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ik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공유자전거 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세종특별자치시 공유자전거 어울링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A Study 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Public Sharing Bike Data - By applying the data of Ouling, Public Sharing Bike System in Sejong City)

  • 안세윤;주한나;김소연;조민준;김성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59-270
    • /
    • 2021
  •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과 바이러스로부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도시 공간 내 공유자전거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향상되면서, 시민들의 공유자전거 사용에 따라 수집·저장되는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 공간 내 이동성(Mobility)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 공간 내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의 속성과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고찰·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유자전거 시스템 중 하나인 세종특별자치시 어울링의 데이터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공유자전거 데이터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문헌은 GIS데이터, O-D데이터, 대여 및 반납 이력, 대여소 위치정보 및 주변정보, 날씨정보 등을 활용하여 GIS 네트워크 분석기법, 방정식 및 비율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 통계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유자전거 시스템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안, 공유자전거 사용의 확장 및 활성화 방안 도출, 효율적인 공유자전거 관리 및 운영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궁극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유자전거를 활용하여 도시 공간 내 이동성(Mo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심형 신개념 자전거의 마그네슘 프레임 설계 (Design on Magnesium Frame of Bike as New Paradigm for Urban style)

  • 김광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11-1015
    • /
    • 2013
  • 최근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자전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생산기반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 마그네슘 소재로 대중교통기관과 연계가능한 신개념 자전거로 제안된 모델에 대해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설계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조용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는 도심형 자전거의 주요 프레임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150kg 수직하중시 최대응력이 70 MPa이하를 나타내는 설계기술을 확보하였다.

대전시 공유자전거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Bike-sharing Demand focused on Daejeon City)

  • 도명식;노윤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517-1524
    • /
    • 2014
  • 최근 휘발유 가격 폭등,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사회 환경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교통수단 중 하나로 유럽에서는 일찍이 공유자전거(Bike sharing)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대전시 또한 "타슈"라는 이름으로 200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공유자전거를 대상으로 이용효율을 높이고 최적의 공유자전거 정거장 위치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공유자전거 이용 특성을 알아보고 이용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공원 인근에서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설치 비율에 비해 이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주중보다 주말 이용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전의 경우 레저를 주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유자전거를 빌린 장소로 다시 회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절대적 근접 중심성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자전거 정거장의 분포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 특정 지역(둔산, 유성 등)에 이용패턴이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버스승하차 인원, 자전거도로 연장, 공원여부, 수변공간까지의 거리, 젊은층 비율 등이며, 선정된 변수의 신뢰도(R-Square)는 0.74 수준으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 구축 및 자전거 수요요인분석 (A Bike Mode Share Estimation Model and Analysis of the Bike Demand Factor Effects)

  • 이규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5-155
    • /
    • 2010
  • 녹색교통으로서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사회적으로 큰 조명을 받고 있으나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자전거 이용특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치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1995년 이래 2007년까지 자전거도로를 9,170km나 정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기간동안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오히려 감소(국토해양부, 2009)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조사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303,308개)를 이용하여 통행 주체별 자전거 수단분담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원 수강목적과 오피스텔 거주자의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각각 3.75%, 3.13%로 통행 주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서울시의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동시에 로지스틱 회귀계수에 대한 승산비(odds ratio)의 산출을 통해 자전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과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거리 통행, 학원가와 공원, 오피스텔 주택가 중심의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공유자전거 따릉이 재배치를 위한 실시간 수요예측 모델 연구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Bike Relocation of Sharing Stations)

  • 김유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107-120
    • /
    • 2023
  • 서울 도심 내 교통량 감축과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2015년 도입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이용자가 해마다 배 이상 증가하여 2023년 기준 2700여 대여소에서 4만 3천여 대가 운영 중이며 누적 가입자 4백만 명을 넘어서는 서울시민이 뽑은 가장 성공적인 공공 정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따릉이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됨에 따라 자전거 수요·공급 불일치로 인한 자전거 부족 민원도 급증하여 효율적인 자전거 재배치가 강하게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자전거의 대여·반납 이력 데이터, 기상데이터, 공휴일 정보, 따릉이 대여소 정보 등을 기반으로 따릉이 이용 패턴과 특성을 분석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 대여소별 따릉이 대여·반납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대여소별 안전재고를 확보할 수 있는 따릉이 재배치 수량을 도출하고 이를 서울시설공단 따릉이 관리App에 시범서비스 하였다. 따릉이의 수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현재 거치 중인 재고량과 비교하여 적절한 수량의 자전거를 재배치한다면 자전거 부족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전거도로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통한 자전거도로 활성화 대책 (Bikeway Vitalization Countermeasures Using Bikeway User Satisfaction Model)

