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surgical procedure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4초

기능적 단심실 환자에 대한 심장내 외측통로 폰탄술식의 중기 수술성적 (Mid-term results of IntracardiacLateral Tunnel Fontan Procedur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 Functional Single Ventricle)

  • 이정렬;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72-480
    • /
    • 1998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0년부터 1996년까지 104례의 기능적 단심실을 가진 선천성심기형 환아에 대하여 심장내 외측통로술을 이용한 완전폰탄술을 시행하였다. 환아의 연령 및 체중분포는 각각 평균 35.9(범위 10-72) 개월, 12.8 (범위 6.5-37.8) kg이었다. 술전진단은 삼첨판폐쇄증(18), 단심실연결을보이는 중복개구심실(53) 및 기타 기능적 단심실을 동반한 복잡심기형(33)이었다, 50례의 환아에 대하여 체폐동맥 단락술 (37), 폐동맥밴딩(13), 외과적 심방중격절제술(15), 동맥전환술(2), 대동맥하 누두부제거술(2), 총폐정맥이상연결증(2), 폐동맥-대동맥봉합술(Damus-Stansel-Kaye, 1) 등의 고식술이 시행되었다. 완전폰탄술식전 19례의 양방향성 체정맥-폐동맥단락술과 1례의 전(全)체정맥-폐동맥단락술(Kawashima procedure)이 진행되었다. 술전 혈역학소견상, 평균 폐동맥압/폐혈관저항은 14.6 (범위 5-28mmHg) / 2.2 (범위0.4-6.9)wood.unit였으며, 폐혈류/체혈류비가 평균 0.9 (범위0.3-3.0)였다. 이완기말심실압은 평균 9.0 (범위 3.0-21.0) mmHg였고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는 평균 76.0 (범위 45.6-88.0) %였다. 수술은 분계능(terminal crest) 2cm 외측으로 우심이부터 우심방-하공정맥경계부에 종절개를 가하고 하공정맥개구부부터 상공정맥개구부 또는 우심이까지 Gore-Tex 인조도관을 이용하여 외측통동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통로상에 4-5.5 mm 직경의 구멍을 만들어 주었다. 동시에 시행한 술식은, 폐동맥성형술(22), 심방중격절제술(21), 폐정맥이상연결증 교정(4), 영구적인 인공심박동기거치(3) 등이었고, 32례에 대하여 통로내 구멍을 만들어 주었으며 그중 1례는 조절형(adjustable)으로 시행하였다. 심방-폐동맥 연결 방법으로 시행한 폰탄술 후 4년후에 발생한 재발성 난치성 상심실형 부정맥환아 1례에 대하여 외측통로형의 변환 폰탄술식이 시행되었다. 수술 직후 혈역학 소견상 평균 폐동맥압, 이완기말심실압, 실온에서 동맥혈의 산소포화도가 각각 12.7 (8-21)mmHg, 7.6 (범위4-12)mmHg, 89.9 (범위68-100) %였다. 병원사망율은 6.7 (7/104) %였고 술후 합병증으로 지속적인 늑막삼출(11), 부정맥(8), 유미흉(9), 중추신경계손상(5), 감염 및 염증(5), 급성신부전(4)이 발생하였다. 평균 27.2 (범위1-85) 개월동안의 외래 추적결과 5명의 만기 사망이 있었다. 저자등은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심장내 외측통동폰탄술식이 기능적 단심실 환자에 대하여 비교적 낮은 사망율 및 합병증과 우수한 혈역학으로 시행될수 있는 수술방법이란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

거대 기포성 폐기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Bullous Emphysema with Giant Bullae)

  • 장재한;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08-413
    • /
    • 1996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있는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대부분은 외과적 처치에 대한 위험성이 높지만 기포 성 폐기종이 한쪽 폐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외과적 치료는 안전하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 서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외과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대상환자를 정하는 것이다. 전북대 학교병 원 흉부외 과학교실에서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 11명을 수술 치료 하였다. 남자가7명,여자가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19세에서 61세까지 였다. 외과적 치료의 대 상은.점 차 진행하는 호흡곤란이 있으며, 한쪽 흥강의 113 이상을 점유하는 거대 기포가 있고, 기관 및 종 격동을 환측 반대 쪽으로 밀고있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은 폐기포 절제 및 쐐기 절제술 7례, 폐구역 절제술 2례, 그리고 폐엽 절제술 2례 시행하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의 증상과 폐기능 검사소 견은 수술후 향상되 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되어진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에서는 외과적 치료가 안전하고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좌측 주기관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Chondroma)

  • 김영아;정재한;장윤수;김형중;안철민;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78-83
    • /
    • 2000
  • 기관지내 연골종은 드문 양성 종양으로 폐 절제술 또는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므로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종례는 2년간의 호흡곤란으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아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흉부 전산화 촬영 후 기관지내 결핵 및 악성 종양 의심하에 기관지 절제술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 받고 기관지내 연골종으로 최종 진단 받은 환자로 현재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

