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Internet of Things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9초

IoT-Lite 온톨로지를 활용한 지능형 사물인터넷 시맨틱 정보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working of Intelligent IoT Semantic Information Using IoT-Lite Ontology)

  • 박종섭;홍준석;김우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27
    • /
    • 2017
  • Computing Performance, sensor, storage, memory, and network costs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and IoT services have recently become more active. The Internet of Things is linked with Big Data to create new busines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corporations are hurry to import Internet of things.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et of thing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devices supporting the IoT has rapidl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various types of Internet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IoT service designers and developers for IoT service case automatic search technology. IoT service designers can avoid duplication with existing services through service case retrieval and developers can save cost and time by combining existing reusable service equipment. This paper proposes IoT-Lite ontology for IoT and Semantic Web servic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existing ontologies for IoT, despite its many advantages, are not widely used by developers because it has not overcome the relatively slow drawbacks of increasing complexity and searching for development. To complement this, this study uses the IoT-Lite ontology introduced by W3C as a model and a semantic web service for automatic system retrieval. 3D camera, GPS, and 9-axis sensor, and IoT-Lite designed by IoT-Lite technique are integrated with the semantic technique and implemented directly.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요구를 포함한 상황 인지 모델 (Context-Aware Modeling with User Demand in a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류신혜;김상욱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641-649
    • /
    • 2017
  • 사물 인터넷 기기가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어 위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대부분 기기의 값이 일정 기간 이상 변하지 않거나 이상치가 발견되면 이벤트로 판단하고 분석한다. 그러나 기기가 비활동 상태라면 상황을 파악하거나 다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 때 만약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주변의 다른 기기들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상황 정보를 알린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포함한 상황 인지 모델과 이를 반영한 기기 탐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과 요구를 분석한다. 만약 사용자 기기가 비활동 상태일 때는 다른 기기를 탐색함으로써 상황을 인지하고 나아가 사용자에게 다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하고 여러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분석, 대처한다.

입체화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의 소비자 능동성 증가에 관한 연구 (The Increase of Consumer Activeness in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Network)

  • 최민욱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9-33
    • /
    • 2016
  •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입체화' 관점에서 인터넷 등장 이후 사회의 여러 커뮤니케이션 변화 현상들의 설명을 시도하였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입체화'라는 변화가 사회의 다원화를 촉진한다는 논지를 전개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주제로서 입체화된 커뮤니케이션 네크워크에서 진행되는 상업적 커뮤니케이션에서 소비자 능동성 증가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Designing a Crime-Prevention System by Converging Big Data and IoT

  • Jeon, Jin-ho;Jeong, Seung-Ryul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6
  • Recently, converging Big Data and IoT(Internet of Things)has become mainstream, and public sector is no exception. In particular, this combinationis applicable to crime prevention in Korea. Crime prevention has evolved from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o ubiquitous crime prevention;however, such a physical engineering method has the limitation, for instance, unexpected exposureby CCTV installed on the street, and doesn't have the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larms passengers who pass through a criminal zone.To overcome that, this paper offers a crime prevention method using Big Data from public organizations along with IoT. We expect this work will help construct an intelligent crime-prevention system to protect the weak in our society.

사물인터넷 관련 실증연구에 대한 문헌적 분석 : 빅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Influencing the Wireless Battery Charger on Choice to Repurchase Intention : Based Big Data Analysis)

  • 남수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0-133
    • /
    • 2015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래인터넷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사물인터넷은 공공 및 민간 부분에서 활용 및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관련 서비스도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을 기반 선행 연구들을 문헌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중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연구 34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들은 2014년-2015년 사이에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헌분석에 가장 많은 포함된 논문은 한국통신학회지로서 8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물인터넷이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Food Security through Smart Agriculture and the Internet of Things

