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ation

검색결과 1,565건 처리시간 0.025초

세계주요도시의 대중교통 경쟁력 비교 (A Comparison of Public Transportation Competitiveness in World Major Cities)

  • 김동준;김혜자;장원재;성현곤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1-91
    • /
    • 2006
  • 최근 지속가능 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통분야에서도 지속가능 한 개발을 위한 대중교통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중교통육성법 제정, 대중교통분야의 투자확대, 대중교통체계개편 등의 다양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중교통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시기에, 현재의 대중교통경쟁력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의 대중교통정책 및 그 효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향후 효과적인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대중교통의 전반적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으며 국제비교연구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여러 평가요소를 고려한 12개의 평가지표 선정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4개의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요인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60개의 세계주요도시를 8개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대중교통경쟁력수준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역(대륙)별 도시들 및 서울시의 대중교통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도시의 대중교통경쟁력수준과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통약자를 고려한 대중교통 서비스 디자인 연구 - 고령자 및 외국인 중심으로 - (A Study on Service Design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Transportation Vulnerable - Focused on elderly and Foreigner -)

  • 이승민;반영환;송인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23-236
    • /
    • 2016
  • 근대화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서울의 대중교통의 인프라는 국내외로 성공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재 가장 높은 수송 분담률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고도화 단계에 진입한 서울시의 대중교통은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특히 교통약자에 대한 이동성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 고령화 및 다문화 등의 사회적 변화에 맞춰 특정 계층의 대중교통 이용에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현황 및 이용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고령자 및 외국인을 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찰조사를 진행하고 행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 상세한 평가를 진행하여 대중교통수단과 이용단계 별 불편요소를 발굴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이디어 워크숍을 통해 개선요소를 정의하고 컨셉 디자인을 하여 향후 대중교통에 적용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여 추후 대중교통 서비스를 개선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도시가계의 교통비 지출 변화 : 1985-1998 (The Changes in Transportation Expenditure Patterns of Urban Households During 1985-1998)

  • 전윤숙;이희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9-15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ransportation expenditure patterns of urban households during 1985-19o8. The data were drawn from 'Annual Report on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Fo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ile, mea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by the SAS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levels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showed increasing trend, whereas the portions of public transportation expenditure have showed decreasing trend during 1985-1998. And both the level and the portion of private transportation expenditure showed increasing trends during 1985-1998. Second, the marginal propensities to consume of public transportation have decreased, whereas the marginal propensities to consume of private transportation have increased during 1985-1998. Third, income elasticities of public transportation showed decreasing trend during 1985-1998, impling that consumers have less demand public transportation with increasing income. And income elasticities of private transportation showed increasing trend till 1993, and then showed decreasing trend till 1998, impling that consumers have perceived the car as one of necessary goods rather than luxury goods gradually since 1993.

  • PDF

수도권 복합 대중교통망의 복수 대안 경로 탐색 알고리즘 고찰 (A Study on Finding the K Shortest Paths for the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in the Seoul Metropolitan)

  • 박종훈;손무성;오석문;민재홍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07-613
    • /
    • 2011
  • This paper reviews search methods of multiple reasonable paths to implement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of Seoul. Such a large scale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s Seoul, the computation time of path finding algorithm is a key and the result of path should reflect route choice behavior of public transportation passengers. Search method of alternative path is divided by removing path method and deviation path method. It analyzes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the complexity of algorithm for large-scale network. Applying path finding algorithm in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ransfer and loop constraints must be included to be able to reflect real behavior. It constructs the generalized cost function based on the smart card data to reflect travel behavior of public transportation. To validate the availability of algorithm, experiments conducted with Seoul metropolitan public multimodal transportation network consisted with 22,109 nodes and 215,859 links by using the deviation path method, suitable for large-scale network.

  • PDF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 심상우;정준영;오관교;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04-115
    • /
    • 2023
  •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국내 육상교통 수단의 변천과정에서 본 철도고통의 발전방향 (A study on the trend of the rail transportation in view of the change of Korea public transportation)

  • 최출헌;한석윤;정종덕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9
    • /
    • 2002
  • The traffic policy of a city in Korea has brought to many traffic problems by putting emphasis on the only side of mobility in the past that the personal transportation was put first in importance more than the public transportation. As the result of this policy, in the process that the traffic policy of large cities in Korea changes into accessibility, it is shown for re-lighting up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to be going to be able to get many suggestions in searching for the desirable developing direction of the new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will arrive at Korea in the future. Especially, compared with the policy of U.S.A. on the traffic plan that has concentrated on the road and the vehicle, and that of Europe that has put first in the walking and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thing that the lesson is given to us about what is important for the desirable city development. Transporta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a railroad transportation. a road transportation, a marine transportation, and an aerial transportation.