  • PDF

수술 전 폐혈관 유순도가 심장 외 도판을 이용한 Fontan 수술 후 늑막 삼출 기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ulmonary Vascular Compliance on the Duration of Pleural Effusion Duration after Extracardiac Fontan Procedure)

  • 윤태진;임유미;송광재;정성호;박정준;서동만;이무송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8호
    • /
    • pp.579-587
    • /
    • 2006
  • 배경 : 단심실 교정을 시행함에 있어 수술 전 위험 인자가 많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수술 후 장기간의 흉관 배액, 단백 소모성 장질환, 폐혈관 색전증, 사망 등의 불량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단심실 교정에 대한 기존의 위험 인자 분석은 수술 결과를 예측함에 있어 미흡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저자 등은 폐혈관 유순도를 새로이 정의하고, 낮은 폐혈관 유순도가 수술 후 흉관 배액 기간을 길게 한다는 가설을 세워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을 받은 총 96 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행적으로 분석하였다. 동 기간 중 기존의 단심실 교정을 심장 외 도관으로 교체한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수술 후 늑막 삼출 기간의 위험 인자 분석에는 12가지 수술 전 위험 인자들을 지수화한 Fontan risk score (FRS) 및 기타 다양한 수술 전, 수술 중 위험 인자들을 포함시켰으며, 본 연구를 위하여 전기로 analogue를 폐순환에 적용하여 계산된 폐혈관 유순도 (pulmonary vascular compliance, PVC, $mm^2/mmHg/m^2)$를 위험인자로 추가하였다. 전기 회로 analogue에 의하면 PVC는 폐동맥 지수 (pulmonary artery index, $mm^2/m^2$)를 총폐저항 (total pulmonary resistance, Wood $Unit{\cdot}m^2$) 및 폐 혈류량 (pulmonary blood flow, $L/min/m^2$) 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이는 폐혈관의 크기와 저항, 폐 혈류량 등을 동시에 고려하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결과 변수인 흉관 거치 기간은 자연로그를 취해 정규 분포화하고 이를 log indwelling time (LIT)으로 정의하였으며, 분석 대상 위험 인자들과 LIT 의 관계에 대한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조기 사망은 없었고 만기 사망은 4 명 (4.2%)이었으며, 단심실 교정시 fenestration이 추가된 경우는 1예 있었다(1 %). 수술 전 PVC, 흉관 거치 기간, LIT는 각각 ${6{\sim}94.8\;mm^2/mmHg/m^2}$ (중간값:24.8), $3{\sim}268$일 ( 간값 : 20 일 ), $1.1{\sim}5.6$ ( 평균: 2.9, 표준 편차: 0.8) 이었다. 단변 수 분석상 FRS, PVC, 체외 순환시간 (CPB) 및 술 후 12 시간째의 중심 정맥압 등이 LIT와 연관되었으나, 다변수 분석상 PVC (p=0.0018) 및 CPB (p=0.0024)만이 독립적으로 LIT를 예측하였다. 두 변수는 LIT 변이에 대하여 21.7%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식은 다음과 같았다. LIT=2.74-0.0158 PVC+0.00658 CPB. 결론: 새로이 정의된 폐혈관 유순도는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 후의 흉관 거치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로서, 수술 전 위험 인자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심방세동의 최신 외과적 치료 (Recent Advances in Surgery for Atrial Fibrillation)

  • 이동협;정태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3-26
    • /
    • 2005
  • Atrial fibrillation (AF) is the most common cardiac rhythm disturbance, which carries significant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The medical treatment for AF is cumbersome and unsatisfactory, which has highlighted the need to develop alternative treatments for AF. The recent discovery that AF is often initiated by atrial ectopic beats has resulted in treatments designed to target the ectopic sources, particularly those within the pulmonary veins. Building on the pioneering work of Cox et al., a recent reported series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treating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for other structural heart diseases with limited, left-atrial ablation lesion sets using alternative energy sources. As less complex modifications of the Maze procedure have been developed, a number of energy sources have been introduced to create of electrically isolating lesions within the atria. These sources have been used both endocardially in arrest heart procedures as well as epicardially in a beating heart setting. This review summarizes the recent advances in surgery for AF that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 to cure patients with AF.

  • PDF

Translocation of the Aortic Arch with Norwood Procedure for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Variant with Circumflex Retroesophageal Aortic Arch

  • Lee, Chee-Hoon;Seo, Dong Ju;Bang, Ji Hyun;Goo, Hyun Woo;Park, Jeong-J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89-393
    • /
    • 2014
  • Retroesophageal aortic arch, in which the aortic arch crosses the midline behind the esophagus to the contralateral side, is a rare form of vascular anomaly. The complete form may cause symptoms by compressing the esophagus or the trachea and need a surgical intervention. We report a rare case of a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variant with the left retroesophageal circumflex aortic arch in which the left aortic arch, retroesophageal circumflex aorta, and the right descending aorta with the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encircle the esophagus completely, thus causing central bronchial compression. Bilateral pulmonary artery banding and subsequent modified Norwood procedure with extensive mobilization and creation of the neo-aorta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translocation of the aorta, the airway compression was relieved. The patient underwent the second-stage operation and is doing well currently.

