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et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56초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II. 난구성분에 대한 유전력 유전상관추정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II. Estimations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Egg Components)

  • 한성욱;상병찬;백승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3-199
    • /
    • 1989
  • 본 연구는 전국재래오골계의 난구성분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추정하여 닭의 효율적인 개량을 위한 육종목표의 설정과 선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사육장에서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500일동안 부가계 20수와 모가계 150수에서 생산된 450수 자손으로부터 계란 58,320개의 난구성분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구성분중에서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백중은 각각 $24.003\pm$2.499, $28.345\pm$2.755$31.636\pm$3.341g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황중에 있어서는 각각 $10.272\pm$1.536, $16.346\pm$1.321$19.212\pm$1.611g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각중은 각각 $3.906\pm$0.414, $4.336\pm$0.506$4.822\pm$0.515g이었다. 2. 난구성분의 유전역 추정치는 부분산성분, 모분산성분 및 부모분산성분에서 난백중은 각각 0.620~0.723, 0.206~0.300 및 0.413~0.511이었고, 난황중은 0.439~0.737, 0.484~0.737 및 0.516~0.615이었으며, 난각중에서는 각각 0.172~0.387, 0.412~0.642 및 0.309~0.503이었다. 3. 난구성분간의 유전상관 및 표현형상관은 난백중과 난자중간에 각각 0.089~0.654, 0.984~0.235 이었고, 난백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396~0.925, 0.225~0.544이었으며, 난황중과 난각중간에는 각각 0.227~0.375, 0.098~0.358이었다.

  • PDF

Beak Trimming Methods - Review -

  • Glatz, P.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1호
    • /
    • pp.1619-1637
    • /
    • 2000
  • A review was undertaken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range of beak-trimming methods available or under development. Beak-trimming of commercial layer replacement pullets is a common yet critical management tool that can affect the performance for the life of the flock. The most obvious advantage of beak-trimming is a reduction in cannibalism although the extent of the reduction in cannibalism depends on the strain, season, and type of housing, flock health and other factors. Beak-trimming also improves feed conversion by reducing food wastage. A further advantage of beak-trimming is a reduction in the chronic stress associated with dominance interactions in the flock. Beak-trimming of birds at 7-10 days is favoured by Industry but research over last 10 years has shown that beak-trimming at day-old causes the least stress on birds and efforts are needed to encourage Industry to adopt the practice of beak-trimming birds at day-old. Proper beak-trimming can result in greatly improved layer performance but improper beak-trimming can ruin an other wise good flock of hens. Re-trimming is practiced in most flocks, although there are some flocks that only need one trimming. Given the continuing welfare scrutiny of using a hot blade to cut the beak,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more welfare friendly methods of beak-trimming. Despite the developments in design of hot blade beak-trimmers the process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That is, a red-hot blade cuts and cauterises the beak. The variables in the process are blade temperature, cauterisation time, operator ability, severity of trimming, age of trimming, strain of bird and beak length. This method of beak-trimming is still overwhelmingly favoured in Industry and there appears to be no other alternative procedures that are more effective. Sharp secateurs have been used trim the upper beak of both layers and turkeys. Bleeding from the upper mandible ceases shortly after the operation, and despite the regrowth of the beak a reduction of cannibalism has been reported. Very few differences have been noted between behaviour and production of the hot blade and cold blade cut chickens. This method has not been used on a large scale in Industry. There are anecdotal reports of cannibalism outbreaks in birds with regrown beaks. A robotic beak-trimming machine was developed in France, which permitted simultaneous, automated beak-trimming and vaccination of day-old chicks of up to 4,500 chickens per hour. Use of the machine was not successful because if the chicks were not loaded correctly they could drop off the line, receive excessive beak-trimming or very light trimming. Robotic beak-trimming was not effective if there was a variation in the weight or size of chickens. Capsaicin can cause degeneration of sensory nerves in mammals and decreases the rate of beak regrowth by its action on the sensory nerves. Capsaicin is a cheap, non-toxic substance that can be readily applied at the time of less severe beak-trimming. It suffer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an extreme burning sensation in operators who come in contact with the substance during its application to the bird. Methods of applying the substance to minimise the risk to operators of coming in contact with capsaicin need to be explored. A method was reported which cuts the beaks with a laser beam in day-old chickens. No details were provided on the type of laser used, or the severity of beak-trimming, but by 16 weeks the beaks of laser trimmed birds resembled the untrimmed beaks, but without the bill tip. Feather pecking and cannibalism during the laying period were highest among the laser trimmed hens. Currently laser machines are available that are transportable and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beak-trimming using ablasive and coagulative lasers used in human medicine should be explored. Liquid nitrogen was used to declaw emu toes but was not effective. There was regrowth of the claws and the time and cost involved in the procedure limit the potential of using this process to beak-trim birds.

