=17). The CG and EG groups performed RPTP for 40 minutes, and only the EG groups performed breathing re-education training for 10 minutes. Exercises were performed thrice weekly for both groups. Level of pain and dysfunction, posture, QoL and pulmonary function statu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four weeks of intervention,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Korean version of neck disability index, cranio-vertebral angle, cranial rotation angle, and 12-item short form health survey-physical and mental component summar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1). However, only NPRS, 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 and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and measurement time (p<.01). Conclusion: Breathing re-education training and RPTP may be optimal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nd may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neck pain and pulmonary function.

  • PDF

Effect of Preadmission Metformin Use on Clinical Outcom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Diabetes

  • Jo, Yong Suk;Choi, Sun Mi;Lee, Jinwoo;Park, Young Sik;Lee, Chang-Hoo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Lee, Sa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3호
    • /
    • pp.296-303
    • /
    • 2017
  •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related to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There are no proven therapeutic measures however, to improve the clinical course of ARDS, except using low tidal volume ventilation. Metformin is known to have pleiotropic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hypothesized that pre-admission metformin might alter the progress of ARD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from January 1, 2005, to April 30, 2005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medical ICU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ARDS, and reviewed ARDS patients with DM. Metformin use was defined as prescribed within 3-month pre-admission. Results: Of 558 patients diagnosed with ARDS, 128 (23.3%) patients had diabetes and 33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tformin mo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diabetic medica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use of ARDS, and comorbid conditions (except chronic kidney disea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metformin users and nonusers. Several severity indexes of ARD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 30-day mortality was 42.42% in metformin users and 55.32% in metformin nonusers. On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use of metformi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 reduced 30-day mortality (adjusted ${\beta}-coefficient$, -0.19; 95% confidence interval, -1.76 to 1.39; p=0.816).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es showed similar results. Conclusion: Pre-admission metformin use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ed 30-day mortality among ARDS patients with DM in our medical ICU.

폐 환기 SPECT에서 고감도 Collimator와 정량분석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High-Sensitive Collimator and Quantitave Analysis in Lung Ventilation SPECT)

  • 김정수;김상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2호
    • /
    • pp.89-99
    • /
    • 2015
  • 본 연구는 광자 신호의 검출 효율에 따른 collimator의 특성과 폐기능 정량분석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고감도 collimator 폐 환기 SPECT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1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초고해상도, 고해상도, 고감도 3종류의 collimator를 이용하여 평면 스캔과 SPECT를 비교 실험하였다. 기존 검사방법인 고해상도 collimator 평면 스캔과 비교하여 정량분석 결과는 유의하였으며(p=0.89), 고해상도 collimator SPECT보다 4.9배의 시간이 단축되었다. 따라서 효용성 저하로 제한적으로 시행하였던 폐 환기 SPECT는 고감도 collimator를 이용하면 진단 정보의 양과 질, 검사시간의 단축 측면에서 효과적이므로 추후 임상적용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 질 향상을 위한 PC Skillreporting system 활용방안 (Use of PC Skillreporting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Cardiac Pulmonary Resuscitation in Fire EMT)

