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port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35초

Analyzing Public Transport Network Accessibility

  • Jun, Chulmi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4권2호
    • /
    • pp.53-57
    • /
    • 2004
  • Due to the traffic congestion and public-oriented transportation policies of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s receiving attention and being used increasingly. However, current transport routes configuration is showing unbalanced accessibility throughout the city area creating differences in time, expenses and metal burden of users who travel the same distanc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ransport route planning has been partially empirical and non-quantitative tasks due to lack of relevant methods for assessing the complexity of the transport route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ompute the connectivity of public transport system based on the topological structure of the network of transport routes. The main methodological issue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more transfers take place, the deeper the connectivity becomes making that area evaluated as less advantageous as for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By computing the connectivity of each bus or subway station with all others in a city, we can quantify the differences in the serviceability of city areas based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top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outes network and suggests an algorithm that can automate the computation process. The process is illustrated using a simple artificial network data built in a GIS.

  • PDF

혼잡통행료 징수와 대중교통 차내 혼잡수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stion Pricing and In-vehicle Crowding Level in Public Transport)

  • 유상균;배기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0-522
    • /
    • 2016
  • 대중교통을 포함한 연구들에서 사회적 효용 증진은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또는 승용차 이용 억제책을 통한 대중교통 수요증가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중교통 수요증가는 통행수단의 통행량 변화를 통해 사회적 효용에 영향을 미치고 관찰될 뿐, 대중교통 차내 혼잡도는 고민의 대상이 아니었다.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시행으로 증진되는 사회적 효용과 변화되는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를 관찰하고 원인을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혼잡통행료 시행은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를 증가시키고, 대중교통 전용차로가 없는 경우 대중교통수단 혼잡도는 더욱 심화된다. 주목할 점은 대중교통수단 차내 혼잡도가 도심보다 도심 외곽구역에서 더욱 악화되고, 최선의 혼잡통행료는 차내 혼잡도를 상대적으로 덜 악화시키면서 효용증진 임무를 완수한다. 이러한 결과는 통행자의 직주근접성 변화, 통행횟수 조절, 그리고 혼잡통행료 징수가 가져올 우발적인 왜곡효과 때문으로 해석된다.

서울 일부 지역 교통수단의 실내 공기질 평가 (Assesment of Indoor Air Quality within Public Transport Vehicles operating in specified locations throughout Seoul)

  • 손종렬;최달웅;최정숙;우완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1호
    • /
    • pp.12-20
    • /
    • 2006
  • This paper was conducted concerning the degree of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transport vehicles such as taxicabs, buses and subway trains, as sampl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rivers and passengers in Seoul between 13th August 2005 and 2nd November 2005.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measured substances especially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s ($PM_{10}$), total bacteria counts (TBC) and carbon dioxide ($CO_2$) exceeded the standard level of $150{\mu}g/m^3,\;800CFU/m^3$ and 1000ppm. 2.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_2$) in taxi recorded 2491ppm, which is more than the standard amount of 1000ppm. This level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all other public transportation methods. Total bacteria counts (TBC) in bus and subway recorded $1082CFU/m^3\;and\;1856CFU/m^3$, respectively. 3. The drivers who regularly work long hours showed the higher concern about contamination of the air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and they considered it to be worse than the air outside. In contrast, the general public showed less concern about the air quality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However, they too acknowledged that the quality of the air inside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was poor. In regards to the degree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public transport vehicles, a counterplan must be implemented urgently to effectively combat the excessive levels of $PM_{10}$, microorganism and $CO_2$. We need to gather more conclusive evidence pertaining to other possible contaminants and influencing factors.

내항여객운송서비스 공영제 및 준공영제 확대실시를 위한 정책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y Determination of Policies on the Extension of Public Management System in Coastwise Passenger Transport Services)

  • 강인규;양태현;김동명;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2
    • /
    • 2020
  • 본 연구는 내항여객운송서비스의 공영제 및 준공영제 확대실시를 위한 정책우선 순위를 선정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론은 전문가 지식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법을 사용하였다. 내항여객서비스 준공영제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분석결과 "대중교통 요금체계 구축"이 0.160으로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는 0.136의 중요도를 보인 "보조항로를 중앙정부에 의한 공영체제로 전환"이 차지하였으며, "국가 및 지자체 간 예산의 적절한 배분을 통한 지원"이 3위 (0.119)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내항여객운송서비스 공영제 및 준공영제 확대실시를 위한 정책 수립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 심상우;정준영;오관교;김민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04-115
    • /
    • 2023
  •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도로 인프라 수준을 고려한 자율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 방향 고찰 (A Study on the Introduction for Automated Vehicle-based Mobility Service Considering the Level Of Service of Road Infrastructure)