  • 임준범;노리라;홍지연;이수범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63-172
    • /
    • 2010
  • 전국적으로 자전거도로 확충을 계획하고,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한된 예산하에서 자전거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만족도가 정성적인 변수이기 때문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자전거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도로내 자전거도로와 한강, 지천변 자전거도로는 그 특성이 다르고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도 다를 것으로 판단되어 구분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일반도로내 자전거도로 이용자 만족도 모형은 만족도=0.248*(안전성)+0.255*(접근성)으로 나타났다. 한강, 지저천변 자전거도로 이용자 만족도 모형은 만족도=0.437*(접근성)+0.405*(경제성)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유형모두 접근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도로내 자전거도로는 안전성, 한강, 지전변 자전거도로는 경제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Gradient-Boost를 사용한 서울 자전거 데이터의 결정 요인 예측 (Predicting Determinants of Seoul-Bike Data Using Optimized Gradient-Boost)

  • 김차영;김윤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61-866
    • /
    • 2022
  • 서울시에서는 공유 자전거 시스템, "따릉이"를 2015년부터 도입, 운영하여, 교통량 감축과 대기오염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공유 자전거 시스템, "따릉이"의 운영전략 미훕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대다수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해결하고자 하는 전략적 "자전거 배치"에 집중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중 다수가 날씨나 계절과 같은 특징을 그룹화함으로써 수요를 예측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는 이들 예측방법이 주로 시계열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딥러닝/머신러닝으로 수요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특징들을 기반으로 하면서, 새로운 특징을 발견하고 선택된 특징들의 중요도를 비교, 이를 순서화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수요 예측이 가능함을 보인다. 그리하여, 우리는 기존의 딥러닝/머신러닝 및 시계열 분석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비교적 정확한 결정계수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해 개선된 수요예측이 가능하도록 한다.

국내 장거리 자전거 여행자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제안 -자전거 행복나눔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 Proposal for User Experience Design for Domestic Bicycle Rider whom going Long Distance Trip -Focusing on App -)

  • 윤병훈;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9-306
    • /
    • 2018
  • 본 연구는 장거리 자전거 여행자들의 여행 경험 연구이다. 자전거 도로와 자전거 타는 행위는 현대인의 생활 패턴의 한 요소다. 이와 동시에 2009년 수립된 '국가 자전거 정책 마스터 플랜'의 의해 전국을 'ㅁ'자로 묶는 테마형 자전거길이 개발되고 있다. 1,300만 자전거 라이더들의 장거리 여행의 욕구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2013년 <자전거 행복나눔> 앱을 개발하여 라이더들의 여행 편의를 도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자전거 앱을 사용하고 있는 39명의 대상자를 통해 본 앱의 사용성 평가를 하였다. 이후 고관여자 6인의 심층 면접을 통해 연구자가 세운 11가지의 가설을 평가했다. 자전거 여행자들에게 더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숙련도별, 테마별, 구간별 길 안내, 속도, 거리 관련 정보 제공, 타 자전거 라이더와의 소통, 준비물 정비 팁 제공, 바이크텔 통합을 통한 숙박 예약 시스템 구축, 한국어, 영어 호환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장거리 자전거 여행자 맞춤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바이크복 현황조사를 기반으로 한 출.퇴근용 바이크복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Bicycle Wear Survey Bas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te for Bike Wear Textile Design)

  • 이연순;엄지은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9-190
    • /
    • 2012
  • During recent few years, Bike is arising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 of sports market. As well as in domestic markets, customers are demanding specific brands only for young aged riders.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current bike wears and suggest digital textile printing with sports wear trends which also have safety and visual impact effectiveness, so it can be satisfied as green products and we also try to suggest sports sensitivity of existing cycle wear to city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20's-30's female biker attitude for bike wear and their purchasing habits and also their preference, digital textile design of city biker wear based on present condition research of riding wear markets and to establish high quality products with occupying high percentage of global markets and making high profits. For this study, bike wear distributors Survey First, foreign companies generally meet evenly sampling the 20s and 30s targeted vendors 10 companies were selected. 'city sporty ware' or 'casual line' dual 'extreme line' from all manufacturers, including, however did not distinguish it from all the vendors. This higher proportion of the recent upsurge in public and non-professional riders, despite the fact that you can see that the lack of 'Extreme line' compared to the 'casual' line of the city sporty ware production. overall seasonal sales in the spring appeared windbreak jacket, leggings and sweat emissions and at the same time built into the fabric dry faster T-shirt and shorts in the summer sales were higher. autumn jacket and produced excellent warm in winter fleece fabric T-shirts, pants, windshield jacket higher sales. showed improvements in design, improv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and perfect for everyday wear for both. As mentioned, we figure out 20's-30's female rider's attitude for riding suit and their purchasing habits and also their preference, so we can develop riding suit design based on their needs and suggest new design patter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