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private cooperation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3초

노인의 공적,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lderly private transfer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원경혜;이상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87-3796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의 공적 이전소득과 사적이전 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아노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논의 하였다.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따른 삶의 만족도, 자존감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적이전소득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과 공적이전소득은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와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적이전 소득 중 민간.개인보조금은 적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노인의 경제적 자립이 자존감을 높이는 계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공적이전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사적이전소득 중 자녀로 부터의 보조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가족 간의 지속적인 관심과 유대가 필요하다.

민간영역과의 공조에 의한 경비경찰 효율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security police through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 김진혁
    • 시큐리티연구
    • /
    • 제20호
    • /
    • pp.119-140
    • /
    • 2009
  • 국가와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경비경찰 작용은 인류가 공동체를 이루기 시작할 때부터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비작용은 처음부터 국가가 전담했다기 보다는 오랜기간 민간영역에서 자율적으로 수행되어 오다가 국가체제가 견고해 짐에 따라 공적영역이 그 기능을 흡수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위험이 상존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공경찰만으로는 사회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게 되었고, 때문에 민간영역과의 공조는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사안이다. 공경찰의 한계 속에서 경비업체와 일반시민들의 자율조직은 확장을 계속하고 있다. 때문에 이들은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삼각대로서 파트너쉽을 발휘해야만 한다. 경비경찰은 다양한 업무와 과도한 동원에도 불구하고 경비전담인력이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들의 전문성과 위기대처능력이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전방위로 펼쳐지는 국제테러의 시대에 경비경찰의 효율화는 더욱 시급한 문제이다. 민간영역은 경비업체와 민간자율조직의 참여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경비업체의 경우 양적인 팽창, 다양한 업무로의 진출 등 외형상의 급성장에 비하여 경비원의 자질과 업무능력의 문제가 대두된다. 순수민간활동에 있어서는 공경찰활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과 항시적 조직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필요가 제기된다.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공동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려면 공경찰영역에서는 채용방법의 변화, 경비경과 신설, 전문성 및 위기관리능력 강화가 필요하다. 경비업체의 경우 공경찰과의 공동교육을 통한 관계개선과 업무능력 강화 및 이를 통한 업무공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순수민간영역의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예비경찰대 창설 및 이들 민간자율조직에 대한 관리와 대시민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 PDF

The Role of Public Developer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Lee, Sam-Su;Jeong, Kwang-Jin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2호
    • /
    • pp.59-71
    • /
    • 2017
  • With the passing of Special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will be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in December 2013,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gun in full scale. 13 regions including Jongno District, Seoul were selected as the urban regeneration leading area in 2014 and 33 regions as urban regeneration general regions in 2015 to push ahead a nationwide urban regeneration front supported by government funds. However, it is not clear if thes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be revitalized by the sole means of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Above all, cooperation among all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that is propelling urban regeneration, local governments, state corporations, private entities, and citizens is urgent.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delegation between state and private entities is absolutely crucial.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ertinent local government must provide their support by forming new policies and repairing old institutions that are right for urban regeneration, securing the necessary subsidy, and outsourcing government-owned land development. A state corporation must play its part in every aspect that requires public character such as an overall project manage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infrastructure installation. The private stakeholder must share his private capital and know-hows as a construction investor and a development businessman to make possible a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order for these public and private entities to cooperate with one another,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 of a public developer and contemplate running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permeates public character through a public developer.

우주분야 공공민간협력을 위한 정책수단과 운영사례 연구 (Policy Instruments for Public Private Partnership and Lessons from Case Study in Space)

  • 신상우;김은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3-354
    • /
    • 2021
  • 공공민간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s)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운영방식이다. 최근 우주분야에서 공공민간협력이 중요해짐에도 불구하고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간 협력적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키는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는 선진국에서 사용 중인 16가지 정책수단을 4가지(구매계약, 재정지원, 연구개발지원, 자원지원)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미국, 유럽, 일본 등 5가지 공공민간협력 운영사례 연구를 통해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기업의 연구개발 협력 현황 및 수요 분석 (Analysis of Korean firm's demand on R&D partnership)

