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resection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19초

Expres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mTOR in Surg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issues: a Case Control Study

  • Liu, Zhe;Wang, Liang;Zhang, Li-Na;Wang, Yue;Yue, Wen-Tao;Li, Q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39-6144
    • /
    • 2012
  • Aims: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is master regulator of the PI3K/Akt/mTOR pathway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NSCLCs. Here we characterized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mTOR and its functional associated molecules including PTEN, IGF-1R and 4EBP1 in surgically resected NSCLCs. Methods: Fifty-four patients with NSCLC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were included in current study. mRNA levels of mTOR, PTEN, IGF-1R, and 4EBP1 were evaluated by RT-PCR and protein expression of mTOR, PTEN, and IGF-1R by immunohistochemistry (IHC). Association of expression of the relevant molecules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orrelations between mTOR and PTEN, 4EBP1 and IGF-1R were also assessed. Results: The results of RT-PCR showed that in NSCLCs, the expression level of mTOR increased, while PTEN, 4EBP1 and IGF-1R decreased. Statistical analysis indicated high IGF-1R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advanced clinical stage (stage III) and PTEN expression was reversely associated with tumor size (P=0.16). The results of IHC showed mTOR positive staining in 51.8% of cases, while IGF-1R positive staining was found in 83.3% and loss of PTEN in 46.3%. Protein expression of mTOR was correlated with its regulators, PTEN and IGF-1R, to some extent. Conclusions: Abnormal activation of mTOR signaling, high expression of IGF-1R, and loss of PTEN were observed in resected NSCLC specimens. The poor expression agreement of mTOR with its regulators, PTEN, and IGF-1R, implied that combination strategy of mTOR inhibitors with other targets hold significant potential for NSCLC treatment.

재발성 갑상선 암 (Recurred Thyroid Carcinoma)

  • 박규일;윤정한;제갈영종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2-81
    • /
    • 1992
  • Thyroid cancer, the most common cancer of endocrine neoplasms, has tremendous variation in tumor biologic behavior.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reatment mode to prevent recurrences despite of recent advance in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thyroid cancer. So, we have made a clinical analysis and follow-up study of recurred 27 cases among 189 cases treated under the diagnosis of thyroid carcinoma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82 to February, 1992 to clarify our experienc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recurred thyroid cancer. The results were as follow: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classification of recurred thyroid cancer, recurrence rate was 11.6% in papillary carcinoma, 15.6% in follicular carcinoma, 37.5% in medullary carcinoma, 66.7% in undifferentiated carcinoma, respectively, and the mean recurrence rate of thyroid cancer was 14.3%. The recurrence rate according to age was 28.6% in 8th decade and 17.9% in 4th decade. The recurrence rate according to sex was not singificant(15.6% in male: 14% in female). The mean period to relapse was 4 years 6 months in papillary carcinoma, 2 years 5 months in follicular carcinoma, 2 years 1 months in medullary carcinoma, 2 years 6 months in undifferentiated carcinoma. The recurrence rate according to previous operating methods, such as performing lymph node dissection or not, mode of thyridectomy, type of lymph node dissection was statisfically non-specific. Common recurrent sites of papillary and follicular carcinoma was cervical lymph node and remained thyroid tissue. Medullary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was noted in multiregional or systemic involvement Reoperation was performed with complete resection of recurred or metastatic mass, such as radical neck dissection or mass extirpation from involved organs as possibl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2 cases of horseness, and 1 case with hematoma, transient hypocalcemia, wound infection, and pulmonary insufficency, respectively. 5-year survival rate was 85.5% in papillary carcinoma, 66.7% in follicular carcinoma. 50% in medullary carcinoma, and 50% in undifferentiated carcinoma. We concluded that recurrence in thyroid cancer give a reconsideration to previous conservative therapy and more extensive surgical procedures for thyroid cancer including lymphatic dissection are recommanded to prevent recurrences in selected cases if possible.

