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ublic Officials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2초

공무원의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 및 대사증후군에 따른 의료비 지출 (Influencing Factors for and Medical Expenditure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ublic Officials)

  • 김아린;곽찬영;임은실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9-22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the annual medical expenditure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ublic officials. Method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in 2009 were collected for 364,932 public officials and the heath examination results and annual medical expenditures were analyzed using PASW 18.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s 17.6%, and it was higher in male officials than that of females in all age groups. In me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ere: age, family history of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exercise, and obesity. However, in women,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exercise did not affect metabolic syndrome. People who had metabolic syndrom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dical expenditures than those without metabolic syndrome. The odds ratios of having the highest quartile in medical expenditures were 1.372 (95% CI 1.252~1.504, p<.001) in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and 1.213 (95% CI: 1.184~1.243, p<.001) in men. Conclusion: The results implied that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resulted in higher medical expenditures. In order not only to decreas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but also reduce medical expenditures, nurses should plan health promotion strategies to educate public officials about healthy life strategies.

공무원(公務員) 및 사립학교교직원(私立學校敎職員)의 건강진단(健康診斷)에서 나타난 결과(結果) (A Result on the Physical Checkup of Public Officials and School Personnel in Private Schools)

  • 윤능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1981
  • Korean Medical Insurance Cooperation executed the physical checkup intended for all the members of public officials, school personnel in private schools, and the insured as a national-wide event in 1980. This is the result of a part of Taegu district and its contiguous country this hospital took charge of. Physical checkup method was divided into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and tile second health examination. The second health examination was executed for those who needed re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After that, we passed judgement on the result finally. The total number of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was 10,779; 4,606 in public officials, 2,327 in police constables, 3,976 in school personnel in private schools.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checkup is as follows; A group: normal groups B group: those who do not require immediate medical care but require preventive measures or who are doubtful of disease or who had undetermined diagnosis (attention) C group: those who require immediate medical care but who are able to be on duty (simple recuperation) D group: those who require immediate medical treatment and recuperation (suspension from office and recuperation) Total B group to the in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was 4.73%, that of total C,D groups 2.21%. That of total C,D groups to the total in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by occupation was 2.30% in public officials, 2.19% in police constables, 2.04% in school personnel. Consequently there was no different among occupations. Total C,D groups of hypertension to the total in the first health examination was 1.68% and hypertension was 76.05% to all disease. These rates mentioned to above were higher than any other rate in disease. Subsequently, being low, the rate of diabetes was 15.54%. From the view point of age, the higher rate appeared in men and women over 35 years old of B group and over 45 years old of C,D groups in three occupations in comparison with other ages and the older men were, the higher men who took a disease were.

  • PDF

공무원 범죄의 유형과 통제방안 -검찰과 고위 공직자범죄수사처를 중심으로 (Study on Pattern of Civil Service Crimes and Control Plan : Focused on the Prosecutor's Office and High ranking Public Officials Crime Investigation Office)

  • 김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59-69
    • /
    • 2021
  • 문재인 정부는 권력기관 개혁을 위해 검찰개혁을 주장했고 이와 함게 공직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신설을 통해 검찰권을 통제하려고 했다. 그렇다면 법무검찰개혁의 방향은 무엇인가? 무엇보다도 검찰권한을 대폭 축소하자는 논리다. 어떻게 축소하는가? 첫째, 검찰이 가지고 있는 기소권과 수사권의 통제나 견제 장치가 필요하다. 검찰개혁의 핵심은 아마도 권력으로부터 인사권을 독립하는 것이다. 검찰 인사권의 외부압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법무장관의 지시나 개입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면평가 등 여러 인사고과를 통해 검찰총장이 해야 한다. 그리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의 본질은 검사, 판사, 경찰, 국회의원의 범죄를 다루는 것이다. 수사권, 기소권, 영장 청구권을 모두 거머쥔 채 자기 식구의 비리는 감싸고 정치적 목적으로 수사권을 남용해온 무소불위 검찰을 견제하는 제도적 장치의 핵심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첫째, 정치적 중립성이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공수처는 처장의 권한이 매우 크다. 본 논문은 부패방지를 위한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검찰과 공직자범죄수사처의 내용을 분석하고 한계 및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공직부패를 통제하기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정예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인식과 발전방안 (The Recognition of Cyber Educ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Chungcheongnam-do Civil Servants)

