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Rental-housing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AHP분석을 통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개선방안 (Improvement of Small-size Multi-housing Area Reconstruction Project Using AHP Analysis)

  • 김석준;이상호;허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79-85
    • /
    • 2019
  • 최근에는 '빈집 및 소규모 주택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하여 정부정책사업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라나 이 정책은 원도심의 노후 불량 건축물이 밀집한 가로구역에서 소규모 정비사업보다 대규모정비사업 이 더 적용돼서 실적이 매우 미흡하고 제도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간담회와 설문조사를 통해 대규모 정비사업과 차별화된 법적인 공공지원 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는 '층 면적 비율'과 '건축물의 높이제한 기준 완화'가 가장 효과적인 반면 '지자체에서 주민공동시설 유상매입 후 운영'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 지역의 사회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노후한 주택 지역을 정비사업을 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에 임대 주택을 제공함으로 공공기관에 큰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그리고 소규모 정비사업인 가로주택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도입하여 적용 가능한 특례항목을 제시함으로서, 도심지내 임대주택건설을 유도하고 세입자 우선공급을 통한 둥지내몰림 현상을 방지하며 신혼부부나 청년 등의 젊은 층 입주를 통해 노후주거지에 새로운 활력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과 미국 임대아파트 평면의 특징비교 - 양천구 SH공사 아파트와 Saint Paul PHA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Unit Plans in Rental Housing - Focused on Rental Housing in SH Corporation and Public Housing in PHA -)

  • 신경주;문학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86-95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ture development of unit household plane of lease apartment hou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nit household plane of SH Corporation lease apartment house in Korea and PHA apartment house in the state of Minnesota, US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hose 8 SH Corporation lease apartment houses in Yangcheon-gu Korea and 16 PHA apartment houses in St. Paul, Minnesota, USA. Drawing of 8 complexes of Korea SH Corporation, literary materials collected by Korea House Corporation and SH Corporation and the plane of USA were analyzed and the unit household plane of Korea and USA were processed by CAD to ensure exact analysis. Based on the drawing for CAD, the materialization work was implemented. The total size of materialized drawing and size of each room was drawn by using 'CAD POWER 2005'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e plane of SH Corporation lease apartment house shows the difference in the plane composition from 12 pyung. Since LIVING ROOM is described in the drawing, the living room and bedroom seen in the existing size less than 12 pyung become independent as they are separate. While SH Corporation is composed in the form of kitchen that functions as dining room, living room functions as dining room in PHA. While SH Corporation shows 5 types, PHA shows different pattern in each complex. This is probably because PHA has diverse complexes. All planes of SH Corporation have entrance, which reflect the own character of Korea as it is. In PHA, the portion of receipt and storage space is very high.

모듈러 주택 단계별 검토를 통한 누수하자 품질관리 방안 (Quality control plan for water leaks through step-by-step review of modular housing)

  • 조인수;김규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69-170
    • /
    • 2023
  • Leakage defects account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of defect cases in modular homes. There are factors that can cause leakage defects at each stage, and quality control measures are required to minimize them. An improvement plan to prevent leakage defects was applied from the design drawings to the site of a modular public rental apartment complex in Sejong City 6-3, and a quality control plan was proposed to minimize leakage defects in the remaining process processes.

  • PDF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A Multi-Level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Residents' Housing Instability in Korean Metropolitan Environments)

  • 이민주
    • 지역연구
    • /
    • 제36권4호
    • /
    • pp.57-67
    • /
    • 2020
  • 최근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에 따라 서민들의 주거안정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성에 주목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주거비부담능력이 낮은 가구들의 주거불안 경험과 이에 따른 그들의 삶의 변화를 보여주는 데 주목해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거주지역의 공간적 개방성, 커뮤니티 특성 등 지역특성이 거주자들의 주거불안 경험을 완화 또는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분석하였다. 대도시 거주자들의 주거불안정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다층로짓모형(Multi-level Logistic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구의 주거비 부담능력과 같은 가구특성뿐만 아니라 주택 재고, 저렴한 주택 가격, 사회적 관계망 등 지역 특성의 영향력 또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이 주민들의 주거불안정을 완화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다.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거불안정을 도시정책 차원에서 주목하고, 이를 완화해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종류와 공급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Supply of Elderly Housing in Japan)

  • 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56
    • /
    • 2010
  • In Japan, a lot of elderly housing type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meet various needs of the older person and the change of social situations. Elderly hous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lderly housings for healthy older persons, elderly care homes for the healthy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e unhealthy. Elderly housings include public and private rental housings. Sometimes they can be designated only for the elderly. Elderly care homes for the healthy elderly include full fee charging elderly housing, elderly homes, low fee charging elderly homes and care houses.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e unhealthy elderly consist of full fee charging elderly care homes, group homes for the dementia, elderly health facilities, nursing homes, elderly hospitals, and so on. However "elderly care facilities" have been proved not to be efficient for the delivery of elderly welfare services nor satisfactory to the frail older person. Therefo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ormalization", daily services have been provided for the elderly in order that they can live at their own home in the community for themselves. As a result, Japan aims not only to reduce elderly welfare expenses but also to increase elderly users' satisfaction. Emphasis on non-institutionalization and in-home services, regional characterization, harmony between Hard and Soft, user oriented services, substantiality, universal design and so on are sought for the sake of those goals.

