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ike Mode Share Estimation Model and Analysis of the Bike Demand Factor Effects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 구축 및 자전거 수요요인분석

  • 이규진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
  • Received : 2010.02.21
  • Accepted : 2010.03.3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s the green transportation mode, revitalization of bike usage attracts remarkable public attention. For the acquirement of effective outcome, however, the concrete and close analysis about bik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arranged first. One result by MLTM(2009) is support this opinion; the bike mode share has been decreased whereas 9,170km of the bicycle path was improved(1995~2007). This study analyzed the bike mode share classified by trip types by using the 303,308 data of Household Travel Survey of Seoul Metropolitan Area, 2006. The highest mode share rate was induced by the institute attendee and Officetel resident as 3.75% and 3.13%,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established the bike mode share estimation model of Seoul by logistic regression, and analyzed related factors and level of effectiveness related bike demand by calculation of odds ratio in terms of logistic regression coefficients. In conclusion, short trips, institutes district, parks, and Officetel residential area oriented policy should be effective on the revitalization of bike usage.

녹색교통으로서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사회적으로 큰 조명을 받고 있으나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자전거 이용특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치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1995년 이래 2007년까지 자전거도로를 9,170km나 정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기간동안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오히려 감소(국토해양부, 2009)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조사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303,308개)를 이용하여 통행 주체별 자전거 수단분담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원 수강목적과 오피스텔 거주자의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각각 3.75%, 3.13%로 통행 주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서울시의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동시에 로지스틱 회귀계수에 대한 승산비(odds ratio)의 산출을 통해 자전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과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거리 통행, 학원가와 공원, 오피스텔 주택가 중심의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9), "자전거도로 시설기준 및 관리지침".
  2. 김기혁(1994), "도시의 공간적 사회적 요인에 따른 자전차 보유도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2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85∼95.
  3. 김수성․송기욱․정헌영(2009), "지역특성에 따른 자전거이용 활성화 접근방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7∼30.
  4. 김순귀․정동빈․박영술(2003),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SPSS 아카데미.
  5. 김주안(2005),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제품군판별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 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8권 제5호.
  6. 문대식(2007), "자전거 통행 활성화에 관한 연구-대전시를 중심으로", 한밭대학교 학위논문.
  7. 박광배(2007), "범주변인분석", 학지사.
  8. 이병주․박영석․남궁문(2001), "자전거 이용자의 행태분석 및 선택행동 LISREL 모델",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1호, 대한토목학회.
  9. 조중래․김채만(1998),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5∼86.
  10. 홍세희(2005),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11. Cohen, J., Cohen, P., West, S., and Aiken, L.(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2. Gary Barnes and Kevin Krizek(2005), "Estimating Bicycling Deman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939, pp.45∼51.
  13. Hosmer, D. and Lemeshow, S.(2000), "Applied logistic regress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14. Jennifer Dill and Kim Voros(2007), "Factors Affecting Bicycling Deman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2031, pp.9∼17.
  15. John Parkin, Mark Wardman and Matthew Page(2007), "Estimation of the determinants of bicycle mode share for the journey to work using census data", Transportation, pp.93∼109.
  16. Mark Wardman, Miles Tight and Matthew Page(2007), "Factors influencing the propensity to cycle to work". Transportation Research A41(4), pp.339∼359.
  17. Simon P. Washington, Matthew G. Karlaftis, and Fred L. Mannering(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l/C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