흉부외상 환자중 개흉술이 필요했던 53례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53 Patients Requiring open Thoracotomy After Thoracic Injuries)

  • 김규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1호
    • /
    • pp.1115-1124
    • /
    • 1991
  • Recently the thoracic injuries have been markedly increasing due to the vast increase of traffic accident, industrial disaster, and incidental accident as well as the frequent use of the murderous weapons including gun or rifle. Because the thoracic injuries could involve the heart, lung, and great vessels, and would influence the lives, prompt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are essential. Most of thoracic injuries can be managed with the conservative treatment and simple surgical procedure such as closed thoracostomy, but certain cases require open thoracotomy to preserve lives and to return to their normal environment. The authors have analysed the result of 53 cases of open thoracotomy after thoracic injuries mainly according to the patient`s chart review. The mean age was 33.4 years old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5: l. Injury mechanisms that elicited thoracic trauma indicated for open thoracotomy were penetrating[47%] and non-penetrating[53%] injuries. The Most common type of the thoracic lesion was hemothorax with or without pneumothorax and diaphragm rupture was the second. 58\ulcornero of thoracic injuries were accompanied by abdominal injuries and 47% by bone fractures. 34 patients were operated within 24 hours after injury and their average elapsed time was 13.6 hour. The remained patients were operated after 24 hours and their average elapsed time was 7.8 days. 71 cases of operative procedures containing some overlappings were performed: diaphragm repair[28], bleeding control[12], pulmonary and cardiac repair[4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32.1% and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9.4%[5/53].

  • PDF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 (Anatomical Repair of Congenitally Corrected Transposition with Apicocaval Juxtaposition - 1 case report -)

  • 김웅한;이택연;김수철;전홍주;한미영;김수진;이창하;정철현;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49-752
    • /
    • 1999
  • 최근 여러 병원에서 선천성 수정대혈관전위의 해부학적 교정이 보고되고 있다. 해부학적 교정을 받은 수 정대혈관전위 환아의 단기 및 장기추적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주로 심방전환수술에 따르는 대정맥과 심방 문합 부\ulcorner의 협착과 상심실성 부정맥이며 이는 심방이 작은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되고 특히 심첨과 대정맥 이 동측에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이런 경우 이중전환수술시 일부 선택된 환아에서 대정맥폐동맥단락 술을 추가함으로써 수술의 위험성과 심방의 잠재성 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원에서는 수정대 혈관전위, 심실중격결손, 폐동맥폐쇄가 있으면서 심첨과 대정맥이 동측에 있는 환아의 해부학적 교정시에 대 정맥폐동맥단락술을 추가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Recent advances in pediatric interventional cardiology

  • Kim, Seong-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8호
    • /
    • pp.237-244
    • /
    • 2017
  • During the last 10 years, there have been major technological achievements in pediatric interventional cardiology.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everal advances in cardiac imaging, especially in 3-dimensional imaging of echocar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cineangiography. Therefore, more typ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can be treated in the cardiac catheter laboratory today than ever before. Furthermore, lesions previously considered resistant to interventional therapies can now be managed with high success rates. The hybrid approach has enabled the overcoming of limitations inherent to percutaneous access,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endovascular therapies as adjunct to surgical interventions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minimize invasiveness. Percutaneous pulmonary valve implantation has become a successful alternative therapy. However, most of the current recommendations about pediatric cardiac interventions (including class I recommendations) refer to off-label use of devic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safety and efficacy of catheterization and transcatheter therapy in pediatric cardiac patients. This difficulty arises from the challenge of identifying a control population and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pediatric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Nevertheless, the pediatric interventional cardiology community has continued to develop less invasive solutions for congenital heart defects to minimize the need for open heart surgery and optimize overall outcomes. In this review, various interventional procedure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re explored.

방광뇨와 혼합정맥혈의 산소분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bladder urine $O_{2}$ tension and mixed venous blood $O_{2}$ tension in human)

  • 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9권4호
    • /
    • pp.563-568
    • /
    • 1986
  • Tissue 02 tension is an important guide in detection of the general condition in critical patients. The tissue 0, is more difficult to measure with 0, sensor in skeletal muscle and subcutaneous tissues to present. But it is much easier to measure 0, tension in bladder urine with Censini catheter in Foley catheter than in tissue. We have measured 0, tension in bladder urine, main pulmonary artery and radial artery in 16 patients in chest surgical department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September 26 to December 22, 1981. Six patients were male and ten patients were female. Their ages ranged from 8 to 43 years. The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the simultaneously measured PuO2 and PvO2 was found to be Ypvo2=4.04 + 0.88 Xpuo2 [r=0.88, p<0.0001] in regression curve with computer [HP/3,000, Program: SPSS] in the Yonsei University. Measurement of 0, tension in bladder urine and MPA will be rather simple, rapid and reproducible method than that of the 0, tension in tissues. But the speed of 0, consumption in urine is fast and so the 0, tensions in bladder urine were measured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y were collected. They were no complications or morbidity during measurement of 0, tension in these procedures except spontaneous removal of radial arterial cannulas in 2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