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Library

검색결과 1,906건 처리시간 0.024초

정보의 상호협력을 위한 네트웍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Inter-library Cooperation's Network in the Information of Library Materials)

  • 권기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권
    • /
    • pp.39-60
    • /
    • 197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odel of inter-library cooperation's network in the information of library materials.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he YT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Central National I, ibrar:; should be unified. 2. The unified organization should be organized its cooperative quarter for itself (in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And every library should he organized his quarter and personnel for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3. The cooperatior, organization in the re~ion should organized by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4. In case of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financial problems required of the performance in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should he charged equally among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the library belong to the reader and the reader. In case of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t should be charged equally arnozlg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the library belon-g' to the reader and the reader. 5. The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n the seat of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be managed the cooperation's work of the individual library, and upward the unified Central Xarional Library should generalize. 6. The purchase of materials should be done by the character of the each library 1r:ith the assignment of the each subject should be decided in the meeting of the each library personne!. -2nd the budget for purchasing per the year should be decided on the minimum by the circumstances of the each library regionally. 7. The unified Regional Central Public Library in the seat of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be charged of the Union Catalog's expense regionally, and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should be charged of that National Union Catalog's expense to cumulative the Fegional Union Catalog within a definite period of time. 8. Books without presentation of a specimen copy to the unified Central National Library should be purchased, and r.cr 'oe included to the National Union Catalog. 9. The cooperation of the each library should be decided on the law, and considered the character of the each region.

  • PDF

지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 광역자치단체를 사례로 하여 - (Progress and Problems in Local Public Library Policies of South Korea)

  • 이제환;정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3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온 도서관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지역 공공도서관정책의 건강성에 대한 점검을 통해 가늠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역 공공도서관정책의 법적 근거가 되는 도서관 조례와 내용적 길잡이가 되는 시행계획부터 점검하였다. 이어서 기존 정책이 지역 공공도서관에 가져온 긍정적 변화와 그 이면에 공존하는 부정적 모습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정책에 내재하는 구조적 한계에 집중하면서 정책의 건강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사구시적인 처방을 모색하였다.

A Study of Public Library Patrons' Understanding of Library Records and Data Privacy

  • Kim, Dong-Seok;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3-78
    • /
    • 2014
  • As instances of private information leak increase, taking steps to protect such information becomes a necessity. In this study of public library patrons, we strove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ibrary usage records to suggest viable solutions for private information safety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patrons' understanding of library usage records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user characteristics and privacy knowledge or leaks. The results show that a high number of patrons perceived these records as their own private information, but that there was no necessity for legal procedures or consent for the use of these records. Also, even though the understanding of these usage record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and leaks of personal information, the correlation was not particularly strong.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현황과 발전과제 분석 (Current Status and Issues in Public Library Advancement Plan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장덕현;강성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9-14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공공도서관 확충과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관련 계획과 법령 등을 검토하여 지역별 수요를 감안한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공급방안을 제시하고, 부산시 공공도서관 기능과 역할의 정립을 통해 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서관법에서 요구하는 지역별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을 둘러싼 지식정보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cy Issues and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54
    • /
    • 2007
  • 이 연구는 $\ulcorner$도서관법$\lrcorner$ 개정에 따른 정책 환경의 변화를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연계 분석한 다음에 공통의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수정 보완, 도서관 행정체계의 정비, 지방 도서관 정보정책시스템의 제도화, 직무분석과 사서직제의 개선, 인프라 확충과 각종 기준의 개정, 경영평가 및 통계시스템의 표준화, 도서관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강화를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Branch Syste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용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53-372
    • /
    • 200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에 대한 설문조사와 주요지역 사례 조사를 통해 분관 체제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성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관의 담당 업무는 대체적으로 타당한 편이나. 분관의 유형에 대한 구분과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시급하며, 그 유형에 따라 공립문고와 이동도서관도 개념에 포함시켜 공공도서관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공도서관 분관은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 단위로 운영하되 중앙관-분관-이동도서관-공립문고-순회문고로 시스템화하구 민간단체가 운영 주체인 새마을이동도서관이나 사립문고는 분관과 연계 운영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교육청 소관의 분관은 기능 위주가 아니라 구조조정 목적으로 이루어져 왜곡 운영되고 있는 바, 시정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 Surve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ies)

  • 표순희;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1-24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5-361
    • /
    • 2013
  • 이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간략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지수 간략판인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20명의 전문가에 대한 설문과 800명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도서관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8항목(직원차원 2항목, 자원 및 서비스 차원 4항목, 시설 및 환경 2항목), 도서관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3항목, 도서관고객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2항목 등 총 15개 설문항목을 제시하고, 도서관서비스품질 차원 50%, 도서관고객만족도 차원 40%, 도서관고객충성도 차원 10%의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척도들에 대해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식 조사법을 활용하여 계층적 분석 방식(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차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및 각 차원별 핵심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해내고,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입수한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LCSI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37-35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통합도서관에 대한 사례와 그 효과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통합도서관 설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통합도서관의 모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이다. 통합도서관을 운영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전문인력 활용, 장서의 증가,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효율적인 시설활용 등이다. 반대로 단점은 학교에 위치한 통합도서관의 문제점, 협소한 공간, 소장 자료의 제한, 학교도서관 기능의 축소 등이다. 우리나라의 통합도서관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서는 인구수, 주민들의 통합도서관 설치 의지, 시설, 법적 문서의 존재 등의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모델로 농산어촌 지역에는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도서관과 소규모 시에는 대학도서관/공공도서관의 통합도서관의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Users)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61-478
    • /
    • 2008
  • 공공도서관이 지역주민들의 정부 교육,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주민들이 자유롭게 방문하여 아무런 불편함이 없이 정보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지역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도서관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공동도서관을 이용하는 다양한 계층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LAS(Library Anxiety Scale)를 사용하여 도서관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체로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불안은 높게 나타났으며, 계층별, 연령별, 학력별, 도서관방문휫수별, 도서관교육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도서관불안의 정도 차이가 매우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