  • 노상균;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498-1503
    • /
    • 2010
  • 이 연구는 컴퓨터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활용이 심폐소생술의 질 향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일개 대학 응급구조학과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에서 11월까지 4주에 걸쳐 16시간 동안 성인심폐소생술에 관한 이론과 실기를 컴퓨터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심폐소생술 마네킹을 활용하여 교육 후 심폐소생술의 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그룹에서 인공호흡 불어넣기 부분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p<0.000), 전체적인 정확도 측면에서도 메트로놈 활용보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2). 흉부압박에는 너무 약하게 실시한 횟수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00). 결론적으로 심폐소생술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피드백이 가능한 PC Skillreporting system을 활용한 술기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중환자실로 입원한 폐결핵 환자의 임상 양상과 예후 인자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 강지영;김명숙;김주상;강현희;김승수;김용현;김진우;이상학;김석찬;문화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5호
    • /
    • pp.259-266
    • /
    • 2010
  • Background: Pulmonary tuberculosis (TB), requiring the intensive care unit (ICU) care, has been a high-mortality condition until now.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features and parameters associated with TB mortality. Methods: From August 2003 to December 2008, patients with microbiologically or histologically confirmed pulmonary TB then admitted to the ICU,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into the study. Upon enrollment,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Forty three patients (30 males, 13 females) were included and their mean age was 63.8 years (range: 17~87 years). Twelve patients died, an overall in-hospital mortality of 27.8%. The main reason for the ICU care was dyspnea or hypoxemia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n=17). Other diagnoses for ICU care were hemoptysis, monitoring after procedures, neurologic dysfunction, shock, and gastrointestinal bleeding. On un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tality were malnutrition-related parameters including low body mass index, hypoalbuminemia, lymphocytopenia, and hypocholersterolemia, as well as severity-related variables such as high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APACHE) score, number of involved lobes, and high C-reactive protein. In addition,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ntributed to patient fatality. It was shown on multivariate analysis that respiratory failure and hypoalbuminemia were significantly independent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mortality. Conclusion: Acute respiratory failure i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ICU care and also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poor outcome. In addition, our data suggest that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could be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mortality.

기관지확장증의 환기역학 (Ventilatory Dynamics in Bronchiectasis)

  • 김연재;박재용;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48-557
    • /
    • 1993
  • 연구배경 : 기관지 확장증은 비가역적 병변으로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폐기관지의 감염으로 인하여 많은 예에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및 기관지천식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들에서의 폐기능도 동반되는 질환이나 침범범위등에 따라서 다양하리라 생각이 되어 기관지 확장증의 병리해부학적 형태의 차이, 그리고 호흡곤란의 정도에 따른 폐기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방법 : 1985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경북대학병원에서 기관지 조영술사진에 의해 기관지확장증으로 확진된 93예를 대상으로 폐활량, 최대환기량, 노력성호기곡선 및 기류-용량 곡선에서 계측할 수 있는 각종지표와 closing volume을 구하여 기관지조영술상의 낭종형, 원통형 및 혼합형 등의 기관지확장증의 형태 및 Hugh-Jones의 호흡곤란의 정도에 따른 성적을 비교검토 하였다. 결과: 1) 이환된 폐구역수의 평균은 원통형(tubular), 낭종형(saccular) 및 혼합형(mixed) 에서 각각 4.7, 6.9, 7.8개였고 폐활량 및 노력성 호기곡선의 모든 계측치와 PEF를 제외한 호기류속도를 반영하는 계측치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저명하게 감소하였다. 2) MVV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CV/VC는 낭종형 및 혼합형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호흡곤란의 정도가 심할수록 이환된 폐구역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폐환기능은 이와 비례하여 저하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기관지확장증에서의 환기기능은 제한성환기 장애와 폐쇄성환기 장애가 동반되어 있으며 이는 호흡곤란의 정도가 심할수록, 낭종형 및 혼합형일수록 뚜렷하였다.