한국재래오골계(韓園在來鳥骨鷄)의 주요경제형질(主要經濟形質)과 난구성분(卵構成分) 및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표현형상관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Traits and Egg Components, Egg Qualities in Korean Native Ogol fowl)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87-94
    • /
    • 1990
  • 본(本)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韓國在來烏骨鷄)의 효율적(效率的)인 선발(選技) 및 육종계획(育種計劃)을 수립(樹立)하는데 필요(必要)한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구성분(卵構成分) 및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을 추정(推定)하고자 1987년(年) 6월(月) 18일(日)부터 1989년(年) 4월(月) 6일(日)까지 사육(飼育)되어온 재래오골계(在來烏骨鷄)에 대(對)한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구성분간(卵構成分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체중(體重)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 각각(各各) 0.083~0.591, 0.110~0.541 및 0.336~0.782로 정(正)의 계수(係數)이었고 초산일령(初産日令)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467~0.692, 0.256~0.631 및 0.420~0.519 이었으며 산란수(産卵數)와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578~0.240, -0.255~0.060 및 -0.477~-0.313으로 낮은 부(負)의 계수(係數)이었으며, 난중(卵重)과 난백중(卵白重), 난황중(卵黃重) 및 난성중간(卵聲重間)에는 각각(各各) 0.825~0.939, 0.382~0.564 및 0.374~0.937로 높은 정(正)의 추정치(推定値)이었다. 2. 경제형질(經濟形質)과 난질간(卵質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체중(體重)과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 간(間)에 각각(各各) 0.215~0.367, 0.248~0.650, 0.161~0.624 및 0.157~0.499이었고, 산란수(産卵數)와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간(間)에 각각(各各) -0.384~-0.207, -0.557~-0.306, -0.555~-0.198 및 -0.582~-0.074로 부(負)의 계수(係數)이었으며, 난성(卵重)과 난형지수(卵型指數), 난성(卵聲)두께, 난백고(卵白高) 및 Haugh units 간(間)에 각각(各各) 0.27~0.697, 0.290~0.627, 0.238~0.538 및 -0.207~0.020이었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IV. 체형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알 추정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IV. Estimations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the Body Conformations)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1991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체형에 대한 효율적인 개량을 위한 육종목표의 설정과 선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사육되어온 한국재래오골계의 부가계 20수와 모가계 150수에서 생산된 450수 자손 의 검정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형측정치에 있어서 8주, 24주 및 300일령시의 정강이 길이는 각각 $7.817\pm$0.363, $9.576\pm$0.390$9.646\pm$0.389cm이었으며, 흉폭은 각각 $3.469\pm$0.234, $4.310\pm$0.345$4.752\pm$0.343cm이었고, 흉위는 각각 $22.819\pm$1.082, $36.719\pm$1.793$39.008\pm$1.709cm이었으며, 경골장은 각각 9.141$\pm$0.558, 13.183$\pm$0.499및 13.560$\pm$0.552cm 이었다. 2. 체형에 대한 8주령부터 300일령까지 유전력 추정치는 부분산성분, 모분산성분 및 부모분산성분에서 정강이 길이는 각각 0.235~0.290, 0.589~0.890 및 0.437~0.565이었고, 흉폭은 각각 0.185~0.237, 0.444~0.536및 0.314~0.392이었으며, 흉위는 각각 0.218~0.552, 0.499~0.746 및 0.486~0.558 이었고, 경골장은 각각 0.391~0.432, 0.281~0.543및 0.340~0.446이었다. 3. 체형 측정치간의 유전상관은 정강이 길이와 흉폭, 흉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237~0.863, 0.277~0.729 및 0.378~0.915로 정의 계수이었고, 흉폭과 흉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637~0.889, 0.384~0.903으로. 대체로 높은 추정치이였고, 흉위와 경골장간에는 0.905~0.990으로 아주 높은 정의 계수이었다.