  • Alotaibi, Sara Jez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33-42
    • /
    • 2022
  • One of the most pressing socioeconomic problems confronting humanity on a worldwide scale is food security,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expanding population and declining land productivity. These caus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world who are at risk of starving and have caused the natural ecosystems to degrade at previously unheard-of speeds. Happily,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velopment provides a glimmer of light for those worried about food security through smart agriculture-a development that is particularly relevant to automating food production operations in order to reduce labor expenses.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farming techniques, smart agriculture has the benefit of maximizing resource use through precise chemical input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like temperature and humidity. Farmers may make data-driven choices about the possibility of insect invasion, natural disasters, anticipated yields, and even prospective market shifts with the use of smart farming tools. The technical foundation of smart agriculture serves as a potential response to worries about food security. It is made up of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integrated cloud computing modules inside IoT.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공중보건의 대상 의료장비 원격교육 (Remote Medical Equipment Training for Public Health Doctors in Vulnerable Medical Areas Using Smart Glasses)

  • 최종명;최소은;문지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5-80
    • /
    • 2023
  • 국내 의료취약지에서 공중보건의는 지역민의 일반의료는 물론 응급의료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공중보건의는 일반적으로 현장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응급 환자에 대한 대처 능력이 부족하고, 의료장비를 효과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중보건의에게 필요한 의료장비에 대한 사용법을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으로 진행 후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의료장비 활용 교육을 위해서 스마트 글래스는 리얼웨어를 사용하였으며, 신안군 10개의 섬 지역 공중보건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 후 장비 활용 효과와 만족도 모두 3점 이상이었다. 따라서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원격교육이 의료취약지의 공중보건의를 대상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물 인터넷의 사업화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izing the application areas for business development of IoT(Internet of Things))

  • 문태희;김태훈;안현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183-1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 중 하나인 사물 인터넷(이하 IoT)과 관련하여, 기업들이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사업화 영역들을 기존 문헌을 토대로 식별하고, 이러한 영역들 중 과연 어떤 영역이 사업화하기에 적합한 지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쌍대비교에 기반한 설문을 통해 국내 IoT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분석적 계층 프로세스(이하 AHP) 기법을 적용해 IoT 사업화 영역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는 '공공안전 & 보안', '자동차 & 교통', '공공사업 & 에너지' 분야가 IoT 기술이 우선 적용될 수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아울러, IoT의 가치사슬 중 기기, 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에 소속되어 있는 전문가들 사이에 사업화 영역의 우선순위를 서로 다르게 판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기기 분야에서는 '공공안전 & 보안' 분야를,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자동차 & 교통'을, 서비스 분야에서는 '공공사업 & 에너지' 분야를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oT 가상환경 플랫폼에서의 무결성 보장 시스템:Hyperledger Indy와 MQTT를 통하여 (Integrity Guarantee System in IoT Virtual Environment Platform: Through Hyperedfger Indy and MQTT)

  • 홍유성;김근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4호
    • /
    • pp.76-85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Hyperledger Indy와 MQTT를 결합하여 가상환경에서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의 데이터 무결성을 높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발행-구독(pub/sub) 패턴의 통신에서 분산형 네트워크를 활용한 DPKI(Decentralized Public Key Infrastructure) 구조를 실현하여 중앙집중형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한다.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디지털 서명 기술을 적용하였고 클라이언트, IoT 디바이스, 브로커, 블록체인의 네 가지 핵심 요소 간의 통신 시나리오와 분산 식별자(Decentralized Identifier)를 활용한 토픽 구조를 통해 가상 환경에서 안전화고 투명한 데이터 교환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고 가상환경에서의 통신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이 가상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IoT 데이터 통신구조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시티에 적합한 주민참여형 공공주택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Housing Model for Residents' Participation suitable for Smart City)

  • 허학수;류갑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6
    • /
    • 2021
  • 최근 세계적인 급속한 산업발달과 경제성장으로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2050년 세계적 도시 인구비율은 70%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재난안전, 대기오염, 수질오염, 에너지 부족, 질병, 범죄, 교통 등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주도의 스마트시티 모델들이 개발 및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간접자본 형태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공공주택의 ICT 기술은 민간시장의 스마트 가전 위주로 개발되어 공공주택 주민을 위한 공공안전, 생활환경, 생활복지, 에너지관리 등의 서비스가 개발되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마트 시티 사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 스마트 시티를 위한 공공주택의 스마트 플랫폼 화 모델을 설계하고 실증방안을 제시하므로서 국내 스마트시티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