  • PDF

외상성 간 손상 환자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Management of Traumatic Liver Injury)

  • 한선욱;이화수;배상호;강길호;김성용;백무준;이문수;김형철;조무식;김창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06
  • Purpose: The live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injured organs by blunt or penetrating abdominal trauma. Patients with liver injury can be treated by using nonoperative or operative manag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patients with traumatic liver injury who were treated by using operative management. Methods: Ninety-eight patients with traumatic liver injury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4 at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demographic, clinical, operative, and postoperative data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Among the patients with operative management,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decades. The male-to-female ratio was 1.9:1. The most frequent injury mechanism was blunt trauma (85.7%).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as the diagnostic modality used most frequently. Severe liver injury above Grade III was seen in 80.6% of all patients, and long bone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combined injury. Patients were managed by using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simple closure, liver resection, and perihepatic packing. Pulmonary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5.7%).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7.3%. Between the survival group and the expired group, the amount of transfusion for the expired group was statistically more than that for the survival group. Conclusion: Operative manage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liver injury. The amount of transfusion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기관지 유암종의 수술 치료와 장기 성적 (Surgical Management and Long-Term Outcome of Bronchial Carcinoids)

  • 정경영;강정한;김길동;최성실;신동환;김세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381-386
    • /
    • 2002
  • 배경 및 목적: 기관지 유암종은 전체 폐암의 약 2%를 차지하며 전형적 유암종과 이형성 유암종으로 나누어진다. 이형성 유암종은, 신경 내분비성 폐암의 범주에서 양끝을 차지하는, 낮은 악성도의 전형적 유암종과 높은 악성도의 소세포 폐암의 중간형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형성 유암종의 수술 범위, 수술 후 전신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관해서 상반되는 주장이 있다. 이에 본원에서 수술 받은 기관지 유암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15명의 기관지 유암종 환자가 수술 치료를 받았다. 그중 전형적 유암종이 10명, 이형성 유암종이 5명이었다. 병리학적 진단은 WHO/IASLC(1999)의 기준에 따랐다. 결과: 수술은 전폐 절제술 3예, 폐엽절제술 11예, 구획 절제술 1예였다. 전형적 유암종의 경우 1명(10%)에서 국소 림프절 전이를 보였고, 이형성 유암종의 경우 3명(70%)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를 나타내었다. 수술 후 원격 전이는 전형적 유암종에서는 1명(10%)이었으나, 이형성 유암종에서는 4명(80%)에서 나타났다(p=0.017). 수술 후 5년 생존율은 전형적 유암종에서는 100%인 반면, 이형성 유암종에서는 20%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전형적 유암종의 생존율이 높았다(p=0.0039). 결론: 이형성 유안종의 경우 진단 당시부터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많고 수술 후 생존율도 낮으므로, 비소세포성 폐암에 준하여 폐엽절제술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고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 후 항암화학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athologic Correlation of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ytokeratin 19 Fragment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Lee, Seokkee;Lee, Chang Young;Kim, Dae Joon;Hong, Dae Jin;Lee, Jin Gu;Chung, Kyung Yo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192-196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ytokeratin 19 fragment (Cyfra 21-1) levels and pathologic parameters in patients with resected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527 patients who underwent pulmonary resection of NSCLC were reviewed.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serum CEA and Cyfra 21-1 levels and variables that had p-values of less than 0.05 in a t-test or one-way analyses of variance was analyz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erum CEA and Cyfra 21-1 levels prior to surgery were $6.8{\pm}23.1$ mg/dL (range, 0.01 to 390.8 mg/dL) and $5.4{\pm}12.3$ mg/dL (range, 0.65 to 140.2 mg/dL). The serum CEA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umor (T) and lymph node (N) stage and histology. The serum Cyfra 21-1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 stage, tumor size, and histology.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dicated that serum CEA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 (T3/4 vs. T1: ${\beta}$=8.463, p=0.010) and N stage (N2/3 vs. N0: ${\beta}$=9.208, p<0.001) and histology (adenocarcinoma vs. squamous cell: ${\beta}$=6.838, p=0.001), and serum Cyfra 21-1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umor size (${\beta}$=2.579, p<0.001) and histology (squamous cell vs. adenocarcinoma: ${\beta}$=4.420, p=0.020). Conclusion: Serum CEA level was correlated with T and N stage, and Cyfra 21-1 with tumor size. CEA and Cyfra 21-1 showed histologic correlation. CEA is mainly elevated in adenocarcinoma and Cyfra 21-1 in squamous cell carcinoma. These results might be helpful for predicting pathologic status in preoperative NSCLC.