블로그 마이닝을 활용한 행복주택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on Happy Housing Using Blog Mining Technique)

  • 황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11-223
    • /
    • 2022
  • 본 연구는 주거정책 분야에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해 블로그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복주택'을 키워드로 관련 게시글을 수집하고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분석과 단어 군집 분석을 통해 대중들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행복주택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산된 2013년 5월부터 2021년 8월까지 블로그 게시글 137,002개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주요 정책과 자료 수집량을 고려하여 수집 기간을 3단계로 나누어 도출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워드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행복주택의 위치, 세대수, 단지 및 주택 규모, 입주 가능 조건 등과 관련된 단어의 중요도가 높았다. 1단계에서는 정부 정책 시행, 2단계에서는 행복주택 신청 절차, 3단계에서는 모집공고, 입주 자격, 임대조건에 중요도가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분석에서는 모든 단계에서 사업 진행, 신청 절차, 사업지역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특히, 1단계에서는 정책 시행 및 추진방안, 2단계는 입주 자격 및 금융 지원, 3단계에서는 정책 시행 및 입주 자격이 주요한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블로그를 통해 정책 관련 정보 공유 및 사회적 이슈 반영, 정책 전달 여부 평가, 대중의 정책 참여도 유추가 가능하며, 블로그를 여론 수렴 방법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대구시민의 주거이동 요인과 주택선호성향 분석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Preferenc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임준홍;김한수;송흥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93-10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ing the primary factors for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preference of Daegu citizens, i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future housing polic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32.1% of Daegu citizens have intention of residential mobility. Especially the residents in central (50.0%), southern (59.0%) and western Daegu showed more intention than those in other districts. Second, we used the GLMM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to analyze the main factors for residential mo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idents who have lower housing satisfaction with the type of housing, park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2) those who are male and younger, 3) those who live in rented house have more intention of housing mobility.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preference change of the type of housing, the preference of the apartments is getting higher, while that of the detached houses is getting lower (past: 40.1%${\rightarrow}$present: 54.8%${\rightarrow}$future: 66.7%). 28.8% of the respondents (444) expressed intention to live in the public rental houses, in case they are provided in the areas they are moving to. Fourth, when we analyzed the size of the houses they actually lived in and that of the houses they prefer to live in case of moving, we found that in general they tend to move in smaller housing than in the pa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le moving away from the current residential areas due to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environment, in the first place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houses, parking and education environment is needed.

지역성 구현을 위한 집합주택 원형 주거동의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for Designing Local Identity)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21-129
    • /
    • 2013
  • This study was aimed at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shape of a residential building affects local identity. A total of six case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ree case studies on idle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turn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and another three on multi-family housing located in newly developed residential complexes. The study drew its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design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as intended to maximize security and defense from the outside in older times. This was later developed as the terrace house style with geometric urban squares designed under the urban planning of the Baroque period. This evolved high-density housing with a courtyard in the center offering a green open space, with the aim of restoring a sense of humanity. Second, the six case studies on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each factor of local identity,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community. Thir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found in some unused historical industrial facilities remodeled into residential buildings. They provide new capabilities and shapes desired by society at a given time, while maintaining familiar styles and elements of history, integrating a legacy of the past into the present. Fourth,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unique shapes and structures often become landmarks of a region with their distinctive appearance against a uniform urban environment and the monotonous scenery of residential complexes. They also show a high level of visual awareness with the distinctive shapes made possible when new elements are added to a historical exterior. Finally,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with courtyards in the center prompt social contact between inhabitants, especially with dormitories and rental houses for the low-income bracket, which provide a small individual units with high use common space. Circular multi-family housing are planned in a manner similar to a small village or a city. They are designed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allocating various public amenities and provide cultural and commercial spaces on the ground floor and courtyard areas.

신규 공공주택단지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이용에 관한 거주자 평가 분석 (Resident's Assessment of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in New Public Housing Estat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55-161
    • /
    • 2016
  • 본 연구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규 공공주택단지에 건설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이용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개 도시 소재 분양 및 임대 아파트 단지 11곳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주자들 대부분은 현주택단지에 이사 오기 전까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경험이 없었으며, 대부분 이사 직후 관리사무소 직원을 통해 사용법을 습득하였다. 다만, 분양아파트 거주자들에 비해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의 이용법 교습시점이 3배 이상 늦어졌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분양아파트 거주자보다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에게서 더 높았고, 세부적인 항목에서도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부정적으로 평가된 항목은 거의 없었으나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이 강화된 시설로 거듭나는 요구가 있었다. 분양 및 임대아파트 거주자들 대부분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쾌적한 주거환경 구축하므로 확대 보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 신도겸;변완희;도명식;기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33
    • /
    • 2019
  • 공유교통과 대중교통을 통합하여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MaaS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LH 역시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교통 중심의 MaaS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위치해 있는 임대아파트는 입주민 특성, 지역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MaaS 도입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주민 특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공유교통 공급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H 임대아파트에 대해 입주민 및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유교통서비스를 찾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RT 방법을 활용하여 입주민의 공유교통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과 카풀, 공유주차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위치한 임대아파트에서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카셰어링이나 카풀에 대한 선호가 높았고, 공공자전거의 경우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단지가 속한 지역 특성과 주민 특성에 따라 우선 적용이 가능한 공유교통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