  • 송승훈;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84-2190
    • /
    • 2017
  •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기업교육, 군 장병교육, 평생교육시설은 물론 공무원 교육훈련제도까지 도입이 되었다. 국가공무원의 경우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사이버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실시되는 교육과 지방공무원은 15개 시 도 공무원교육원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공무원 상시학습제도의 도입으로 연간 일정시간 이상 교육 훈련받는 것을 의무화하였고 사이버교육이 공무원교육훈련에 활성화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관점에서 사이버교육 운영의 인식을 사이버 교육 참여했던 충청남도 정예공무원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지능정보사회에서 국가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능정보화 역량 탐색 :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National Public Officials' Intelligence Information Competency i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 Focusing on Bloom's Digital Taxonomy)

  • 김진희;이제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73-84
    • /
    • 2020
  • 지능정보기술로 인해 나타날 경제·사회의 혁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가 범국가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정보사회에서 국가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능정보화 역량을 정의하고, 지능정보화 역량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파악하여 역량군과 그에 따른 세부역량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에 관한 선행연구, 정보화 역량 및 국가 ICT 관련 정책에 대한 문헌분석을 실시하였고, 블룸의 디지털 텍사노미 관점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를 기준으로 지능정보사회에서 국가 공무원에게 요구되는 지능정보화 역량을 정의하고, 잠정적 역량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5명의 교육(공)학 및 정보화 전문가, 정보화 업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7개 역량군에서 22가지 역량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지능정보화 역량은 국가 지능정보화 인적역량개발을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보건소 공무원의 건강 지식, 건강 신념과 예방적 건강 행위와의 관계 연구 - 코로나19 발생 기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th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f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Study of relationship with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cusing on the period of COVID-19 outbreak))

  • 노지영;김은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37-144
    • /
    • 2023
  •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의 건강 지식, 건강 신념, 예방적 건강 행위의 정도와 관계를 알아보고 보건소 공무원의 예방적 건강 행위를 증진 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시도되었으며, 연구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 신념의 하위요인인 유익성(β=. 298), 심각성(β=. 193), 행동의 계기(β=. 183)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 간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33.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지식, 건강 신념, 예방적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시도되었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의 한계를 보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관찰이나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코로나19 예방적 건강 행위의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 김종래;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83-193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업무 과중,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조직에 보다 적응하고, 몰입할 수 있는 요인을 조직적인 측면에서 접근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으로는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조직 적응과 몰입을 위한 행정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21-8029
    • /
    • 2015
  •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Interacting or Just Acting? -A Case Study of European, Korean, and American Politicians' Interactions with the Public on Twitter

  • Otterbacher, Jahna;Shapiro, Matthew A.;Hemphill, Libby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2권1호
    • /
    • pp.5-20
    • /
    • 2013
  • Social media holds the potential to facilitate vertical political communication by giving citizens the opportunity to interact directly with their representatives. However, skeptics claim that even when politicians use "interactive media," they avoid direct engagement with constituents, using technology to present a façade of interactivity instead of a genuine dialogue. This study explores how elected officials in three regions of the world are using Twitter to interact with the public. Using the Twitter activity of 15 officials over a period of six months, we show that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witter that are designed to promote interaction, officials rely on language to foster or to avoid engagement. We also provide evidence that the existence of interactive features does not guarantee interactivity.

CIPP 모형에 기반한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의 공무원 환경교육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Public Servants in NIERD based on CIPP Model)

  • 서우석;김진모;전영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106-1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public servants 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uman Resource Development(NIERD). Based on CIPP model, Evaluation areas and items were mad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s internal information from November, 2005 to January, 2006. Based on the interviews and survey of 11 employee from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 context factors, input factors, process factors, product factors were evalua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nvironmental officials indicated lack of interest about education of Ministry of Environment, lack of education expense, lack of expertise of employee in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 and so on. Second, the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officials was not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officials' readiness for education, developmental level and competenc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