  • PDF

이용자 중심 대중교통 가치평가 체계제안과 제주지역 적용 연구 (Suggestion of user-centered public transportation value evaluation system and applied research in Jeju area)

  • 황경수;양정철;조항웅;이관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22-6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 가치평가 체계 안을 구축하고, 적용해봄으로서 제도화하는 데에 필요한 정책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지난 6년간 제주지역은 지속적으로 유입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보유대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관광객은 단체관광객에서 개별관광객으로 개편됨에 따라 렌트카 차량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시내 도로 상황은 서울만큼 혼잡해지고 있다. 이에 제주도에서는 2017년 8월 대중교통 체계개편을 통하여 이용자가'더 빠르고, 더 편리하고, 더 저렴하게'이용할 수 있은 토대를 만들어 대중교통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가치평가를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대중교통우선정책 강화에 대해서는 제주도민들은 긍정적이었다. 또한 대중교통 가치 평가에서는 대중교통요금, 대중교통의 안정성, 대중교통은 서민을 위한 정책, 대중교통은 교통약자를 위한 정책, 대중교통은 도민들의 편리한 정책, 대중교통은 친환경 정책, 대중교통은 교통 혼잡 해소에 도움 등의 순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의 가치가 다양하고, 지방정부 정책으로서 평가를 해야 하는 요소들을 더욱더 세부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대중교통의 가치평가 체계구축사업을 통해 제도화되고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GIS Buffering기법을 이용한 대중교통취약지구 선정방법 (Selection method of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using GIS buffering analysis)

  • 김연웅;정성봉;장광우;박민규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9-1742
    • /
    • 2011
  •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in our country is concentrated and advanced focusing on urban area in order to secure economic feasibility. As a result, as dependence on private vehicles is relatively getting higher in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traffic problem occurs since the average running speed in urban area is 22.5km/h. This paper has an objective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by selecting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and defining according to urban structure, formation and function, and understand traffic characteristics and draw problems. As a method selecting public transportation vulnerable area, an area with high division rate of vehicle was selected as a primary proposed site by calculating division rate of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 to area. Final proposed site was selected by using GIS Buffering technique aiming at selected proposed site, and selecting non-benefit area 500m outside, which is the road limit distance from each subway and bus station. Lastly, the degree of improvement effect was studied by constructing imaginary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iming at final proposed site and compar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division rate of means of transportation.

  • PDF

녹색 신교통 시스템 바이모달트램의 비용-수요 공급곡선을 고려한 도시 대중교통체계 적용 특성 분석 (Analysis of Applicability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onsidering the Cost-volume Supply Curve of New Transit System Bi-Modal Tram)

  • 김홍석;김량균;함재현;전재청;윤희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03-2308
    • /
    • 2010
  • We studied the cost-volume supply characteristic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focused on Bi-modal Tram in the main citie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and status for the new transit system Bi-modal Tram a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he operation cos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vehicle, facilities, operation and average cost for respectiv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time cost considering the travel and transfer time are defined to the social cost, and the cost-volume supply curve is based on this social cost. The cost-volume supply characteristic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modes in the city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cost-volume supply curve.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cost-volume supply characteristic of main transportation systems, it is analyz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 the city and the characteristic for proper service provision. The application of Bi-modal Tram in the city is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social cost on the exist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 PDF

QAP상관분석을 통한 대중교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규명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based on QAP Correlation)

  • 정석봉;윤협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6권1호
    • /
    • pp.95-102
    • /
    • 2019
  •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play key roles in supporting dynamic activities and interaction between urban places. Especially, high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re required in order to support large traffic demands in urban areas. In this paper, we define a new metric, structural activation level (SAL), to replace the conventional transportation share ratio (TSR) measuring efficiency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First of all, we access the Korea Transport Database (KTDB) and download origin-destination data by transport types to construct traffic networks with respect to transport types for each city. Then, we calculate the QAP (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correlation between each traffic network and the total traffic network for each city to investigate SAL by comparing cities one another. The results of our investigation reveal inconsistency between TSR and SAL. In Daegu, TSR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s relatively low while SAL is high. In Deajeon, however, SAL is low while TSR is high. Therefore, we suggest to take into consideration SAL as well as TS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