  • PDF

압력보조 환기법으로 기계호흡 이탈시 최소압력보조(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의 결정 (Determination of Minimal Pressure Support Level During Weaning from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 정복현;고윤석;임채만;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2호
    • /
    • pp.380-387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법은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시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인공환기법으로 적절한 압력보조 수준이 이탈 과정에 중요하며 특히 최소압력보조 (minimal pressure support) 수준에서 환자의 환기 상태가 적절하면 치료자는 인공 호흡기로 부터 여탈 및 기관내 관을 발관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적절한 최소압력 보조 수준의 적용은 환기 이탈 기간의 장기화나 이탈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탈기 환자들이 최소압력보조 치의 범위를 알아보고 또한 최대 흡기유량과 총환기계 저항의 곱으로 구한 최소압력보조치의 계산값과 환자의 기관내 관 끝에서 실측한 값 사이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도식으로 계산된 최소압력 보조 값의 임상적 유용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기저 질환이 호전되어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한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폐 감시기 (CP-100 pulmonary monitor, Bicore, USA)를 이용하여 부가된 호흡일을 구한 후 최소압력보조의 수준을 직접 측정하였고, 이들 중 9예에서는 또한 유도식 (peak inspiratory flow rate$\times$total ventilatory system resistance=minimal pressure support)을 이용하여 최소합력보조의 수준을 구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 16명중 14명에서 측정한 최소압력보조의 실측치는 4~12.5 cm$H_2O$로써 환자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각각 15, 21 cm$H_2O$로써 높게 측정되었으나 기관내 관을 발관 후 내강이 기도 분비물로 심한 폐쇄가 발견되었다. 실측치를 측정한 16명중 9명에서 유도식을 이용하여 최소압력 보조의 계산치를 구하였으며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는 평균 0.81로 실측치 보다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측치와 계산치의 상관 계수는 0.88(p=0.00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 시도시 최소압력보조 수준의 결정은 유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적용하는 것이 치료자가 임의적으로 일정한 값을 적용하는 것보다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최소압력보조 수준에서 추가적 1시간 T-piece 시도가 이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al 1 hour T-piece Trial on Weaning Outcome to the Patients at Minimum Pressure Support)

  • 홍상범;고윤석;임채만;안종준;박완;심태선;이상도;김우성;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813-822
    • /
    • 1998
  • 연구배경: 압력보조환기로 이탈시 발판 시기는 최소보조압력수준에서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압력보조환기법에 의한 이탈시 기관내 관의 발관을 최소압력보조법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서도 기관내 관의 재삽관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때로는 T-piece 시도를 1 시간 더한 뒤 기관내 관을 제거하는 방법도 시행되고 있다. 이는 환자의 호흡예비력을 좀더 확실하게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관내 관 자체가 높은 기도 저항을 유발하므로 환자의 호흡 일이 증대되어 오히려 이탈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본 저자들은 최소압력보조치에서 1 시간 T-piece 추가가 이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5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서울중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이탈을 시도한 4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탈 대상이 되는 환자는 모두 압력보조환기방법으로 이탈을 진행하고 압력보조수준이 최소압력보조치에 이르면 환자를 무작위로 실험군 (1시간 T-piece 시도)과 대조군(즉시 발관)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전체 42회 이탈의 최소압력보조치는 7.6 [${\pm}1.9$, (4-13)] cm $H_2O$였다. 1. 환자들의 기저 상태 : 두 군간 환자들의 총 기계환기 시간, APACHE III 접수, 영양지표, 분당 호흡수, 얕은 숨지수, 호흡, 일 등에서 차이가 없었다. 2. 두 군간 성공률 및 호흡역학의 차이 : 실험군이 55%, 대조군이 70%로 즉시 발관한 군이 성공률이 높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p>0.05). 재삽관률도 실험군이 18%, 대조군이 20%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에서 1시간 T-piece 시도후 일회호흡 용적, 분당 호흡수, 얕은 숨지수, 호흡 일에서 악화된 소견을 보였으며(P<0.05), 특히 실험군내의 실패군에서는 일회호흡용적, 호흡 일, 압력시간곱의 악화가 심하였다 (P<0.05). 3. 성공군과 실패군 분석 : 전체 성공군에서 총 기계환기 시간이 유의있게 낮았고 ($246{\pm}195$ 시간 대 $407{\pm}248$ 시간, P<0.05), 일회호흡용적은 유의하게 높았다 ($0.43{\pm}0.11$ L 대 $0.35{\pm}0.10$ L). 결 론: 이상의 결과로서 최소압력보조치에서 1 시간 T-piece 추가는 환자의 호흡 일을 증가시키며 이탈 성공률에 있어 최소압력보조치에서 즉시 발관하는 방법에 비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압력보조환기 양식으로 이탈을 시도할 때는 최소압력보조치에서 즉시 발관하는 것이 나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