  • 탁세현;김해곤;강경표;이동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9-33
    • /
    • 2019
  • 버스 대중교통 서비스의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자율주행차량을 기반으로 한 대중교통시스템 개발이 추진중에 있다. 그러나 대중교통시스템은 모빌리티 서비스 목적 및 방식에 따라 차량운행 환경이 크게 변화하므로, 자율주행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모빌리티 서비스 유형에 따른 도로 적합도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사례 조사를 통해 자율주행차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유형을 분류하고 재정의하였다. 제안한 서비스들의 적용 가능성 검토를 위해 실차 주행실험을 기반으로 도로 인프라 수준에 따른 자율주행 적합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도로 적합도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도로 인프라 수준을 고려한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자율주행 기반의 대중교통시스템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성 향상을 위한 전송계층 프로토콜 분석·평가 (Protocol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Transport Layer to Improve Security in a Public Cloud Environment)

  • 봉진숙;박상진;신용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1호
    • /
    • pp.76-85
    • /
    • 2018
  •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업무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 공공망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촉진하고자 하나 공공망(인터넷)을 이용하는 구조로 인해 보안상의 취약점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공망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보안 취약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UDP와 TCP 계열 프로토콜(TCP, SCTP, MPTCP)의 보안 관련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에는 신뢰성 및 보안성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보안 노출도를 평가하고 전송 프로토콜 중 보안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정하였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중교통 운행정보 제공에 따른 통행자 수단선택 행태변화 분석 (Analysis for Changes of Mode Choice Behavior from Providing Real-time Schedule for Public Transportation by Smartphone Application)

  • 최성택;노정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60-69
    • /
    • 2012
  • 최근 대중교통 이용 장려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대중교통 정보제공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폰의 GPS 기능을 이용해 대중교통 수단의 정확한 도착시간, 정거장 안내 서비스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이 대중교통 이용패턴에 주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승용차에서 대중교통으로의 수단전환을 유발한 요소에 대한 쌍대비교 결과, 유가 상승 0.39, 교통 체증 0.27,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0.18, BIS 0.16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이고 젊을수록 스마트폰의 상대적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단 전환 유무에 대한 의사결정 트리 분석 결과, 수단전환에 대한 가장 중요한 변수는 스마트폰 중요도 인식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for Location Based Public Transit Transfer Information Service)

  • 임정실;문영준;오영태;이철기;배명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2
    • /
    • 2008
  • 대중교통시설 및 수단간의 비효율적 교통연계에 따른 환승불편으로 인한 대중교통 이용률 저하와 국가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IT와 정보통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대중교통 서비스 고급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제안하며 국가 ITS 아키텍쳐 개발방법론을 준용하여 사용자 위치기반 환승정보서비스를 위한 개념 및 요구사항 도출, 세부 사용자 서비스 정의, 서브시스템 도출, 논리아키텍척를 제시하였다. 환승교통센터와 주차유도 및 보행자경로안내서비스 서브시스템 논리아키텍쳐는 모바일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 개발과 ISP, TSP 등 Contents Provider의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대중교통의 연계 환승은 도시규모나 대중교통 수단유형에 따라 각각의 특성이 차별화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및 환승정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모델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벽지노선 대체형 수요응답형교통(DRT) 노선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대중교통 열악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oute Selection Method for Demand Response Transport (DRT) Replacement for Bus Services in Vulnerable Areas - Focused on Region Vulnerable to Public Transportation of GyeongSangNam-Do in Korea -)

  • 박기준;송기욱;정헌영
    • 국토계획
    • /
    • 제54권4호
    • /
    • pp.71-78
    • /
    • 2019
  • Due to the rapid pace of low fertility and aging of Korea, population decline is rapidly progressing in the outskirts of the province and county. Demand for public transport is decreasing due to suburban population declines, while local government funding for maintenance of the bus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ial support for buses while enhancing mobility of the residents in vulnerable areas. However, most DRTs in Korea have been operated mainly in the areas that are not provid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lthough DRT is able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it is not easy to be introduced because of the objection of the existing bus users. In this study, 11 out of 61 towns with po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introduction of DRT to replace bus services by using villag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cision making to use DRT instead of bus service for the burden of bus financing for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