  • PDF

동일한 단백질 수준의 사료에서 Methionine과 Lysine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Methionine and Lysine Levels in. 15% Iso-protein Diet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이상진;김삼수;정선부;곽종형;하정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31
    • /
    • 1991
  • 사료의 methionine과 lysine수준이 산란계의 산란기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백질 수준을 15%로 동일하게 하였을 때 methionine과 lysine수준을 달리하는 3개 처리(methionine 0.30%, 0.32% 및 0.35% : lysine 0.58%, 0.64% 및 0.70%)에 22주령의 갈색산란계 28수 공시하여 1989년 1월 28일부터 1990년 3월 23일까지 60주간에 걸친 사양시험과 대사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methionine 0.32%, lysine 0.64 %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산란중기에서는 methionine 0.30%, lysine 0.58% 수준에서 산란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2. 난중은 methionine 및 lysine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methionine 0.32%, lysine 0.64%수준보다 높였을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고, 이 수준보다 낮추었을 경우에는 난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0.01). 3. 1일 1수당 산란양은 methionine 0.32%, lysine0.64%수준보다 높였을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낮추었을 경우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산란초기와 산란중기에는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4. 사료섭취양은 methionine 및 lysine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산란말기에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5. 사요요구율은 methionine 0.32%, lysine 0.64%수준에서 가장 우수하여 산란초기와 산란중기에서는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1). 6. 성계생존율은 methionine 0.32%,lysine 0.64%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나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7. 시험사료의 영양소 이용률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이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 Methionine 0 32%, lysine 0.64% 수준에서 도체율은 높고 복강지방 축적율은 낮은 경향이었다. 9. 난각질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 계란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은 사료의 methionine과 lysine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11. 산란 ㎏당 사료비는 methionine 0.32%, lysine 0.64%수준에서 가장 절감되었으며,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 PDF

육용종계의 선발지수 추정에 관한 연구 I. 육용종계 부계통과 모계통의 유전적 모교추정 (Study on the Estimation of Selection Index in Broiler Breeder I.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in Broiler)

  • 김기경;손시환;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6-92
    • /
    • 1984
  • 본 연구의 목적은 육용종계 부계통과 모계통에 있어서 4주령시 체중(BW), 32주령시 란폭(EB), 란장(EL), 란중(EW), 란형지수(SI) 및 38 주령까지의 산란수(EN)에 대한 유전적 모수 추정으로서 공시재료로는 전협가금육극농장에서 사육되고 있는 부계통 C line 및 모계통 G line으로서 총 1,193수의 82년도 성적을 분석하였다. 1. 일반능력에 있어서 C계통의 체중, 란폭, 란장, 란형지수, 란중 및 산란수에 대한 평균은 각각 668.34g$\pm$47.18, 4.23cm$\pm$0.11, 5.49cm$\pm$0.19, 77.06%$\pm$2.98, 55.73g$\pm$3.54 및 59.72개$\pm$13.39이며, G계통에서는 487.89g$\pm$41.43, 4.22cm$\pm$0.11, 5.51cm$\pm$0.19, 76.72%$\pm$3.20, 55.43g$\pm$3.26 및 76.93개$\pm$12.77이었다. 산란수에 대한 변이계수는 다른 형질보다 컸다. 2. 유전력은 부분산성분, 모분산함분 및 부모분산성분으로부터 각각 구하였으며 C계통에 있어서 부모분산성분으로부터 추정된 유전력은 체중, 란폭, 란장, 란형지수, 란중 및 산란수에 대해 0.30, 0.29, 0.40, 0.22, 0.45, 0.60으로 각각 추정되었고 G계통에서는 0.33, 0.23, 0.28, 0.13, 0.49 및 0.33으로 각각 추정되었다. 3. 각 형질간의 상관관계는 C와 G계통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은 란중과 란폭간(C; 0.99, G; 0.94), 란중과 란장간(C; 0.75, G; 0.82) 및 란폭과 란장간(C,G; 0.58) 에 나타났다. 높은 부의 상관은 란형지수와 란장간 (C; -0.70, G; -0.65)에 나타났으며 란형지수와 란중간에는 낮은 부의 상관(C; -0.11, G; -0.19)이 추정되었고 란형지수와 산란수 간에는 낮은 정의 상관(C; 0.25, G; 0.17)을 보였다. 다른 형질들 간에는 2계통 모두 낮은 또는 부의 상관이 나타났다. 부화율과 란형지수간에는 높은 정의 표현형 상관(0.63)이 추정되었으며 부화율에 대한 란형지수의 회귀는 Y=-216.77+7.6216$\times$-0.0146939X$^2$의 이차식으로 추정되었다.