  • 문혜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3-390
    • /
    • 2006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연구개발 주체들 간 연구협력을 통한 지식의 확산 및 공유는 국가의 혁신 성과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0 년대 이후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 결과 최근에는 연구협력 건수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 기업들의 연구 협력 현황 및 수요를 분석한 결과는 공공 및 대학부문과의 연구협력이 기업의 혁신에 미친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특성별로는 첨단기술 산업분야의 대기업이 계열사 등의 관련 기업과 연구협력을 수행한 경우에만 협력의 성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협력 활성화 정책은 기업의 연구협력 수요에 바탕을 두고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국내외 건축센터의 운영주체별 역할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and Programs of Architectural Centers at Home and Abroad according to the Main Body of Operation)

  • 남지현;조희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3호
    • /
    • pp.31-4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ams and the roles of Architectural Centers by their types in terms of the main body of organiza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programs and the roles,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o have different roles and varied collaboration ways depending on their main body types : central, municipal, architectural associations, and other private sectors. We also investigate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Centers, their programs to promote the public and private partnerships focusing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ublic architecture, research & investigations, education & publ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 events.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out the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 ways of collaboration in public & private sectors for architectural centers and understand which aspec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architectural centers. Centers initiated by public sectors generally have been focusing on supporting funds and centers initiated by private sectors relatively have developed the field oriented programs activating collaborative network and public participation.

Public Private Partnerships in Chinese Port as Infrastructure

  • Kim, Jin-Hwan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7호
    • /
    • pp.45-52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look into and review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Chinese infrastructure process, especially focusing on port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methods to be applied is to examine PPPs that is a key way of cooperation in many infrastructure investment, financial matters, and then port industry as well. Results - It is well noticed that Chinese government has well managed with project, planning and investments in national infrastructure matters. Especially, this is clear message that government institutions for infrastructure planning has been well organized with systematic structure. However, even if it is involved with some risky business, PPPs should be asked for cooperation in the areas of financial, institutional and logistic part of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China. Conclusions - Every country has been in promoting its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it is not an exception in China. In order to get over inefficiency done by public sectors, Chinese government has invited a private sector in the form of PPPs, which gives more competitive opportunities, especially in port industry.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 연구 -외국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Ccollege Entrance Examination - Focused on English section)

  • 임응순;정영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60-2666
    • /
    • 2013
  • 한국에서는 교육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그 중에 영어교육에 상당히 치중해 있다. 이러한 교육에는 공교육과 사교육이 있는데, 대다수의 가구에서는 사교육에 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가구에서 지출하고 있는 사교육비와 수능성적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교육비의 지출과 수능성적 간에는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총 투입시간과 수능성적 간의 관계에서도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onsideration of the Public Diplomacy Act in Korea and a Few Suggestions

  • Park, Jongho;Kim,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54-161
    • /
    • 2022
  •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vigorated the activities of public diplomacy. It is based on the Public Diplomacy Act enacted in 2016. However, there is a widespread concern that it was belatedly enacted and showed necessity to a revision. We believe that this paper contains three contributions which were not sufficiently addressed before. First, we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public diplomacy-related legislation in Korea. Second, we argue the necessity to critically review the legal adequacy of Public Diplomacy Act with a consideration of rapidly 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Lastly, we propose several ways of revis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ublic diplomacy in Korea. When revising the Act, it is necessary to make clear a legal connection between the general law and the special law as in the case of the Korea Foundation Act and the Public Diplomacy Act. In this regard, it is wort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related norms. In addition,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and subnational governments should be expanded. For this purpose, a method and level of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clearly defined.

연구사업관리 주관기관에 따른 기술혁신 R&D 프로젝트 성과 영향분석: 공공과 민간 기업의 차이 비교 (The Effects on the R&D Projec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 Management Organiz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 이용규;박소현;김희경;이태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6-132
    • /
    • 2023
  • Technology innovation companies are focusing on contributing to business performance by R&D project as a strategic tool. Successful R&D leads to corporat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but there are high uncertainty and risks in R&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re carried out to achieve various purposes. It was verified how the risk management and benefit management of the R&D project affect the detailed R&D project performa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 The impact of Project Leadership on R&D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s at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es were surveyed. First, it was found that project risk and benefit management have partially an effect on R&D project performance. Second, Public and private R&D Project Leadership showed partially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