Bronchoscopic Ethanolamine Injec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ir Leak from Chest Tube Drainage

  • Lim, Ah-Leum;Kim, Cheol-Hong;Hwang, Yong-Il;Lee, Chang-Youl;Choi, Jeong-Hee;Shin, Tae-Rim;Park, Yong-Bum;Jang, Seung-Hun;Park, Sang-Myeon;Kim, Dong-Gyu;Lee, Myung-Goo;Hyun, In-Gyu;Jung, Ki-Suck;Shin, Ho-Se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2권5호
    • /
    • pp.441-447
    • /
    • 2012
  • Background: Chest tube drainage (CTD) is an indication for the treatment of pneumothorax, hemothroax and is used after a thoracic surgery. But, in the case of incomplete lung expansion, and/or persistent air leak from CTD, medical or surgical thoracoscopy or, if that is unavailable, limited thoracotomy, should be considered. We evaluate the efficacy of bronchoscopic injection of ethanolamine to control the persistent air leak in patients with CTD. Methods: Patients who had persistent or prolonged air leak from CTD were included, consecutively. We directly injected 1.0 mL solution of 5% ethanolamine oleate into a subsegmental or its distal bronchus, where it is a probable air leakage site, 1 to 21 times using an injection needle through a fiberoptic bronchoscope. Results: A total of 15 patients were enrolled; 14 case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idiopathic 9,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3, post-tuberculosis 2] and one case of empyema associated with broncho-pleural fistula. Of these, five were patients with persistent air leak from CTD, just after a surgical therapy, wedge resection with plication for blebs or bullae. With an ethanolamine injection therapy, 12 were successful but three (idiopathic, COPD and post-tuberculosis) failed, and were followed by a surgery (2 cases) or pleurodesis (1 case). Some adverse reactions, such as fever, chest pain and increased radiographic opacities occurred transiently, but resolved without any further events. With success, the time from the procedure to discharge was about 3 days (median). Conclusion: Bronchoscopic ethanolamine injection therapy may be partially useful in controlling air leakage, and reducing the hospital stay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ir leak from CTD.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 (Malignant Transformation of Giant Cell Tumor Not Associated with Radiotherapy)

  • 이상훈;오주한;유광현;서성욱;안준환;김한수;임수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9
    • /
    • 2002
  • 목적 : 거대 세포종이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 전환하는 것은 매우 드문 경우로 저자들이 경험한 4례를 분석하여, 흔하지 않은 악성 전환된 거대 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의 방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했던 거대 세포종 112례 중 방사선 조사 없이 악성화한 4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악성전환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4년(최저 1.3년, 최고 4년)이었다. 결과 : 거대 세포종의 진단 후 악성 전환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6.9년(최저 2.2년, 최고 13.5년)이었고, 근위 상완부 연부 조직, 근위 대퇴골, 원위 대퇴골, 근위 경골에 각각 1례씩 발생하였다. 3례에서는 골 육종으로, 1례에서는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으로 악성 전환이 일어났으며, 국소 재발은 1례, 폐 전이는 골 육종으로 악성 전환한 3례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결론 : 방사선 조사 없이 속발한 거대 세포종의 악성 전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리 조직의 철저한 채취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 사료되며, 방사선 소견상 악성 전환이 의심될 때는 부적절한 절제술을 시행하기보다는 절개 생검을 먼저 시행한 후 치료 방침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50여년 전 한 흉부외과 의사의 강의록 (Lecture Note of a Thoracic Surgeon, Fifty More Years Ago)