  • PDF

동일한 Methionine과 Lysine수준의 사료에서 단백질수준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in Same Methionine and Lysine Diet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 이상진;김삼수;정선부;곽종형;이규호;강태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84
    • /
    • 1991
  •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산란계의 산란기별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methionine수준을 0.32%, lysine수준을 0.64%로 동일하게 하였을 때 단백질 수준을 달리하는 4개 처리(CP 12%. 13%, 14% 및 15%)에 22주령의 갈색산란계 384수를 공시하여 1989년 1월 28일부터 1990년 3월 23일까지 60주간에 걸친 사양시험과 대사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산란초기에는 단백질 15%, 산란중기에는 단백질 14%, 산란말기에는 단백질 13%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란초기와 산란중기 및 산란전기간에서는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5). 2. 난중은 단백질 15%와 14%수준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하의 수준에서는 단백질 수준이 낮아질수록 점차 감소하였으며, 산란초기(P<0.01), 산란중기 및 산란말기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3. 1일 1수당 산란량은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산란초기와 산란중기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P<0.01), 단백질 15%수준에 비하여 산란초기에는 14%, 산란중기에는 13% 및 산란말기에는 12%수준까지 큰 차이가 없었다. 4. 사료섭취량은 단백질 15%와 14%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13% 이하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산란초기와 산란중기에서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1). 5. 사료요구율은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차 개선되는 경향이었으며, 산란초기 (P<0.01)와 산란중기 및 산란전기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6. 성계생존율은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차 향상되는 경향이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7. 시험사료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에너지의 이용율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탄수화물 이용율은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8. 도체율과 복강지방 축적율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이나 유의차가 없었다. 9 난각질은 사료의 단백질 수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0. 계란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조성은 사료중의 단백질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11. 산란 kg당 사료비는 단백질 13%수준에서 가장 절감되었으나 처리간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III, 난형지수 및 난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추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III Estimations of th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the Egg Shape Index and Egg Qualities)