  • 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807-812
    • /
    • 2009
  • 고 이찬범(李燦范) 교수(1915~1967)는 국내 흉부외과학의 초기 개척자 중의 한 사람으로 1957년부터 1967년 간암으로 인한 투병 사망 시까지 초대 서울대학병원 흉부외과 과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경성제대 의학부 출신으로 외과의로 활약하다 6.25 동란과 함께 육군 군의관으로 근무하면서 흉부외과 특히 폐외과 분야와 본격적인 인연을 맺게 되었다. 당시 흉부전상 환자에 대하여 흉부파편적출, 만성농흉에 대한 흉막박피술 등을 시행하였고 특히 1953년 8월 13일에는 폐부분절제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도 하였다. 최근 이러한 이찬범 교수의 생전 학생 강의록이 발견되었다. 전량 자필로 기록된 이 강의록은 지금으로부터 50여년 전 그가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과장으로 취임하던 1957년 초부터 1959년 하반기 미국 연수를 떠나기 전까지 거의 2년 반에 걸쳐 만든 것으로, 국내 흉부외과학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강의록은 일반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파일형 흑색 노트북으로 강의록 본문의 내용은 모두 277페이지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강의록에는 책의 내용과 함께 동반 그림들을 일일이 직접 옮겨 그린 75편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 강의록을 통해 초기 흉부외과 학생교육에 대한 정황의 일부를 살펴봄으로서 과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흉부외과학의 보다 나은 발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외과적 고찰 (Surgical Evaluat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안병희;문형선;나국주;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9-186
    • /
    • 1997
  • 노인 인구와 증가와 공해의 심화 및 진단기술의 발달로 원발성 폐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폐암의 치료방법은 외과적 완전절제가 가장 효과적 인 방법 이나, 진단시 완전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25%~30%에 불과하고 완전 절제술을 받은 환자도 폐암의 아형, 병소의 진행정도,림프절의 전이 정도 및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장단기 생존율에 차이가 있다. 이에 저자는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임상적 소견이 수술후 장단기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최근 10년동안 폐암으로 완전 절제술을 받았던 148례 중 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87례에 대하여 술후 임상성적을 조사하였다. 연령은 31세 에서 73세까지로 평균 57.13 $\pm$ 7.15세이었고 50대와 60대가 전체의 80.5%를 차지하였으며 남자가 78례 여자가 9례로 남녀비는 8.9 1이었다. 입원시 주증상으로는 기침이 78.2%로 가장 많았고 체중감소(31.0%), 흉통(29.9%), 각혈 및 혈담(24.1%) 등이 있었다. 좌우 발생빈도는 우측이 44.8%, 좌측이 55.2%였으며 폐엽별 발생빈도는 좌상엽에 39.1%, 우하엽에 20.7%, 좌하엽에 16.1%,우상엽 14. 9%로 좌상엽에서 가장 높았다. 술후 병리조직검사 소 傷\ulcorner의한 병기는 제1병기는 19.5%, 제2병기는 25.3%, 제3a병기는 54.1%, 제)b병기는 1.1%이었다. 수술수기로는 전폐절제술이 52.9%로 가장 많았으며 47.1%에서는 폐엽절제술을, 4례에서는 상엽절제술 및 기관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종격동 림프절전 이는 단일 림프절전이가 17례이 었고, 2곳 이상의 종격동 림프절전이는 23례 였으며, 우측 종양에서는 하부 기관주위부 림프절 및 기관분기부 림프절전이가 8례와 10례로 가장 많았고, 좌측 종양에서는 대동맥 하림프절전이가 9례로 가장 많았다. 술후 2례가 폐부종에 의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여 수술사망률은 2.2%이 었으며, 수술합병증으로는 애성이 7례, 창상감염이 5례, 유미흉이 4례 있었다. 수술후 추적관찰 기간은 1개훨에서 99개훨까지 평균 29.95$\pm$ 17.21개월이었고 전체 환자의 술후 1년 생존율은 75.1%, 5년 생존율은 29.8%이었다 병기에 따른 1년 및 5년 생존률은 제1병기에서 93.7%와 52.4%이 었고, 제2병 기 에서는 92.2%와 30.5%이 었으며, 제3a병기에서는 61.2%와 17.4% 이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폐암 환자에서는 병소가 적고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를 일으키기 전에 조기 에 발견하여 외과적 완전 卉┝珦\ulcorner시행하는 것이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기관지 폐포암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Study of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

  • 최진원;박익수;김진호;윤호주;신동호;김태화;박성수;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26-35
    • /
    • 1994
  • 연구배경 : 기관지 폐포암의 발생빈도가 타 원발성 폐암의 발생속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조기진단 및 이에 따른 적절한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진 경우 뛰어난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 기관지 폐포암에 대한 보고가 적고 무엇보다도 이 암의 임상양상이나 방사선학적 소견이 우리 주변의 흔한 다른 폐질환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 감별진단이 어려우므로 적절한 수술시기를 놓칠 수 있어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폐포암 환자의 임상적 양상, 방사선학적 소견, 치료 및 그에 따른 예후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5년간 발생한 기관지 폐포암 환자 24예를 대상으로 환자의 성별, 연령분포, 주 증세 발현시기, 흡연력, 선행 폐질환의 유무 등을 조사하였고 내원당시 환자의 자각증상 및 이학적 소견을 분석하고 치료를 받은 환자에 있어 예후를 조사하였으며 각각의 방사선학적 소견에 따른 예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결과: 1) 5년간 진단받은 기관지 24예는 폐포함 24예는 동 기간 발생한 원발성 폐암의 1.3%였다. 2) 대상 환자의 남녀비는 1:1.4이였고 50대가 13예(54.1%)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대상 환자중 1~3개월전 주 증세가 발현한 경우가 8예(33.3%)로 가장 많았고 주 증세로 기침이 15예(65%), 객담 및 흉통이 각각 7예(29.2%)이였다. 3) 방사선학적소견상 고립성 결절형이 13예(54.2%)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다발성 결절형 6예(25%), 침윤성 4예(16.7%), 공동을 동반한 결절형 1예(4%)의 순이였다. 4) 기관지 폐포암의 진단은 미세침 폐생검을 통해 14예(58.3%), 객담 세포검사를 통해 11예(45.8%)에서 확진을 얻었으며 경기관지 폐생검으로 7예(29.2%), 개흉 폐생검으로 2예에서 확진을 얻었다. 5) 진단시 환자들의 병기는 stage IIIb 이상이 14예(58.3%)로 수술적 치료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6) 대상 환자중 stage IIIa이하인 7예와 stage IV 1예, 총 8예에서 폐절제술, 폐엽절제술, 설절제술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중 타 질환으로 사망한 1예를 제외하고 4예에서 최고 61개월간 재발의 증거 없이 생존하고 있으며 4예 모두 고립성 결절형이거나 국소적인 병변을 가진 stage I, II의 환자들이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 따른 예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고립성 결절형인 경우 6개월, 12개월 누적 생존율이 각각 66.6%, 58.3%로 66.6%, 1.67%의 다발성 결정형인 경우 보다 뛰어난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관지 폐포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임상의사의 적극적인 노력과 환자의 협조로 기관지 폐포암을 조기발견하여 가능한한 초기에 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고 사료되며 특히 병변이 고립성 결절형이거나 국소적일 경우 폐절제술 및 폐엽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야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