  • 한성욱;상병찬;김홍기;백승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78
    • /
    • 1990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난형지수 및 난질에 대한 유전력 및 유전상관을 추정하여 효율적인 개량을 위한 육종목표의 설정과 선발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동물사육장에서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500일동안 부가계 20수와 모가계 150수에서 생산된 450수의 자손으로부터 계란 58,320개의 난형지수와 난질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형지수 및 난질에 있어서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형지수는 각각 75.044, 74.169및 72.601 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각두께는 0.342. 0.320 및 0.326mm이었고,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의 난백고는 각각 6.014, 5.161 및 4.807mm이었고, Haugh units에 있어서는 초산시, 300일영 및 500일영시에 각각 83.903, 71.348 및 71.336이었다. 2. 난형지수 및 난질의 유전력 추정치는 부친의 분산성분, 모친의 분산성분 및 양친의 분산성분에서 난형지수는 초산시 0.120~0.827이었고, 300일영시 0.485~0.503이었으며, 500일영시 0.232~0.872이었고. 난각두께는 초산시 0.197~0.819이었으며, 300일영시 0.184 ~0.756이었고. 500일영시 0.279~0.557이었으며, 난백고는 초산시 0.202~0.678이었고, 300일영시 0.119~0.394이었으며, 500일영시 0.225~0.527이었고, Haugh units는 초산시 0.108~0.689이었고, 300일영시 0.237~0.251이었으며, 500일영시 0.354~0.443 이었다. 3. 난형지수 및 난질간의 유전상관에서 난형지수와 난각두께, 난백고, Haugh units간에 각각 0.596~0.909, 0.384~0.943 및 0.121~0.619로 정의 계수이었고, 난각두께와 난백고,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082~0.596 및 -0.076~0.167이었고, 난백고와 Haugh units간에는 0.374~0.964이었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제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V. 주요경제형질과 기타 형질간의 유전상관 및 표현형 상관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the Genetic Parameters on All Traits in Korean Native Ogol Fowl V.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Traits and Certain Other Traits)

  • 한성욱;상병찬;김홍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8
    • /
    • 1991
  • 본 연구는 한국재래오골계의 효율적 선발 및 육종계획을 위한 경제형질과 기타 개량 대상형질간의 유전상관 및 표현형 상관을 추정하고자 1987년 6월 18일부터 1989년 4월 6일까지 사육되어 온 재래오골계에 관한 제형질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제형질과 체형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정강이 길이, 흉폭, 흉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210∼0.788, 0.321∼0.826, 0.610∼0.995 및 0.096∼0.503으로 정의 계수이었고, 초산일영과 정강이 길이, 흉폭, 후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555∼0.626, 0.149∼0.270, 0.370∼0.445 및 0.014∼0.124이었으며, 산란수와 정강이 길이, 흉폭, 후위 및 경골장간에 각각 -0.460∼-0.167, 0.162∼0.320, 0.076∼0.336 및 0.203∼0.312이었고, 난중과 정강이 길이, 흉폭, 흉위 및 경골장간에는 각각 0.132∼0.498, -0.236-0.410, 0.148∼0.755 및 -0.019∼0.593이었다. 2. 경제형질과 난구성분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 각각 0.083∼0.591, 0.110∼0.541 및 0.336∼0.7823. 정의 계수이었고, 초산일령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는 각각 0.467∼0.692, 0.265∼0.631및 0.420∼0.519이었으며, 산란수와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는 각각 -0.578∼-0.240, -0.255∼-0.060 및 -0.477∼-0.313으로 낮은 부의 계수이었으며, 난중과 난백중, 난황중 및 난각중간에 각각 0.825∼0.939, 0.382∼0.564 및 0.374∼0.937로 높은 정의 추정치이었다. 3. 경제형질과 난질간의 유전상관은 체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 각각 0.215∼0.367, 0.248∼0.650, 0.161∼0.624 및 0.157∼0.499이었고, 산란수와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384∼-0.207, -0.557∼-0.306, -0.555∼-0.198 및 -0.582∼0.074로 부의 계수이었으며, 난중과 난형지수, 난각중,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276∼0.697, 0.290∼0.627, 0.238∼0.538 및 -0.207∼0.020이었다. 4. 난구성분과 난질간의 유전상관에서 난백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100∼0.584, -0.380∼-0.002, 0.239∼0.887 및 -0.195∼0.279이었고, 난황중과 난형지수, 난각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204∼0.160, -0.294∼0.133, -0.049∼0.133 및 -0.196∼-0.136이었고, 난각중과 난형지수, 난곡두께, 난백고 및 Haugh units간에는 각각 0.127∼0.503, 0.127∼0.476, 0.140∼0.273 및 -0.172∼0.223으로서 난각중 과 Haugh units를 제외하고는 정의 상관계수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